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33 Download: 0

중산층주부의 여성주의 정치학과 사회자본 창출에 관한 연구

Title
중산층주부의 여성주의 정치학과 사회자본 창출에 관한 연구
Authors
김종미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대학원 여성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장필화
Abstract
This study starts with a critical mind that the current main feminist evaluation on the group of housewives might hamper the horizon of the feminist politics when it is grounded on the economical frame of monetary value. Accordingly, focusing on the group of housewives in the third sector who produce social good without making monetary value, the study tried to examine closely the feminist implication and the social role of this group with the case study of the middle class housewives participating in activities of the D branch of a M women's association to show their potential in a feminist context. With this study purpose, the research examined thoroughly the significance of the group of the middle class housewives participating in the local women's movement in the context of the feminist politics and the social capital. The study intended to exhibit how both the feminist politics and the social capital work under the mutual influence on one another, considering two dimensions of both the operation as an expansion of the feminist value and an empowerment, and the norm and network social capital, respectively. The discussions from the study results and its implication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study shows that the motivation of housewives to participate in the local women's movement reflects on the specific inclination of an individual housewife pursuing the common good and the ideology of gender division of work under the socially structured circumstances such as negative experience as a full-time housewife. The significant implications of this result is that the ideology of gender division of work influence on the condition of housewives' participation in civic labor not only positively but also negatively transcending the binary division of a full-time housewife and a working housewife. While the negative experience as a full-time housewife who are supposed to be economically dependent sets her to participate in the activities of civic labor, this negative experience has been converted to a positive one devoting to the common good of civic activities by positively utilizing the experience of a full-time housewife such as mothering. The examination on an operation of the feminist politics reveals that an expansion of ecofeminist value has been played as a key role in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local women's movement. The expansion of ecofeminist value seems possible through the discourses of 'the popular feminism' and the life politics under the political opportunity structure of a self-governing system. This means that the middle class housewives have participated in civic activities as the main group in the process of expanding the ecofeminist value widening the horizon of feminist politics. The process of the expansion of ecofeminist value represents the competing process of two conflicting values which are the capitalistically development-oriented value as a socially dominating one and the ecofeminist value. From the successful case of 'the movement for protecting mountain Choan' which overcame the socially dominating value, the ecofeminist value proved to be played as a substantial role to change the society. The reviewing on the feminist politics in a context of empowerment reveals that the