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9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창원-
dc.contributor.author권성미-
dc.creator권성미-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5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5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3397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926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3974-
dc.description.abstractThe present study attempts to discover how the Ll sound system manifests itself in the Korean language spelling acquisition of Japanese learners, and, from this, to draw some implications for the teaching of Korean spelling. For this purpose, the dictation tests of 56 Japanese students currently taking Korean language classes were gathered over the course of one semester, This study addresses the following questions: 1) With which vowels do Japanese learners of Korean relatively more difficulty? 2) How do the different aspects of spelling errors occur in each vowel? Put another way, when two or more types of error arise in relation to one vowel, how do the frequencies of error types differ?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Spelling errors occurred most frequently with the vowels 'ㅓ' and 'ㅗ', the spellings related to the (어) and (우) sounds that Japanese learners of Koreans often have great difficulties pronouncing properly. In the same context, 'ㅡ'and 'ㅜ' also showed considerably high rates of error occurrence. However, relatively few spelling errors arose involving 'ㅏ'and 'ㅣ', with which whose corresponding sounds--(아) and (이), respectively--Japanese learners have little difficulty. 2) Certain spelling errors in several vowels appeared dominant over others, proving that spelling errors are closely related to pronunciation errors. In the case of 'ㅓ', the misspelling 'ㅗ' accounted for the majority of errors; This reflects the corresponding mispronunciation of (어) as I오] that frequently occurs among Japanese learners of Koreans, In this way, the most common misspelling of 'ㅗ' was 'ㅓ', while for 'ㅜ' the errors 'ㅡ' and 'ㅗ' occurred. Finally, for 'ㅡ', the erroneous spelling 'ㅜ' most frequently occurred. In vowels such as 'ㅏ' and 'ㅣ' that, based on the Ll sound system, are not expected to cause difficulties among Japanese learners of Korean, however, no dominant error group appeared. In the case of 'ㅏ', errors written as 'ㅘ' accounted for about half the total errors, but the total instances of occurrence were less than 10. 3) Cross-occurring errors appeared between two vowels such as 'ㅏ' and 'ㅘ, 'ㅓ' and 'ㅗ', 'ㅜ' and 'ㅡ', and 'ㅐ' and 'ㅔ,' In the case of 'ㅓ' and 'ㅗ,' an erroneous recording of 'ㅓ' for 'ㅗ' and 'ㅗ' for 'ㅓ' happened at a similar rate. With 'ㅜ' and 'ㅡ,' however, 'ㅜ' for 'ㅡ' displayed a considerably higher frequency of occurrence than 'ㅡ' for 'ㅜ,' These tendencies coincide with the overlapping phenomenon of (어)-(오) and (우)-(으) in the analysis of the pronunciation of Japanese learners of Korean. In 'ㅐ' and 'ㅔ,' 'ㅐ' for 'ㅔ' occurred more frequently than 'ㅔ' for 'ㅐ,' and this seems to be caused by the unrepresentatively large number of occurrences of 'ㅔ' in the particle,'-ㅔ' These results display that differences in the Ll sound system and the L2 sound system influence the spelling acquisition of Korean learners. This may have some implications for KFL loaming and teaching in that elucidating a strong relationship between pronunciation errors and spelling errors will be useful in correcting spelling errors since a great number of these errors occur only because leamers have not yet acquired an exact pronunciation in perceiving and producing. ;본고는 일어를 모어로 하는 한국어 학습자의 일본어 모음 발음 체계가 한국어 모음 철자 습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그 결과를 통해 한국어 철자 학습과 교수에 보탬이 될 교육학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대학 부속 기관에서 한국어 수업을 받고 있는 48명의 일본인 학습자의 한 학기간의 받아쓰기 자료가 연구 자료로 사용되었다. I장에서는 선행 연구 검토를 통해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제시하고 II장에서는 일어와 한국어의 모음 체계 대조 분석을 통해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발음의 특성을 기술하고, 이를 통해 발음에서 기인한 모음 철자가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날지 가설을 세웠다. 