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905 Download: 0

대화 상대자에 따른 의사소통전략 사용 양상 연구

Title
대화 상대자에 따른 의사소통전략 사용 양상 연구
Authors
이민경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해영
Abstract
논문에서는 지금까지 의사소통전략이 대부분 어휘 및 의미 협상을 중심으로 논의되었던 것과 관점을 달리하여, 의사소통전략을 상호적, 비상호적 전략으로 나누어 대화 상대자에 따른 의사소통전략 사용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 대상으로는 일본어권 한국어 학습자를 선택하였으며, 대화 상대자로는 학습자의 목표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한국어 모어 화자(한국인)와 학습자와 모국어가 같은 한국어 학습자(일본인)를 두었다. 이 주제의 논의를 위해, 상호작용에서 일본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발화를 관찰하고 대화 상대자에 따른 의사소통전략의 사용 양상을 비교ㆍ분석함으로써, 학습자가 의사소통전략을 사용하는 데 대화 상대자가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의사소통에서 부딪치는 문제를 극복하고 발화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하는 의사소통전략은 제2 언어 학습자가 성공적인 상호작용을 하는 데에 매우 중요하다. 의사소통전략이 교수 가능한가에 대해서는 많은 이견이 있어 왔으나, 최근에 들어서 많은 연구자들이 의사소통전략의 교수 가능성과 훈련의 필요성을 주장하고 있다. 의사소통전략 훈련의 목적이 '교실'이라는 환경을 넘어 보통의 한국인들과의 자연스러운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데 있다고 보았을 때, 훈련에 앞서, 학습자가 다른 한국어 학습자와의 상호작용에서와 한국인과의 상호작용에서 사용하는 의사소통전략 양상 및 차이는 반드시 밝혀져야 할 부분이라고 생각하여 연구의 주제로 삼았다.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에 대해 서술하고 의사소통전략에 관련된 기존 연구들을 검토하였다. 의사소통전략을 살펴본 대부분의 국내외 논문들에서는 대화 상대자라는 변인을 고려하지 않거나 고려하더라도 의미 협상의 차원에서만 논의하였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대화 상대자에 따른 의사소통전략 사용 양상을 보기 위해 상호적, 비상호적 의사소통전략을 대상으로 하였다. Ⅱ장에서는 대화 상대자에 따른 의사소통전략 사용 양상 연구에 기반이 되는 이론적 배경으로, 의사소통전략의 정의 및 유형 분류를 살펴보았다. 그 중 대표적인 것으로 Tarone(1980), Faerch & Kasper(1984), Do¨rnyei & Scott(1997)의 논의를 정리하고, 본 연구에서 바라보는 의사소통전략의 정의 및 유형은 무엇인가를 제시하였다. Ⅲ장에서는 본 연구에 필요한 양적 자료를 구축하기 위해 사용한 연구 방법을 상세히 기술하였다. 상호작용에 참여한 피험자와 대화 상대자 정보, 발화 자료 수집 절차(1, 2차 예비 실험, 본실험)와 자료 분석 및 통계 처리 방법을 기술하였다. Ⅳ장에서는 본실험을 통해 수집된 발화 자료를 분석ㆍ통계 처리하여 얻은 결과를 바탕으로, 의사소통전략이 요구되는 네 가지 상황(언어 자원의 결함, 자기 발화 상의 문제, 대화 상대자의 발화 상의 문제, 시간적 압박)에서의 의사소통전략 사용 양상을 대화 상대자에 따라 비교ㆍ분석하였다. 그리고 그것이 대화 상대자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지도 살펴보았다. Ⅴ장에서는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종합적인 시각에서 재분석하였다. 일본어권 학습자들은 일본인보다 한국인과의 상호작용에서 의사소통전략을 많이 사용하였다. 이러한 면에서 그들이 성공적인 의사소통을 위해 해결하고 넘어가야 문제에 일본인보다 한국인과의 상호작용에서 더 많이 노출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한 의사소통전략에 있어서도, 일본인보다 한국인과의 상호작용에서 더욱 목표어 지향적인(target-like) 양상을 나타냈다. 그러나 일본인과의 상호작용에서는 한국인과의 상호작용에서는 나타나지 않은 이해 확인, 타인 수정 등이 나타나, 대화 상대자에게는 이해 가능한 출력(comprehensible output)을 제공하고, 대화 상대자의 발화를 이해 가능한 입력(comprehensible input)으로 만들고자 하는 노력이 보였다. 이상의 논의와 관련하여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갖는다. 첫째, 상호작용에서 대화 상대자가 의사소통전략 사용의 중요한 변인임에도 불구하고 배제되거나 의미 협상의 차원에서만 논의되었던 기존의 연구와 달리, 의사소통전략을 상호적, 비상호적 전략으로 나누어 대화 상대자에 따른 의사소통전략 사용 양상을 고찰한다. 둘째, 국내 한국어 학습자 중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는 일본어권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교육 현장에의 적용 가능성이 높다는 것에서도 그 의의를 둘 수 있겠다. 또한 이러한 본 논문의 연구 결과는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의사소통전략 교수 및 훈련을 위한 자료를 구축하는 데 일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The study on communication strategy has mainly focused on lexical item and negotiation of meaning so far. However this study will focus on an aspect of use of interactional and disinteractional communication strategy depending on an interlocutor. A target group of a research in this study is Japanese Korean learner and as their interlocutor there are two groups which are Korean native speaker(Korean) who speaks learner's target language and Japanese Korean learner(Japanese) who has same mother tongue with learner in target group. To observe an influence of an interlocutor to learners when they are using communication strategy, this study observes a speech of Japanese Korean learner in interaction and analyses an aspect of use of communication strategy depending on their interlocutor. It is important for second language learners using communication strategy to have a successful interaction efficiently overcoming problems occurred in their communication. It has been discussed if it's possible to instruct communication strategy to learners and recently many of researchers explain possibility and necessity of instructing communication strategy. Since a purpose of instructing learners communication strategy is to have a communication with native korean freely outside of classroom, prior to instruction, it should be observed the differences and the aspect of learners' using communication strategy depending on interlocutors, other learners and native koreans. This study is constituted as stated next. Chapter I is consisted the object and necessity of the study and the description of prior studies about communication strategy. These prior studies about communication strategy mostly didn't considered about an interlocutor, even so, they only showed in an aspect of meaning negotiation. However to observe an aspect of learners' using communication strategy depending on interlocutors, this study takes interactional and disinteractional communication strategy occurring through general interaction as a target to study. Chapter Ⅱ carries the back ground of this study especially Tarone(1980), Faerch & Kasper(1984), Dornyei & Scott(1997). It also explains a definition and taxonomies of communication strategy and suggests a definition and taxonomies of communication strategy conducted in this study. Chapter Ⅲ describes the research method used for building quantitative data for the main research. Also it describes the information of subjects and interlocutors participated in interaction and the procedure of collecting data in first, second subsidizing research and main research, and the method that used for data analysis and statistics. Chapter Ⅳ analyses the aspect of using communication strategy depending on interlocutors in four situations that demand communication strategy - resource deficit, own-performance problem, other-performance problem, processing time pressure- based on statistically analysed results from speech data collected from main research and also observes if the aspect of using communication strategy depending on interlocutors exposes meaningful differenc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