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06 Download: 0

기하학 형태를 응용한 도자타일 연구

Title
기하학 형태를 응용한 도자타일 연구
Authors
노경화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도자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
Abstract
현대인의 생활공간은 생활 공간으로서의 의미와 인간의 정신적 요구까지 만족시키는 공간이 되어가고 있다. 지금보다 더 나은 삶을 위해 많은 사람들이 남과 다른 차별성과 고급스러움을 추구하고 있다. 그래서 건물의 내ㆍ외장에 사용되고 있는 마루나 벽, 평지붕등 평면을 피복하는 점토 소성품 혹은 시멘트 경화물등의 부판 제품을 칭하는 타일은 건축 자재로서의 역할과 더불어 예술화 공간을 창조 할 수 있는 장식을 위한 건축 재료로 다양화되어 발전되어가고 있다. 그러므로 현대인들의 생활 공간에 미적인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타일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생각되었다. 이러한 타일은 종이접기를 통해 얻어진 기하학 형태를 응용하여 디자인하여 새로운 고부조 타일을 만들었다. 종이는 평면에서부터 입체 조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표현이 가능하며 접기를 통해 다양한 기하학 이미지의 표현을 나타낼 수 있다. 종이는 현대 조형 예술의 새로운 표현재료로 새롭게 제시되고 있는 가운데 종이접기 기법을 통해 다양한 표현양식과 새로운 디자인을 할 수 있는 좋은 소재가 될 수 있다. 또한 기하학의 형태는 일류의 생성과 더불어 끊임없이 연구 되어온 소재이기도 하다. 현대인의 생활 공간에 예술화 공간으로서의 변화를 주어 보다 예술적인 공간을 만들어 주어 정신적 심리적 안정감을 주기 위해 기하학 형태를 응용한 타일을 연구하는데 목적을 두어 연구하였다. 종이접기를 통한 기하학 형태를 응용한 타일 연구를 위해 우선 기하학 형태의 개념 및 특징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리고 타일의 역사와 타일의 구분과 종류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종이와 종이접기의 역사와 조형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기하학형태를 주제로 한 작품 사례를 바탕으로 실용성과 장식적인 기능을 더하여 타일을 디자인하였다. 디자인 과정에서는 다양한 종이접기의 시도를 통해 기하학 형태를 만들어 디자인하였다. 제작 방법을 같은 형태의 단위체의 반복을 위해 석고틀을 이용한 이장주입 성형을 하였으며, 태토는 백색도가 뛰어난 슈퍼 화이트를 사용했으며, 소성은 10점 모두 같은 소성 방법으로 0.5㎥ 전기가마에서 최고온도 900。C까지 8시간동안 1차 소성 하였으며 2차 소성역시 같은 가마에서 최고온도 1250。C까지 10시간에 걸쳐 산화염 소성을 하였다. 작품을 제작하면서 얻어진 결과는 기존의 타일과는 다른 타일을 제작함에 있어 종이접기가 가지는 조형성은 좋은 소재였으며, 평타일을 대신해 고부조 타일을 제작함으로서 새로운 타일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또한 타일은 건축 자재로서 뿐만 아니라 건물의 내ㆍ외장에 쓰여 건물을 아름답게 만들어 주어 실용적인 측면과 예술적인 측면을 함께 보여준다. 그리고 종이접기를 통해 얻어지는 기하학 형태는 타일의 디자인 과정에서 좋은 소재였다. 앞으로도 타일시장에 새로운 디자인과 창조적인 연구가 이루어져 실용성과 예술성을 갖춘 연구가 계속 되길 바란다.;Contemporary people's living space is not only for dwelling but for satisfying their mental demands. Seeking for a life better than now, many people are pursuing differentiation from others and high quality. Tiles comprehend attaching plates such as calcined clay products and hardened cement products that, as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cover the surface of floors, walls, flat roofs. In addition, they may be applied as decorations to create artistic spaces. Therefore,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develop tiles that meet contemporary people's demands for aesthetic living spaces. Thus this study created new high relief tiles designed by applying geometric shapes obtained from paper work. It is possible to express using paper various shapes from planes to cubic forms, and paper work enables the expression of diverse geometric images. Paper is being suggested as a new expression material in the contemporary formative art. Paper work may be used as a useful tool for examining diverse expression patterns and creating new designs. Furthermore, geometric shapes have long been studied from the beginning of human history. This study examined tiles adopting geometric shapes with the object of creating artistic spaces and ultimately giving mental and psychological stability to the dwellers by changing contemporary people's living space into the space of art. In order to examine tiles adopting geometric shapes obtained from paper work, the author first investigated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geometric shapes, and analyzed the history and the formativeness of paper and paper work. In addition, based on case works on the theme of geometric shapes, this study designed tiles, emphasizing practical and decorative functions. In the course of design, various paper works were tried to create geometric shapes. As for firing method, the first firing was made at 0.5㎥ and 1.5㎥ gas kilns and a 0.5㎥ electric kiln at temperature up to 900℃ for 8 hours, and the second firing with oxidizing flame at 0.5㎥ and 1.5㎥ gas kilns and a 0.5㎥ electric kiln at temperature up to 1250℃ for 10 hours. The result of creating works showed that the formativeness of paper work is a fine material in developing tiles distinguished from existing ones. In addition, the use of high relief tiles instead of flat ones suggested a new direction of tile manufacturing. Moreover, tiles have not only a practical aspect as construction materials but also a decorative aspect as decorating materials for the interior and the exterior of buildings. What is more, geometric shapes obtained from paper work were superior materials in designing tiles. The author expects that there would be continuous creative research on new designs equipped with both practical utility and artistic beau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도자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