View : 74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혜연-
dc.contributor.author이현아-
dc.creator이현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0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0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3406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931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4066-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has approached human sensitivity based on synesthetic to visualize musical imagery by cosmos image as a motif for fashion design. It combines the auditory language, Music with the visual language of Fashion Design to suggest a wider view on fashion design. In order to translate music into a certain sensitive imagery, synesthetic concepts and the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auditory and visual senses have been examined. Furthermore, background research and examples on artists who used sound for visual imagery have been studied for information. The study was choosen to base its research on Punk Rock because in comparison to other music genres Punk Rock spread far and wide into fashion from a genre of a music. Punk Rock begins in America in the 1960's and come over to Britain in the 1970's and it was widely liked by a young persons in Britain. After this it influenced in high fashion and brought a big changes in modern fashion. The eight Punk Rock scores chosen for this study begins with 1970's, after the appearance of SexPistols who exploded Punk Rock in Britain and moved up to present day. Therefore the study includes Original Punk(1970's), Hard Core Punk(1980's), Grunge(1990's), SkasPunk(1990's to present day) and Neo Punk(1990's to present day). The score has been carefully selected after researching books and internet about Punk Rock and interviewing Punk Rock specialists.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using the Sementic Differential Method to research on the sensual structure in Punk Rock. To translate the eight Punk Rock scores into visual images, sixteen visual images were firstly created for the questionnaire by employing cosmos image as a motif. Furthermore, adjectives which best described the music were added in addition to color, form and texture. Finally fifteen adjectives were selected for the Sementic Different Language. The adjectives selected through the questionnaire were analysed through a seven point scal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s and cosmos image, eight pieces of work were produced. As for the technique, DTP(Digital Textile Printing) were mainly used. And the consequences of research by this process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synesthetic translation based on visual materials, Punk Rock's musical image was suitable for expressing by cosmos image with it's color and form. Second, as a result of a questionnaire research on the images from eight Punk Rock scores, Punk Rock's unique resistibility and explosiveness is unchangeable with it's sensitive side. Third, based on a questionnaire research and musical translation, eight Punk Rock scores common musical image was strong, tough and explosive and the image color was vivid Red, Yellow, Yellow Red, Red Purple, Green and Black. Fourth, as a result of producing eight pieces of work, musical image can be expressed by fashion design and got a visual effect as seeing music with eyes. The study has experimented in translating sound into visual effect in a synesthetic expression using Punk Rock. This study attemped created infinite possibilities in fashion design by expressing human sensitivity. ;본 논문은 공감각적 해석을 바탕으로 음악에서 느껴지는 감성을 시각화하고, 이를 우주의 이미지를 모티브로 복식디자인에 응용하고자 한다. 