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3 Download: 0

통일 찬송가에 나타난 전통 음악적 어법

Title
통일 찬송가에 나타난 전통 음악적 어법
Authors
장은아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문재숙
Abstract
이 논문은 한국 사람에 의해 작곡된 통일 찬송가를 대상으로 그 곡들의 전통 음악적 어법을 살펴보았다. 전통 음악적 어법의 기준은 다음의 6가지로 정의하였다. 첫째, 리듬은 3분박을 사용한다. 둘째, 요성(搖聲)·퇴성(退聲)·전성(轉聲)의 농현을 한다. 셋째, 강박으로 시작하여 약박으로 끝난다. 넷째, 종지형은 동도종지(同度終止), 4·5도 하강종지(下降終止)를 쓴다. 다섯째, 장단은 6/4, 12/8, 12/4, 16/4, 10/2등을 한 장단 단위로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여섯째, 음계는 5음 또는 3·4음으로 이루어져 있다. 통일 찬송가 중 한국인이 작곡한 곡은 53장, 92장, 256장, 261장, 272장, 303장, 304장, 305장, 311장, 317장, 355장, 369장, 378장, 453장, 460장, 461장, 493장으로 총 17곡이다. 이 17곡을 전통 음악적 어법의 6가지 기준으로 분류한 후, 그 중 3가지 이상의 요소를 지닌 곡을 분류한 결과 92장, 272장, 305장, 311장, 355장, 369장, 378장, 461장, 493장의 9곡이었다. 이 9곡의 특징과 선율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박자는 3박자 계열이 6곡, 2박자 계열이 3곡 사용되었다. 둘째, 농현은 원곡에는 표시되어 있지 않다. 하지만 농현의 근거를 적용시켜 제시한 결과 461장을 제외한 8곡에서 농현이 가능하였으나 그 빈도수가 적어 각곡에서 농현이 차지하는 비중은 낮았다. 셋째, 마디의 형태는 갖춘마디가 8곡, 못갖춘마디가 1곡으로 대부분 갖춘마디의 모습을 보인다. 넷째, 종지법은 동도종지(同度終止)는 461장, 4·5도 하강종지(下降終止)는 369장이 부합된다. 2·3도 하강종지까지 포함시킨다면 92장, 272장, 305장, 311장, 355장, 493장까지 적용시킬 수 있다. 다섯째, 장단은 리듬형에서 나타난 박자계열을 근거로 전통 장단인 중모리장단, 세마치장단, 느린 굿거리장단 등을 이용하여 반주할 수 있다. 여섯째, 음계를 살펴보면 5음 음계는 311장, 378장, 493장이며 272장, 461장은빈도수는 적으나 5음 음계중 한음이 첨가된 6음 음계를 사용한다. 요컨대 통일 찬송가 가운데서 전통 음악적 어법에 의한 곡은 전체 찬송가 558장 중 9곡에 불과하다. 이러한 원인은 서양문화에 대한 무분별적 수용 때문이라 할 수 있는데 한국적인 것을 존중하고 계승, 발전시켜 전통 음악적 어법을 지닌 찬송가를 개발하는 것이 시급하다 하겠다. ;A study on the rule of traditional music depicted on the modern Korean hymn composed by Koreans has been made on in this thesis. The standards for the rule of traditional music have been defined into the following 6 points. First, the rhythm is in triple time. Second, the music has a variety of vibratos. Third, the music starts in a strong beat and ends in a weak beat. Fourth, the types of cadence are the cadence ending with the same tone, and the 4 and 5 tone cadence ending with a low tone. Fifth, it is a rule to use the unit of one beat of the 6/4, 12/8, 12/4, 16/4, and 10/2 rhythmic patterns. Sixth, the scale is composed of 5 tones, or 3, 4 tones. The hymns composed by Koreans of the modern Korean hymn amount to 17 pieces, which are on pages 53, 92, 256, 261, 272, 303, 304, 305, 311, 317, 355, 369, 378, 453, 460, 461, and 493. After classifying these 17 pieces by the 6 standards of the rules of traditional music, 9 pieces, on pages 92, 272, 305, 311, 355, 369, 378, 461, and 493 contained more than 3 elements of these standards.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and melodies of the 9 pieces. First, 6 pieces were of triple time and 3 pieces were of inary time for the beat. Second, the vibrato is not indicated in the original piece. But after presenting the base of the vibrato, it was possible to use the vibrato in 8 pieces with the exception of page 461, but because of the low frequency, the importance of the vibrato in each of the pieces was low. Third, for the form of the bars, 8 pieces were in the form of a complete bar, whereas 1 piece was an incomplete bar, most of them being in the form of a complete bar. Fourth, for the cadence, the piece corresponding with the cadence ending with the same note was on page 461, and the piece corresponding with the 4 and 5 tone cadence ending with a low tone was on page 369. If including the 2nd and 3rd cadence ending with the end of the note, pages 92, 272, 305, 311, 355, and 493 can be applied. Fifth, the rhythmic patterns, based on the system of beat shown in the forms of rhythm, can be accompanied in the Joongmori rhythm, Saemachi rhythm, and Gutgeori rhythm. Sixth, for the scale, the hymns on pages 311, 378, and 493 contain a 5 tone scale, whereas the hymns on pages 272 and 461 contain a low frequency but contain an added tone, in a 6 tone scale. In short, there are only 9 pieces of 558 hymns of the hymn book that followed the rule of traditional music in the modern Korean hymn. The cause for this can be said to be a result of indiscreet acceptance of Western culture. It is urgent that we appreciate, succeed and develop the Korean culture, developing hymns that contain the rule of traditional music.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