housewives participating in the activities of the local women's movement experience the empowerment both individually and collectively. The collective empowerment results from cohesion of network through the formation and enforcement of a sense of community. The most remarkable feature of the collective empowerment is that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relationship-oriented community atmosphere of housewives in the form of sisterhood and horizontal leadership. It is inferred that this kind of community atmosphere came from the embodied care ethics grounded on the experience of housewives shown in the aspect of mutual care and trust among the members of the housewife network. Meanwhile, the study shows that individual empowerment and collective empowerment are operated under mutual reinforcement. The individual empowerment of a housewife who has experienced her self-strengthening raises her devotion to the community with an affection toward it, which inspires her activism. This political activism results in reinforcement of network empowerment with promoting the cohesiveness of the members, which leads to lifting the individual empowerment. This mutual reinforcement between the two aspects of empowerment is regarded as a significant feature of relationship-oriented community atmosphere. This also implies that the culture of the relationship-oriented community of housewives plays an essential role for operating feminist politics. The research confirms that the deterrent factors in the process of formation and intensification of empowerment lead to the crisis of discontinuing the activities. The crisis came from an internal factor like the personal conflict among members and an external one such as the desire for an economic achievement and a gender role conflict which reveals the matter of social structure like patriarchy. It is worthy of notice that the personal conflict among community members shows the negative side of relationship-oriented community culture. The study discusses that the operating/expanding of the feminist politics and producing/expanding of social capital are closely interconnected. The community of housewives consists of both the norm and network social capital in a sense that it is the network sharing the norm of ecofeminist value. The operation of the feminist politics by the expansion of ecofeminist value means an increasement of norm social capital while the intensification of relationship among members followed by reinforcing the empowerment leads to expansion of network social capital. Conversely, network social capital functions as a structurally essential prerequisite to promote the expansion of ecofeminist value. The social capital produced by the housewives who participate in the local women's movement reveals its unique feature in an ecofeminism context. Consequently, the study discusses the possibility of conceptualizing the ecofeminism social capital in a sense that the norm social capital comes from the ecofeminist value pursued by the housewives caring the local community and ecosystem and the pattern of producing the network social capital associated with the culture of relationship-oriented community grounded on care ethics.;본 연구는 주부에 대한 여성주의 평가가 화폐가치에 기반 한 경제틀에 머물 때 여성주의 정치학의 지평을 협소하게 만들 수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에 따라 화폐가치를 창출하지 않는 주부들 중에서도 사회적 공적 선을 창출하는 제3섹터의 주부집단이 존재한다는 것에 주목하며 M여성단체 D지회의 지역여성운동에 참여하는 주부들을 사례로 이들의 여성주의적 의의와 사회적 역할을 규명함으로써 주부집단이 가진 잠재성을 적극 드러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가지고 본 연구는 지역여성운동에 참여하고 있는 중산층 주부집단의 의의를 여성주의 정치학 작동과 사회자본 창출의 두 맥락에서 검토하였다. 