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4 Download: 0

통일신라시대 기와의 당초문양을 응용한 의상디자인 연구

Title
통일신라시대 기와의 당초문양을 응용한 의상디자인 연구
Authors
김민경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의상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혜연
Abstract
오늘날, 세계시장은 하나의 시장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런 실정에서 전통의 가치가 높이 평가받는 바, 지역과 자연에 기반을 둔 전통의 가치를 고유의 문화적 형태로 결합하여 새롭고 현대적인 양식으로 개발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의상디자인 역시 예외가 아니어서 자국의 문화와 전통에 기반을 둔 세계적인 디자이너들이 탄생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한국은 긴 역사적 배경과 다양한 문화유산을 가지고 있고, 그 훌륭한 문화적 가치를 의상의 예술성에 부합할 수 있다고 본다. 그 중에서도 전통문양은 우리의 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생활 문화 속에 다양한 문양들이 활용되었음을 볼 수 있다. 당초문양(唐草紋樣)은 삼국시대 이래부터 사용되어 통일신라시대에 문양으로서의 위치를 확립하고 오랜 세월에 거쳐 사용되면서 우리나라 미의식속에서 성장한 전통성을 지니게 되었다. 또한 당초문양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보편적인 문양으로, 이는 이것은 당초문양이 오랜 세월에 걸쳐 동, 서양을 통해 서로 교류되면서 변화와 발전을 거듭해왔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장 비약적인 발전을 보였던 통일신라시대의 기와에 나타난 당초문양에 대하여 고찰하고 표현기법으로서 펠트(Felt) 제작기법에 대하여 연구하였고,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통일신라시대의 기와(瓦)에 시문된 당초문양을 조형적으로 재구성하여 의상디자인 전개의 무한한 원천으로서 당초문양과 펠트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서 제 2장에서는 첫째, 기와의 역사와 종류, 그리고 발달상황에 대하여 문헌 고찰을 통하여 알아보고 둘째, 통일신라시대 기와의 특징과 시문(試紋)된 문양을 알아보았다. 셋째, 통일신라시대 기와에 나타난 당초문양에 대하여 대표되는 경향별로 나누어 특성을 분석하였고 넷째, 당초문양을 응용한 현대 패션디자인의 사례를 국내와 해외로 나누어 그 표현기법의 특징과 형태를 알아보았다. 3장에서는 첫째, 본 연구에서 표현기법으로 선택한 펠트의 제작기법에 있어서의 특성과 종류에 대하여 문헌을 통해 고찰하였고 둘째, 펠트 제작기법을 사용한 각종 디자인 사례에 대하여 문헌과 사진자료를 통해 각 제작기법의 특징과 형태를 분석하였다. 셋째, 펠트 제작기법을 이용한 복식디자인 사례를 조사하였다. 이를 토대로 통일신라시대의 기와에 시문된 당초문양을 현대적으로 재구성하여 8벌의 실물 작품을 제작하였다. 작품에 사용된 당초문양은 통일신라시대의 기와에 나타난 당초문양을 단위문양으로 변형하여 재배치함으로써 기존 당초문양과의 차별화를 꾀하였고 소재로서는 기와의 예스러운 느낌을 살리면서 양각(陽刻)의 느낌을 낼 수 있는 펠트를 선택하였다. 이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당초문양을 단위문양으로 분리하여 단순화하는 조형적 재구성 과정을 통하여 심플하면서도 대담한 문양으로 표현함으로써 전통에 기반을 둔 현대의상으로서의 전개와 표현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둘째, 당초문양은 단위형태 분리가 가능하여 이의 반복적 적용을 통해 의상의 전면적 구성이 용이한 특징을 지니고 있으며 문양이 지니는 율동미로 인해 화려하고 풍부한 이미지 표현에 적합하였다. 셋째, 문양 디자인에 있어서 강렬한 색상 대비 효과를 의도하였으며 결과적으로 화려한 시각적 이미지를 창출할 수 있었다. 넷째, 누노펠트(Nuno felt)와 핸드 니들펀칭(Hand needle punching)으로 대표되는 펠트 제작기법은 통일신라시대 기와의 예스러운 멋과 당초문양의 양각기법을 표현하는데 알맞은 기법이었으며 자유로운 문양배치를 통한 조형적인 아름다움을 표현하는데 적합하였다. 당초문양은 새로운 기법의 선택이나 문양의 재구성과 재창조로 현대 디자인개발의 효과적인 방안으로 제시될 수 있으며 무한한 개발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당초문이 처음 사용된 이래로 수천 년의 세월이 흘렀지만 지금까지도 끊임없이 사용되고 있고 디자이너들은 새로운 당초문을 통한 작품을 제작하고 있다.그리고 이후에도 다른 기법과 다른 형식의 당초문은 지속적으로 도입될 것이다.우리가 이러한 당초문양의 활용에 더욱 노력하면 전통에 기반을 두었으면서도 국제적인 경쟁력을 가진 의상의 제시에 탁월한 결과를 얻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전통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연구를 통해 세계에서 통하는 현대 의상디자인에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표현기법들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Nowadays, world markets have been developed into a large market. Under such a competitive market, what we have inherited from our past ancestors is highly evaluated. An obligation is imposed to develop the inherited value under a foundation of the regions and nature into a new modern style. At the same time, from such a viewpoint, there is no exception that world-widely known designers rooted in their own culture and tradition have shown up in the clothing field, too. Korea has a long historical background and a great diversity of cultural inheritance whose cultural values are supposed to fall in with an art of clothing. Thus, tradition patterns have a close relation with our ones, and we can see a large number of patterns melted into our ways of life. Above all, an arabesque pattern (Dang-cho pattern) has been used since the Three Kingdoms (i.e. Silla, Kokuro and Baekje) and the pattern took strong root during the United Silla Kingdom period and it led an aesthetic sense of beauty into a center of our matured tradition. The arabesque pattern interchanging cultural exchanges by way of western countries has repeatedly changed and developed into a world-widely universal pattern. In what follows, I have attempted to shed light on the arabesque pattern of roofing tiles during the United Silla Kingdom period, and I have made a systematic study of expression technique. On the basis of this study, I have a modeling reconstruction of the arabesque pattern on the tiles carved during the kingdom period. And I have suggested that there might be a possibility of the arabesque pattern and the felt originated in a fresh development of clothing design.