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92 Download: 0

성폭력' 피해 구성과 그 의미에 관한 연구

Title
성폭력' 피해 구성과 그 의미에 관한 연구
Authors
변혜정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여성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장필화
Abstract
This study is to review the suffering and resistances of sexual violence victims that can not be discussed within a general frame of anti-sexual violence movement discourses. It also aims to assert a new anti-sexual violence discourse saying that sexual violence victims are not passive victims but independent human beings who can express their feelings, talk about experiences and hurts. This study discusses the contradiction of sexual engagement, not based on the dichotomy of agreed sexual relationship vs disagreed / against one's intention/ unwanted sexual relationship but on whether a women's body wants it or not. This study also attempted, based on women's sensibility, to point out a departure point of sexual violence. By the voices of women, women's identity, desire, resistance, and will to change can be listened. What does a 'sexual violence victim' mean can only be understood when a narrative truth is secured between past experiences and present memories. Following are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First, expected roles of man and women, sense of value, and moral standards regarding sexual relationship, the most important elements in maintaining heterosexual love may differ between men and women, and they are subject to changes. Nowadays, unmarried women's traditional equation of sex-love-marriage seems to be disintegrating, however, Korean women in general still want to remain 'a women of the man' and they do not want to express themselves in sexual relationship. Married women as well want to live peacefully within the established frame of married life. They want to remain faithful to the established sexual norm as 'a woman of the man' because a praise of 'good women'is given to them as a reward and women want it. The negotiation process to be recognized and rewarded for 'being a woman of the man' is a conspiracy for maintaining the gendered desire (meaning both man and woman want to perform their socially accepted roles). The more women are dependent and perform the socially- expected role of woman, the more they can expect support from man, and this solidifies the established concept of woman and man. Woman's customary participation in sexual relationship represents their mental status being dependent on man, and the mentality is remembered by woman's body. Women's flexible body, an integrated entity composed of both body and mind, however, is bound to makean attempt to correct, though it might be only to a limited extent, the uneven relationship, while not wanting to upset the existing 'a woman of the man' relationship. Woman, as a sexual being, may venture to express their sexual desire, however, possibility for obtaining man's concession to her will is not easy and limited. In this regard, women's submissive sexual relationship may be tantamount to being exposed to sexual violence. Second, in the course of continually experiencing the gendered sexuality, the feeling of insult over being treated as 'an object for sex'became engraved not only in the mind of women but in their bodies, which is contradictory to the gendered desire of women. Ultimately, women began questioning the meaning of the contradiction. As women's body is a flexible entity, woman with flexible body began to try to have their voices heard in their intimate relationships. Going through countless anguishes, enthusiasm to live a new life, unspoken desires for various sexual experiences, disintegration of the imposed identity, restoration of healthy