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4 Download: 0

중학교 미술 교과서 분석

Title
중학교 미술 교과서 분석
Authors
현지승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노용
Abstract
In the case of our country, the Ministry of Education presents the purpose and contents of fine art education as a curriculum and a concrete activity is shown in the textbooks and guided books. And yet it is worried that such a uniform education course will make the education be plunged in the inertia. Furthermore, because of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between cities and rural areas etc, the situation and circumstances in which students are placed, along with the disadvantages of the liable disregard of their necessity and aspiration the proper fine art education is difficult to be carried out. The most effective way to overcome theses disadvantages is to reform the curriculum according with the actual state of things of the local society and students' aspiration. Distinctive and manifold textbooks should be created to keep pace with this curriculum. And thereupon teachers should develop creative teaching methods ceaselessly. For such a scheme the fine art textbooks must be fully examined because the textbooks are to be a fundamental material in the scene of education and as a core of the material of study they play a role of a guide for teachers carrying out their curriculum. At the same time, the comparison of our country's textbooks with those of another country's will be helpful to grasp the problems of our textbooks and find the desirably improving direction. Thus in this study through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Japanese fine art textbooks which had ever had a lot of influence on Korean fine art textbooks, the characteristics of our country's textbooks are grasped and the points to be improved are searched, which presented a new direction of fine art textbooks in fine art study. Through the comparison and analysis the programs to reform the fine art textbooks of our country are as follows; First, the institutional support must be prepared to create the diversified textbooks. After overcoming the present controled, standardized, and uniformed textbook system the diversified textbooks which can reflect the characteristics and culture of the community can come into being, and it is necessary to widen the width of choosing the textbooks. Second, compared with the expression line the more emphasis on the aesthetic experience field relatively insufficient in contents and appreciation field should be put and various fine art studies could be done, not aiming at the expression activity. Keeping pace with the informalized era the visual image and media field should be widen to understand and enjoy the beauty in the real life. Third, for the purpose of coincidence with the inspiration of traditional aesthetic sense on which is emphasized in the present curriculum it is judged that the picture edition of traditional works is needed to be presented much more and at the same time the gap of feeling between the traditional art and real life should disappear after the works which have successfully taken in traditional beauty to harmonize with modern senses should be listed. Fourth, in the expression field not only the completed picture edition is presented but also the concrete picture edition presentation to explain the course of being made is also required. Not presenting picture edition to emphasize the pictures alone the picture edition which reflects students' visual culture positively should be presented and they should act as actual materials of study harmonizing with students' emotions. Fifth, the fixed idea that the size of the picture edition should be limited to that of one page of textbook or should be listed with some space left must be surmounted. If necessary, through the diversified ways such as the picture edition without space to use the whole page and the picture edition to connect both pages the effect of presenting picture edition should be enhanced. Sixth, the line-up of writers of the