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following findings have been obtained: First, in chapter 2, there are documentary records to refer to the history and the kinds of the roofing tiles and their developing situations. Second, the roofing tiles in property and their carved patterns have been studied. Third, a certain arabesque patterns on behalf of the pattern have been sub classified into different characteristics. Fourth, there are different specific fashion designs applied to the arabesque pattern in terms of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country and there is a specific technique of its expression including its form. First, in chapter 3, it is studied how to produce the felts in property and kind. Second, there are different technique sin nature and form made an analysis of by documentary materials and photo data. Third, there are different cases of clothing design put a felt-producing technique to use. The arabesque pattern carved on the roofing tiles during the kingdom period has been put into a reconstruction of the 8 pieces of clothing in a modern sense. The arabesque pattern used in the 8 pieces has been transformed and replaced as a unit of pattern during the kingdom period. Such a pattern of transformation and replacement has set up a distinction of the arabesque pattern of the 8 pieces from the existed arabesque pattern. While the physical roofing styles are preserved in an antique sense, a felt is selected in a sense of raised carvings. I have come to a conclusion as follows: First, the simplification dividing the arabesque pattern into a unit of pattern has resulted in a possibility of the development and expression of modern clothing on the basis of the tradition by making a way of expression of simple and bold design in the process of modeling reconstruction. Second, the arabesque pattern can be divided into a unit, and there is an easy characteristic of making clothing in full measurement by a repetitive application of arabesque pattern, and the rhythmical waves of beauty of the patterns can be suitable to a splendid and abundant image of expression. Third, the pattern has under laid an effect exposed to strong color, and it has brought itself into splendid visual image. Fourth, the felt-manufacturing technique representing Nuno felt and hand needled punching is a suitable technique expressing the roofing tiles of antique beauty and a raised carving of arabesque patterns. This technique can be equal to expressing a kind of modeling beauty by a free arrangement of patterns. The arabesque patterns can have an effect on a selection of a new technique, and on a reformulation and recreation of modern clothing design. Thousands of years have passed since the arabesque pattern was put to use, and it has still been used up to now. And designers have produced their works by making new arabesque patterns. Furthermore, different techniques and forms of arabesque patterns will continually be introduced in the future. A more effort to apply arabesque patterns can bring us into a great effect on keeping our clothing field ahead of the international competition. Thus, an incessant interest and a systematic study of our tradition can lead us into the development of various techniques and of taking precedence over the world in a cloth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패션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