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72 Download: 0

요청 화행의 상호 작용 구조 분석 연구

Title
요청 화행의 상호 작용 구조 분석 연구
Authors
김은영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
Abstract
Focused on features of diverse strategies, most of studies on request are discussed from the view of the Speech Act Theory. However, Request in this study was approached from the view of the structure of the conversation rather than from the one of the Speech act Theory, In addition, this study chose Japanese Korean Learner(JKL) as a target group, and Korean Native Speaker(KNS), which is the target language, and Japanese Native Speaker (JNS), which is the Mother tongue, as reference groups. This subject is chosen based on several reasons, Firstly, since Request frequently takes place in all age groups and various situations, the range of study is significantly wide. Secondly, the output of the study could be applied to significantly large number of occasions because Korean Language education put great emphasis on Request from the beginner's class. Lastly, learners have difficulties in using Request properly although they frequently encounter situations requiring Request in daily life. Also, reasons that Japanese learners are chosen are as below. First of all, study on Japanese learners is not common even though majority of Korean Language learners are Japanese. Next, the academic desire arose to figure out whether learners who are speaking Japanese, known as the most similar language to Korean language in the Language structure, would show similar patterns as Korean Native speakers do in the developmental structure of Request. Chapter I is consisted of description of the object and necessity of the study, and explanation of existing studies focused on Research Method. While most of existing studies both internationally and domestically examined the use of strategies by observing Discourse Completion Test, the study conducted the Role Play to examine the structure of Request since the entire utterance should be observed in the situations developing Request, Chapter II examines the Speech Act Theory, which is the background of this study, the pre-structure in the Speech Act theory, the concept of Request, and finally the theoretical base of the Conversation Analysis. Chapter III describes the research method to collect necessary experimental data. The research method is to conduct two subsidizing experiments prior to the main experiment, to construct the development process of Request based on the data collected from the main experiment, and to analyze the result by using the frame of 19 structure formula. In Chapter IV, utilizing data from the main experiment, analysis on each group by situation and on each variable by social distance and power were conducted. As a result, Japanese Korean Learners(JKL) used the different development structure of Request from the one of Korean Native Speakers(KNS) and Japanese Native Speakers(JNS). Especially, they showed significantly a different pattern from the one of other two groups in cases of the equal power and the close social distance. The most evident reason might be that experimentees are randomly exposed to the situations of the equal power and the close social distance in Korean Language environment, the target language, despite they are advanced Korean Learners. Chapter V synthetically re-analyzes the research output. While KNS used the Request pattern without pre-requesting structure, JKL and 55 preferred the pre-requesting structure. In this aspect, JKL might be influenced by the Mother tongue, but the difference between JKL and JNS is that JNS employed the pattern of refusing with pre-requesting structure while JKL used the pattern of accepting with pre-requesting structure, It explains that a characteristic of Language Learners might make JKL choose accepting, which is low degree of Imposition rather than refusing, which is high degree of imposition although they are advanced learners. It shows that a characteristic of Language learners is to prefer to use the safer utterance structure. To conclud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several aspects First, unlike the existing researches focused on Speech Act Strategies, the research examined the structure of Request, As a result, the research claims that to educate the structure of overall utterance is important as well as to educate the strategies of Speech Act to improve the fluency of the advanced learners. Secondly, the research examined Japanese Korean Learners who are not academically observed enough to date although the majority of Korean Learners in Korea are Japanese. ;본 논문에서는 지금까지 요청 관련 연구의 대부분이 화행론적인 관점에서 다양한 전략들의 실현 양상을 중심으로 논의되었던 것과 관점을 달리하여 요청이라는 상황을 대화의 구조적인 면을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 대상으로는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JKL)를 선택하였으며, 비교 대상으로 학습자들의 목표어인 한국어 원어민 집단(KNS)과 학습자들의 모어인 일본어 원어민 집단(JNS)을 두었다. 요청의 상황은 모든 연령층과 다양한 상황에서 번번하게 일어나므로 연구의 폭이 넓고, 한국어 교육에 있어서도 초급 단계부터 큰 비중을 두고 가르치고 있어서 연구 결과의 활용도가 높을 것이며, 학습자들이 실제 생활에서 접하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지만, 적절하게 사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고 생각하여 연구의 주제로 삼고자 하였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에 대해 서술하고 이와 관련된 기존의 연구 성과를 연구 방법론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요청과 관련된 대부분의 국내외 논문은 담화 완성 테스트(DCT)를 통한 전략 사용 양상의 실태를 연구하는 것이었으나 본 논문에서는 요청의 구조적인 면을 살피기 위해서 요청이 전개되는 전체 발화가 실험 도구가 되어야 하므로 역할극(Role Play)을 실시하기로 하였다. II장에서는 예비구조, 요청, 대화분석의 개념에 대해 고찰하였다 III장에서는 본 논문에 필요한 많은 자료들을 수집하는 실험 방범에 대해 서술하였다. 즉 본 실험의 객관성과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 본 실험에 앞서 2번의 보조 실험을 시행하였으며 본 실험을 통해 얻어진 자료를 통해 요청의 전개 과정을 구조화시켜 19개의 구조 유형을 만들고 분석의 틀로 삼았다 IV장에서는 본 실험을 통해 얻어진 결과로 상황별 각 집단의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친밀도와 권력에 따른 변인별 분석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JKL)들은 대부분의 경우에 모어 원어민 집단(JNS)과 비슷한 양상을 보였는데 권력이 동등하거나 친밀도가 있는 상황에서는 한국어 원어민 집단(KNS)과 일본어 원어민 집단(JNS)과는 매우 다른 양상을 보여 주었다. 이러한 양상을 보인 가장 큰 이유는 대상이 고급 한국어 학습자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이 목표어인 한국어에서 권력이 동등한 경우와 친밀도가 있는 경우의 대화에 노출될 기회가 적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V장에서는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종합적인 시각으로 재분석하였다. 즉, KNS는 애비요청 구조가 없는 요청 구조 유형을 많이 사용한 것과는 달리 JKL과 JNS는 예비요청이 있는 구조 유형을 선호하였다. 이러한 면에서 JKL은 모어의 영향을 받았다고 할 수 있겠으나 이 두 집단의 차이는 JNS들은 예비요청 구조를 사용한 거절의 구조를 많이 사용하였고, JKL들은 예비요청은 사용하나 수락의 구조를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JKL들이 고급 학습자이기는 하나 '학습자'라는 특성상 '거절'이라는 부담이 높은 구조보다 '수락'이라는 부담이 낮은 구조를 택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좀 더 안전한 발화 구조를 이끌어내고 싶은 학습자들의 특징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상의 논의와 관련하여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갖는다. 첫째, 기존의 화행전략 중심적 요청 관련 논의들과 달리 요청의 구조적인 면을 고찰하여 고급 학습자들의 유창성 향상을 위해서는 화행 전략의 교육뿐만 아니라 전체 발화에 대한 구조적인 인식을 할 수 있게 해 주는 것 또한 중요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일본인 학습자들이 국내의 한국어 학습자 중에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가 아직도 많이 부족한 상황에서 일본인 학습자를 연구 대상으로 한 것에 그 의의를 둘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본 논문의 연구결과는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고급 학습자들의 유창성 향상을 위한 자료에 일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