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0 Download: 0

김윤덕 전승 향제 줄풍류의 뒷풍류 연구

Title
김윤덕 전승 향제 줄풍류의 뒷풍류 연구
Authors
신미란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문재숙
Abstract
"Julpungryu" may be divided into "Julpungryu" inherited by national traditional music institutes and "Hyangje Julpungryu". Various Sanjo masters of many generations were Pungryu masters, too. Kim Yun-deok was one of them who left a Gayagum Sanjo of his style and his traditional Hyangje Julpungryu.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posterior Pungryu" of Kim Yun-deok's traditional Julpungryu in his chronological order and in comparison between Iri Hyangje Julpungryu and National Traditional Music Institute Julpungryu.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Kim Yun-deok's traditional Pungryu and Iri Hyangje Pungryu are same in terms of chapter composition:'Gyemyon replacement", "Yangcheong replacement","Ujo replacement" and "Pungryu Gutgori", but "Pungryu Gutgori" does not exists in National Traditional Music Institute Pungryu. In terms of beat number and makeup methods, three Pungryus are same, but makeup methods are different; Iri Hyangje Pungryu uses makeup most. In addition, in terms of "Pungryu Gutgori" chapter, Iri Pungryu and Kim Yun-deok's traditional Hyangje Pungryu are same in makeup methods and beat number, but his Pungryu is more similar to national Traditional Music Institute Pungryu in terms of "Yangcheong replacement" and"Ujo replacement". Upon reviewing the rhythm styles, it could be found that Kim Yun-deok's traditional Pungryu is more similar to Iri Hyangje Pungryu when compared by means of a rhythm style table. In view of original and varied rhythms, the original rhythms appear most in National Traditional MUsic Institute Pungryu, followed by Iri Huangje Pungryu. In contrast, Kim Yun-deok's traditional Pungryu divides and diversify the rhythms more, shile using the varied ones more.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melodies, it was found that Kim Yun-deok's traditional Pungryu and Iri Hyangje Pungryu are much similar to each other in three chapters of "Gyemyon replacement", "yangcheong replacement" and "Ujo replacement". Rhythm division is similar between two. Merely, the former Pungryu divide rhythms more, using the omaments less. Especially, different melodies appear in Pungryu Gutgori considerably(about 26.5%). IN terms of composition, the mark "B" (Namryo)Kim Yun-deok's traditional Pungryu is indicated as "C" (Muik) in Iri Hyanfje Pungryu. As a result of comparatively analyzing Kim Yun-deok's traditional Pungryu and national Traditional Music one in terms of melodies, it was found that the cases of the same melodies and sound progressions account for less than 20% of the entire chapers, the cases where rhythms and melodies are different but similar melodies of the same framed sounds account for about 60%, and different melodies account for about 20%. Rherefore, it seems to be difficult to find some special relationship between two Pungryus in terms of melodies except that the frame of music is same. As discussed above, the three Pungryus are grounded on the same musical frame, but thy have developed differeritly depending on regions or performance techniques. Kim Yun-deok's traditional Hyangje Julpungryu may be characterized by less decorated and plain melodies and rhythms but individual uniqueness, but seems to share much with Iri Hyangje Julpungryu due to continued exchange between the two.;줄 풍류는 국립국악원에서 전승하는 줄풍류와 향제 줄풍류가 있다. 역대 여러 산조의 명인들은 풍류의 명인이기도 하였는데, 김윤덕 또한 산조와 풍류를 겸한 명인중의 한 사람으로 김윤덕류 가야금 산조와 김윤덕 전승 향제 줄 풍류를 남겼다. 본 논문에서는 김윤덕 전승 향제 줄 풍류의 뒷 풍류를 중심으로 연구하였으며, 김윤덕의 연보와 관련지어 이리 향제 줄 풍류와 국립국악원 줄 풍류를 비교연구 하였다. 연구결과 악장 구성에서 김윤덕 전승 풍류와 이리 향제 풍류는 <계면환입>, <양청환입>, <우조환입>, <풍류굿거리>로 동일하였으나, 국립국악원 풍류에는<풍류굿거리> 악장이 존재하지 않았다. 장단 수와 분장법에서는 세 풍류의 장단 수는 동일하나, 분장법에 차이가 있었고, 분장(分場)을 가장 많이 한 풍류는 이리 향제 풍류이다. 또한 <풍류굿거리> 악장에서는 이리 향제 풍류와 김윤덕 전승 향제 풍류의 분장법과 장단 수가 같으나,<양청황입>과<우조환입>에서는 국립국악원 풍류와 분장법이 더욱 유사함을 알수 있었다. 리듬유형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리듬 유형표를 기준으로 대조하였을때 김윤덕 전승 풍류와 이리 향제 풍류가 더욱 유사함을 볼수 있었다. 원형, 변형리듬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 원형리듬은 국립국악원 풍류에 가장 많이 출현하였고, 이리 향제 풍류 또한 원형리듬이 많이 사용되었는데, 김윤덕 전승 풍류는 리듬분할을 좀더 세분화하고 다양화하여 변형된 리듬을 많이 사용하였다. 선율의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김윤덕 전승 풍류와 이리 향제 풍류는 <계면황입>, <양청환입>, <우조환입>의 세 악장에서 음 진행이 거의 유사함을 알수 있었다. 리듬 분할 또한 같은 부분이 많았는데, 김윤덕 전승 풍류에서 리듬이 좀더 세분화된 부분이 많았고, 꾸밈음의 사용이 적었다. 풍류굿거리에서는 특징적으로 상당부분 다른 선율(약 26.5%)이 출현하고, 구성음 면에서도 김윤덕 전승 풍류에서 B(남려)로 표기된 부분이 이리 향제 풍류에서는 C(무역)으로 표기되어 차이점을 보인다. 김윤덕 전승 풍류와 국립국악원 풍류의 선율 비교결과를 살펴보면, 전 악장에서 같은 선율인 경우와 음 진행이 같은 경우가 20% 미만이고, 리듬과 선율이 동일하지는 않지만 골격음이 같은 유사 선율인 경우가 약60%, 다른 선율인 경우가 약20%였다. 그러므로 음악의 근간이 같다 할 수 있는것 이외의 선율 면에서 특별한 관계는 찾기는 어려운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이 세 풍류는 음악의 근간을 같이하면서도 지역별, 또는 연주가 별로 다르게 발전되어왔다. 김윤덕 전승 향제 줄풍류는 많이 꾸미지않고 담백한 선율과 리듬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개인의 음악성이 잘 나타난 풍류이고, 이리향제 줄풍류와의 꾸준한 교류로 인해 선율적으로 많은 부분을 공유하였다고 할 수 있겠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