그리고 III장에서는 조사 방법과 절차를 소개하고 IV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분석하고 결과분석을 통한 논의점과 교육학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V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론을 기술하였다. 본 연구가 발견한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모음별 철자 오류 발생율을 조사한 결과, 일어에 유사한 발음이 존재하지 않아 일본인 학습자가 어려움을 느끼는 발음인 (어) 와 (우)와 관련된 'ㅓ '와'ㅗ'에서 철자 오류가 가장 빈번히 발생하였다. 마찬가지로 그들에게 발음오류가 빈번히 나타나는 (으)와 (우)에 관련된 철자인'ㅡ' 와'ㅜ'에서도 비교적 높은 오류 빈도율을 나타냈다. 하지만 일어에 유사한 소리가 있어 일본인 학습자가 발음 시 어려움을 크게 느끼지 않는 [아] 와 [이]의 철자인 'ㅏ'와 'l'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오류율을 보였다. 이를 통해 Ll인 일본어에 유사한 음운이 존재하지 않는 한국어 모음 철자 경우 그렇지 않은 것에 비해 습득에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둘째, 각각의 철자의 오류 발생 양상을 살펴보면 특정 오류가 전체 오류에서 큰 비중을 차지함을 알 수 있었다. 'ㅓ'를 잘못 쓴 오류의 경우, 'ㅓ'를 'ㅗ'로 잘못 쓴 것이 'ㅓ'에 대한 전체 오류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이는 일본인 학습자들이 [어]를 [오]로 잘못 발음하는 습성이 철자에도 반영된 것으로 여겨진다. 마찬가지로 'ㅗ'에 대한 오류 중에서는 'ㅗ'를디 'ㅓ'잘못 쓴 것이 약 81.04%로 상당히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ㅜ'를 잘못 쓴 오류로는 'ㅡ'가 가장 많았다. 그리고 'ㅡ'의 경우는 'ㅡ'를 'ㅜ'로 잘못 쓴 오류가 전체 오류의 대부분인 94.63%로 나타났다. 한편, 일본어에 유사한 발음이 존재하여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가 큰 어려움을 느끼지 않는 모음 철자인 'ㅏ'와 'ㅣl'에 대한 오류의 경우, 지배적으로 많이 나타난 철자 오류는 관찰되지 않았다. 'ㅏ'는 'ㅘ'로 잘못 쓴 오류가 전체 오류의 57.69%로 나타나, 일본인 학습자들이 발음시 [아]를 [와]로 복모음화시켜 발음할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역으로 추측해 볼 수 있겠다. 셋째, 'ㅏ'와 'ㅘ', 'ㅓ'와 'ㅗ','ㅜ'와 'ㅡ', 'ㅐ'와 'ㅔ'사이에 나타나는 교차적 오류에 대해 살펴보았는데, 'ㅓ'와 'ㅗ' 경우,'ㅗ'를 'ㅓ'로 잘못 쓴 오류와 'ㅓ'를 'ㅗ'로 잘못 쓴 오류가 유사한 빈도로 발생하였다. 한편, 'ㅜ'와 'ㅡ' 경우, 'ㅡ'를 'ㅜ로 쓴 오류가 'ㅜ'를 'ㅡ'로 쓴 오류보다 현저하게 빈번히 발생했다. 이는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모음 포먼트 분석 결과에서 [어]와 [오], [우]와 [으]가 겹쳐지는 정도와 일치하였다. 한편,'H'와 'ㅐ'에서는 'ㅔ'를 'ㅔ'로 쓴 오류가 'ㅐ'를 'ㅔ'로 쓴 오류보다 빈번히 발생하였는데 이는 철자 'ㅔ'의 상당수가 조사 '-에'에서 나타난 것으로 그 반복적 출현이 정확한 철자 습득을 도와 'ㅐ'보다 오류율이 낮게 나타난 것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보아 Ll 발음체계와 L2 발음체계의 차이가 한국어 학습자들의 철자 오류 발생에 상당한 영향을 주고 있음과 학습자들이 발음에 어려움을 겪는 부분에서 철자 습득 또한 장애를 받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시 말해 상당수의 철자 오류가 학습자들이 이해, 생산 양 측면에서 정확 한 발음을 습득하지 못해서 발생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따라서 한국어 학습자나 한국어 교사가 발음 오류와 철자 오류가 깊은 관계가 있다는 것을 명시화해서 학습 · 교수하는 것은 외국어로서 한국어를 학습하는 학습자의 철자 오류를 교정하고 발음까지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i I. 서론 = 1 A. 연구 목적 = 1 B. 선행연구 = 4 II. 한국어와 일어의 모음 대비 = 8 A. 한국어와 일본어의 모음 체계 대비 = 8 B. 일본인의 한국어 모음 발음 분석 = 18 III. 조사 방법 = 23 A. 자료의 수집 방법 및 절차 = 23 B. 자료의 분석 및 처리 방법 = 26 1. 자료 선별 방법 = 26 2. 오류 빈도 산출 방법 = 27 IV. 결과 분석 및 논의 = 30 A. 결과 분석 = 30 1. 모음별 철자 오류 발생율 분석 결과 = 30 2. 각 모음별 철자 오류 발생 양상 분석 결과 = 34 3. 교차적 오류 분석 결과 = 50 4. 단계별 오류 발생율 분석 결과 = 57 B. 논의 및 시사점 = 59 V. 결론 및 제언 = 64 참고문헌 = 69 부록 = 73 ABSTRACT = 7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44793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일어권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 철자 오류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L1과 L2 발음체계 차이에서 기인한 오류를 중심으로-
dc.format.pageix, 7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한국학과-
dc.date.awarded200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