이는 청각예술인 '음악'을 시각예술인 '복식'으로 표현하는 각기 다른 장르의 결합으로서, 복식디자인의 새로운 영역을 확보하려는 시도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적 감성을 객관적으로 측정하고 분석하여 이를 시각화 함으로써, 눈으로 음악을 보는 듯한 시각적 효과를 표현하는 것이다. 먼저 음악의 시각화를 위해 음악적 감성을 측정하는 공감각의 개념 및 예술에 있어서의 공감각적 표현에 대해 알아보고 그에 의한 음악의 시각화와 그 사례들을 살펴보았다. 연구의 주제로는 펑크 록을 선택하였으며 이는 펑크가 음악의 한 장르에서 시작되어 패션으로 전파되었고 또한, 사회전반의 문화현상으로까지 확대되어 그 영향력이 매우 크기 때문이다. 펑크 록은 1960년대 미국에서 발생하여 1970년대 영국으로 건너와 당시 영국의 사회상을 반영하며 음악 뿐 아니라 패션으로 젊은이들 사이에서 크게 유행하였고, 이후 하이패션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쳐 현대 패션의 흐름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본 연구에서 선정된 총 8곡은 펑크 태동의 원년인 Sex Pistols이후의 오리지널 펑크(1976∼)와 80년대의 하드 코어 펑크, 펑크의 90년대식 버전으로 불리우는 그런지(Grunge, 1991∼), 펑크에 레게의 일종인 스카 리듬을 결합한 스카 펑크(1990∼) 그리고 펑크의 음악적 재림인 네오 펑크(Neo Punk, 1994∼) 곡들을 중심으로 펑크 록 전문 서적, 앨범 표지, 펑크 관련 인터넷 사이트 검색 등을 근거로 이루어졌다. 펑크 록의 감성 조사는 <감성 공학>을 활용해 그 객관적인 접근을 시도하였는데, 감성 측정을 위해 의미분별 척도법(SD: Semantic Different Method)을 이용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SD법은 상호관계가 높은 여러 쌍의 반대 형용사를 한 차원화 하여 여러 차원으로 구성된 다차원 의미의 공간을 형성하여 개념을 규명하는 방법이다. 설문 내용은 선정된 8곡의 이미지의 시각화를 위해 개별 곡의 이미지를 전달하는 형용사 즉, SD언어를 추출하고 이에 해당하는 시각 이미지로 구성하였다. SD언어는 개별 곡들의 이미지와 관련된 형용사들 가운데 그 빈도수가 가장 높은 단어들로 15쌍을 추출하였고, 시각 이미지는 추출된 15쌍의 형용사와 펑크 록의 공감각적 해석을 토대로 우주의 이미지를 모티브로 구성되었다. 이는 시각 이미지 구성의 모티브가 된 우주의 이미지 사례들을 분석한 결과 그 형태와 색채에 있어 펑크 록의 감성을 표현하기에 적합하다고 생각하였기 때문이다. 복식의 표현은 DTP(Digital Textile Printing)기법을 활용하였다. DTP는 디지털을 이용한 새로운 개념의 날염 시스템으로 멀티미디어 기법을 기반으로 디자인을 Digital화하기 때문에 칼라 커뮤니케이션이 정확하고 디자인의 합성, 색상변환, 모양수정, 디자인의 표현이 용이하다. 음악을 시각화 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시 되는 부분이 색채임을 감안하고, 선정된 모티브의 형태 표현이 자유롭다는 점에서 DTP를 주 표현 기법으로 채택하게 되었다. 작품의 디자인은 기존의 '펑크적' 스타일과는 차별화하였고 하이 패션의 요소를 도입한 심플한 실루엣으로 음악적 이미지 표현에 중점을 두었다. 이는 펑크 패션이 하이 패션과 접목되어 현대 패션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또한 펑크 록의 음악적 구조가 최소의 구성만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시각화의 대상으로 선정한 펑크 록은 70년대 음악에서 시작되어 패션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그 음악적 특성과 복식디자인과의 연관성이 매우 높았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앨범 자켓, 포스터 등의 시각화 자료를 근거로 한 공감각적 해석을 통해 펑크 록의 음악적 이미지는 그 색채와 형태에 있어 우주 이미지로 표현하기에 적합하였다. 셋째, 8곡의 대표적인 펑크 록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설문조사의 결과, 시대에 따라 음악적 장르와 스타일이 변화하였지만 감성적인 면에 있어 특유의 저항성, 폭발성은 변함이 없었음을 알게 되었다. 넷째, 음악적 해석과 설문 조사 결과를 토대로 8곡의 공통적인 음악 이미지는 강렬하고 거칠고 폭발적이며 이미지 색채는 Red, Yellow, Yellow Red, Red Purple, Green 등의 원색과 Black으로 구성됨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작품을 제작한 결과 음악적 이미지는 복식 디자인을 통해 그 감성의 표현이 가능하며 음악을 눈으로 보는 것과 같은 시각적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행해진 음악 이미지의 시각화에 의한 복식디자인은 음악에서 보여지는 감성이 복식으로써도 표현 가능하며, 이를 통해 복식디자인에 있어 감성의 표현이라는 새로운 디자인의 영역을 확인하고 현대 사회에서 요구되는 감성 표현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x 1. 서론 = 1 1. 연구 목적과 의의 = 1 2. 연구내용 및 방법 = 2 2. 이론적 배경 = 4 2.1. 음악의 시각화 = 4 2.1.1. 공감각의 개념 = 4 2.1.2. 음악의 공감각적 해석 = 9 2.1.3. 음악의 시각화와 그 사례 분석 = 14 2.2. 펑크 록(Punk Rock)에 관한 고찰 = 27 2.2.1. 펑크와 펑크문화 = 27 2.2.2. 펑크 록의 기원과 특징 = 45 2.2.3. 펑크 록의 공감각적 해석 = 52 2.3. 우주에 관한 고찰 = 61 2.3.1. 우주의 정의 = 61 2.3.2. 우주의 이미지 사례와 특성 = 62 2.3.3. 우주의 조형적 분석 = 70 3. 작품제작 배경 = 72 3.1. 음악 선정 및 시각 이미지 구성 = 72 3.3. 설문조사 및 결과분석 = 78 3.3. 결과분석에 따른 디자인 방향설정 = 92 4. 작품 제작 및 해설 = 93 4.1. 제작 의도 및 방법 = 93 4.2. 작품 및 해설 = 95 5. 결론 = 135 참고문헌 = 137 부록 = 141 ABSTRACT = 14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54780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디자인대학원-
dc.title음악의 시각화에 의한 복식디자인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펑크록의 공감각적 해석에 의한 우주이미지 표현을 중심으로-
dc.format.pagexii, 14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의상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04.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패션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