여성주의 정치학은 생태여성주의 가치의 확장과 임파워먼트의 두 차원으로, 사회자본은 규범 사회자본과 네트워크 사회자본의 두 차원으로 나누어 이들이 어떠한 방식으로 상호 영향력을 미치며 작동되고 있는가를 드러내고자 했다. 이와 같은 검토 과정을 거쳐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와 함의를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주부가 지역여성운동에 참여하는 동기에는 공동체적 가치를 추구하는 개인의 특정한 성향과 전업주부가 겪는 부정적 성별분업의 경험과 같은 사회구조적인 상황이 동시에 투영되고 있음이 드러났다. 이러한 결과가 의미하는 중요한 함의는 주부가 취업주부와 전업주부라는 이분법에서 벗어나 지역여성운동이라는 공적 시민 활동에 종사하는 제3섹터의 주부가 되기 위한 조건에는 성별분업이 긍정적이면서 동시에 부정적인 요소로 개입되고 있다는 점이다. 즉, 경제적 의존을 당연시하고 있는 성별분업의 문제를 분명히 보이는 전업주부가 갖는 부정적 측면이 참여 동기에 직접적으로 작용하고 있는가 하면 그들은 그러한 한계를 시민활동을 통해 공적 가치 기여로 전환시킴으로써 성별분업에 의한 주부경험을 긍정적 차원에서 작동시키고 있는 양면적 모습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둘째, 여성주의적 가치 확장의 차원으로 여성주의 정치학을 검토해 본 결과 생태여성주의 가치 확산은 지역여성운동의 형성과 성장에서 중추적 역할을 해 왔음이 드러났다. 이러한 생태여성주의 가치 확산은 지역여성운동이 성장하는 과정에서 대중 페미니즘의 담론과 함께 생활정치의 담론이 지자제의 실시라는 정치적 기회구조와 맞물리면서 가능했다. 이러한 사실은 중산층 주부집단이 생태여성주의 가치를 확산시키는 과정에서 주체로 참여했다는 것을 의미하며 또한 주부집단이 여성주의 정치학의 지평을 확장시키는데 결정적 역할을 담당해 왔다는 사실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셋째, 생태여성주의 가치가 확산되는 과정은 사회의 지배적 주류 가치인 자본주의적 개발중심주의의 가치, 그리고 가부장적 가치와 경합하고 갈등하는 과정이었으며 초안산지키기운동과 같은 성공적 개별운동은 생태여성주의 가치가 그러한 지배적 주류의 가치를 극복함으로써 여성주의 정치학의 확장을 도모한 좋은 사례라고 볼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결과는 생태여성주의 가치가 사회를 변혁시켜 나가는데 실질적으로 강력한 정치력의 동인이 될 수 있음을 드러내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넷째, 임파워먼트 차원에서 여성주의 정치학을 검토해 본 결과 지역여성운동이라는 시민사회 활동을 경험하는 주부들은 자신의 삶의 통제력을 증대시키는 자기강화라는 개인적 임파워먼트를 개별적으로 경험하고 있었다. 공동체 성원들이 네트워크 차원에서 경험하는 임파워먼트는 공동체 의식 형성과 강화로 인한 네트워크 응집력 도모, 그리고 성원들 간의 개인적 관계 맺기 과정에서 경험하는 주부들의 관계 지향적 문화 개입의 양상으로 나타났다. 공동체 성원들이 관계 맺기 차원에서 경험하는 임파워먼트 과정에는 자매애나 수평적 리더십과 같은 관계 지향적인 여성조직의 특성이 네트워크 임파워먼트의 결정적인 요인으로 작동되고 있음을 드러냈다. 이러한 조직문화는 주부들의 전업주부 경험 안에서 체화된 보살핌 윤리가 상호배려와 신뢰의 모습으로 나타나면서 네트워크 임파워먼트를 도모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개인적 임파워먼트와 네트워크 차원에서의 임파워먼트는 상호 강화시키는 방식으로 작동이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 강화를 경험한 주부들의 개인적 임파워먼트는 공동체에 대한 헌신성과 애정을 높이면서 행동주의의 기반으로 작용됨으로써 네트워크 임파워먼트를 확장시켰다. 동시에 공동체 성원들의 관계성을 높이게 되는 네트워크 임파워먼트는 다시 공동체 성원들 개인의 자기 강화로 이어지고 있었다. 이와 같은 개인과 네트워크 차원의 임파워먼트의 상호 강화성은 관계 지향적 조직 문화가 갖는 중요한 특성이라고 사료된다. 이것은 주부 공동체의 관계 지향적 문화가 여성주의 정치학 작동과 확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는 것이기도 하다. 다섯째, 임파원먼트가 형성되고 확장되는 과정에는 그것을 가로막는 장애요소가 활동중단이라는 위기를 형성하는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주부들이 여성주의 정치학을 작동 혹은 확장시키는 과정에서 걸림돌로 작용하게 되는 그러한 갈등에는 공동체 성원들 간의 관계성에서 비롯되는 인적 갈등이라는 내부적 요소와 경제적 성취의 욕구, 성역할의 갈등을 초래하는 성별분업과 같은 공동체 외부적 요소가 작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외부적 갈등 요소는 가부장제의 사회구조적 문제가 투영되고 있는 결과라고 볼 수 있다. 한편 여기서 특히 주목되는 점은 인적 갈등이라는 공동체 내부적 요소는 주부들 공동체의 관계 지향적 문화가 갖는 역기능을 드러내는 일이라는 사실이다. 즉, 관계 지향적 공동체 문화는 성원들 간의 상호 배려나 자매애와 같은 순기능으로 작용되기도 하지만 그러한 관계성이 성원들 간의 감정적 갈등으로 이어질 때 활동의 위기로 나타나게 되는 역기능의 면을 동시에 보이고 있는 것이다. 여섯째, 지역여성운동에 참여하는 중산층 주부들의 여성주의 정치학 작동/확장은 사회자본의 창출/확장과 긴밀히 연관되고 있음이 드러났다. 이들 주부 공동체는 생태여성주의 가치라는 규범을 공유하는 네트워크라는 점에서 그 자체로서 사회적 규범 차원과 네트워크 차원에서의 사회자본을 구성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생태여성주의 가치 확장에 따른 여성주의 정치학의 작동은 사회적 가치규범 확산이라는 점에서 규범 차원 사회자본의 확장을 의미하며 임파워먼트 확장에 따른 공동체 성원들 간의 관계성 증대는 곧 네트워크 사회자본의 확장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동시에 역으로 네트워크 사회자본은 생태여성주의 가치를 확장시키고 임파워먼트를 형성/확장시키는데 있어 구조적 필요 요건으로 기능한다. 일곱째, 지역여성운동에 참여하는 주부들이 창출하고 있는 사회자본은 생태여성주의와 관계된 고유한 특성을 드러내고 있었다. 규범 차원에서의 사회자본은 지역사회와 생태계를 돌보는 생태여성주의 가치로 구성이 되고 있으며 네트워크 차원에서의 사회자본이 구성되는 방식은 보살핌의 윤리가 개입된 관계 지향적 조직문화를 드러내고 있다는 점에서 생태여성주의 사회자본이라고 개념화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