textbooks is needed to be more widely composed of specialists. It is judged that the writers' line-up of two to eight numbers at present is difficult to create ideal textbooks. Thus if each field consists of a wide range of specialists making up for supervisors and they write the textbooks, the books must be helpful to enhance the quality of textbooks. In conclusion, the fine art education is based on the establishment of national identity of our nation, along with recognizing the value of beauty, and it should be enjoyed in our daily lives on the basis of the affirmative and respectful attitude. For the purpose of coincidence with the trend of a new era, the fine art textbooks should be made to keep pace with our emotions and actual conditions and they should be able to be used as an educational material in the scene of education. Now the situation of our fine art textbooks has been checked through the comparison with those of middle school fine art textbooks in some European countries as well as Japan along with analysis of them. If the bright and advantageous points of the fine art textbooks are taken in and the disadvantageous points are revised positively, our country's fine art education is thought to be made great progress in the future.;우리나라의 경우, 교육부에서 미술교육의 목표와 내용을 교육과정으로 제시하고 있고, 그 구체적인 활동은 교과서와 지도서에서 제시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획일적인 교육과정은 교육을 타성에 빠지게 할 우려가 있다. 또한 도시와 농촌 등 지역의 특성과 학생들이 처한 상황과 환경, 그들의 필요와 욕구가 도외시되기 쉬운 약점 때문에 제대로 된 미술교육이 이루어지기 어려운 현실이다. 이러한 약점을 극복하는 가장 효율적인 길은 지역사회 실정과 학생들의 욕구에 맞게 교육과정을 재구성하는 일이며, 이러한 교육과정에 발맞추어 특색 있고 다양한 교과서를 제작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에 더하여 교사들은 창의적인 지도 기술을 끊임없이 개발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미술교과서를 충분히 점검해야만 한다. 미술교과서는 교육현장에서 미술활동의 기본 자료가 되며, 교수 학습 자료의 핵심으로서 교사가 교육과정을 수행하는데 길잡이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아울러 우리나라 교과서와 다른 나라 교과서의 비교는 우리나라 교과서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바람직한 개선방안을 찾는 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 교과서의 체제에 많은 영향을 끼친 일본의 미술교과서와, 우리 미술교과서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우리 교과서의 특징을 파악하고, 개선점을 모색하여 미술수업에서 새로운 미술교과서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비교 분석을 통한 우리나라 미술교과서의 개선방안을 살펴보면, 첫째, 교과서의 다양성을 살릴 수 있도록 제도적인 뒷받침을 마련하여 현재의 통제되고 규격화, 획일화된 교과서 제도에서 벗어나 지역사회의 특성과 문화를 반영한 다양한 교과서가 나올 수 있도록 해야 하며, 교재 선택의 폭도 넓혀 주어야 한다. 둘째, 표현 영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내용이 미흡한 미적체험 영역이나 감상 영역에 대한 비중을 더 높여 표현 위주의 활동이 아니라 다양한 미술 학습이 될 수 있도록 하며, 정보화 시대에 발맞추어 시각 영상, 미디어 분야를 확대하여 실생활에서 미를 이해하고 향유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현행 교육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전통미의식 고취에 부합하기 위하여는 보다 많은 전통작품의 도판 제시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며, 전통미를 현대적 감각에 맞게 성공적으로 수용한 작품들을 수록해서 전통미술과 실생활과의 괴리감을 없애도록 해야 한다. 넷째, 표현 영역에서 완성작 위주의 도판만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제작과정을 설명하는 구체적 도판제시가 요구되며, 회화에만 치중하여 도판을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의 시각문화를 보다 적극적으로 반영한 도판을 제시하여 학생들의 정서에 맞는 실질적인 학습 자료로서의 기능을 다해야 한다. 다섯째, 도판 크기에 있어서 교과서 한 면의 크기로 제한하거나, 여백을 남기고 도판을 수록해야 한다는 고정 관념에서 벗어나야 한다. 필요에 따라 여백 없이 전체 면을 활용한 도판이나, 양면을 이어서 도판을 수록하는 등 보다 다양한 방법을 통해 도판제시의 효과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여섯째, 교과서 집필진이 보다 폭넓게 구성될 필요가 있다. 현재와 같이 2명에서 8명 정도의 집필진으로 이상적인 교과서를 만들어내기는 어렵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각 영역별 폭넓은 전문가들로 구성하고 감수자 등을 보완하여 책을 집필하도록 한다면 교과서의 질적 향상에 크게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미술교육은 우리 민족의 주체성 확립을 기본으로 하여 아름다움에 대한 가치를 인식하고, 미술에 대한 긍정적이며 존중하고자 하는 태도를 바탕으로 그것을 생활 속에서 향유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이 되어야 한다. 이에 발맞추어 미술교과서도 이제 과거의 관습에 따라 반복되어 제작되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정서와 실정에 맞추어 학교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교육자료로서 제작되어야겠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살펴본 일본 이외에도 서구의 중학교 미술교과서(또는 학습자료)와의 비교 분석을 통해 우리 미술교과서를 돌아봄으로써 그 나라 미술교재의 좋은 점은 수용하고, 우리의 부족한 점은 수정해 나가는 적극적인 태도를 갖는다면 우리의 미술교육은 많은 발전이 있으리라 생각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