self, women with the experience of sexual violence would arrive at the port of a new life. It is the result of resistances on the part of women concerned, which, in women studies, is called 'agency of resistance'. In this regard, the conflicts and revolutionary disturbances in the identity and self- respect of women can be said to constitute sexual violence. Women of sexual victim talk about their experiences and express their desire to live differently, and they are beyond a sexual victim but an independent human being with much self esteem. Sexual violence as an embodied experience may put women in different position, and enforce them to see from a totally different perspective who they are and what happened to them. This process often reveal 'submissive sexual relationship' that they have accepted without questioning was actually a sexual violence. Third, naming, from the perspective of early feminism, the denial of sexual desire, absence of self, infringement on equal relationship (infringement on inter-subjectivity), damaged sense of self respect, 'sexual violence' or' violence in intimate relationship', bring women to reflect upon themselves. In other words, they would see sexual violence from a position where the sexual differences and women's agency crosses. Only when we understand woman's sexual experience as an embodied experience, sexual violence can be discussed as not a factual truth but a narrative truth, far different from thus far discussions. This is a departure point of the author's suggestions regarding the strategies and discourses of anti-sexual violence movement. This study found that solving the problem of sexual violence requires changes in women's economic and social status, changes in the established ideas of women (for example, femininity), open-mindness toward sexuality, enhanced self-respect, changes in the trained-to be-a woman habits As women are sensitive to physical violence, they should open their eyes to psychological and social violence being committed against them. ;본 연구는 이제까지의 반(反)성폭력담론의 틀 안에서 설명될 수 없는, 여성들의 고통을 '다양한 의미'의 성폭력 피해(victimization)로 위치시켜 반성폭력담론을 다시 쓰기 위한 것이다. 이것은 그 여성들이 수동적인 피해자가 아니라 여성 주체임을 논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동의(성관계) vs 동의하지 않음/의사에 반함/원하지 않음(성폭력)의 이분법이 아닌, 성적 참여(engagement)시의 여성의 행위성(agency) 개념을 통해 성적 참여의 모순을 언어화했다. 그리고 여성의 감수성(sensibility) 개념을 통해 어떠한 맥락에서 그 모순이 피해로 구성되는지를 분석하였다. 관습적인 남성성과 여성성의 상호 작용(interaction)을 통해 구성되는 여성들의 목소리를 통해 여성의 정체성, 욕망, 저항 그리고 변화 의지를 읽을 수 있었다. 과거의 경험과 현재의 기억 사이에서 여성 주체의 의미투쟁을 통해, 여성 목소리의 진실성(narrative truth)이 확보될 때 피해의 의미는 설득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성애를 유지시키는 내용, 역할, 가치, 규범은 성별에 따라 다르게 몸에 체화(embodied)된다. 여성은 자신에게 주어진 조건에 순응할 때 '괜찮은 여성'이라는 보상이 따르며 때로는 여성 스스로 그 보상을 원한다. '그 남자의 여자'로 인정받고 보상받는 협상 과정은 성별화된 욕망의 유지로, 이것은 여성의 정체성을 더욱 공고하게 하는 기제로 작동한다. 남성과 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관습적인 성적 참여는 결국 여성의 정체성을 설명하는 방식이 되며 여성 몸의 경험으로 습관화된다. 그러나 유동적인 몸은 '그 남자의 여자로서'의 관계를 파괴하지 않는 정도에서 그 관계를 변화시키려는 시도를 한다. 이는 성적 주체로의 변화의 가능성일 수 있으나, 여성의 협상의 가능성은 제한적이며 쉽지 않다. 따라서 거부하지 않는 여성의 성경험은 성별화된 욕망의 실현으로 피해의 조건을 구성한다. 둘째, 지속적으로 성별화된 성을 경험하는 과정에서, 성적 대상으로서의 '모욕감'은 여성의 몸에 기억되며, 이것은 성별화된 여성의 욕망과 모순 관계에 놓인다. 다양한 담론의 경합을 통해 '몸이 있는 여성 주체'는 그 모순의 의미를 질문하기 시작한다. 친밀성에 관한 새로운 담론의 제시, 다양한 성경험, 관계의 위협, 자아의 고양 등으로 자신의 삶과 정체성에 대해 변화와 갈등을 겪으면서, 여성들은 몸이 기억하는 자존감의 침해를 그 관계 안의 '성폭력' 피해로 구성한다. 이것은 창조적인 여성의 행위성의 결과이다. 따라서 여성 주체가 의미 투쟁을 거쳐 피해를 말한다는 것은 고통, 좌절, 억울함, 분노의 과정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여성의 다르게 살려는 열망의 표현이다. 몸의 경험(embodied experience)으로서의 성폭력에 대한 이해는, 여성 정체성을 위협하는 다양한 맥락과 주체 위치의 이동에 따라, 그 피해의 의미가 변화될 수 있다는 것과 그 여성이 저항하는, 변화하는(becoming) 주체임을 말할 수 있다. 셋째, 친밀한 성관계에 있어서의 욕망의 부정, 자율성, 관계성(intersubjectivity)의 침해로 인한 여성의 자존심 손상을 초기의 페미니스트 문제의식을 빌어 친밀한 관계의 '성폭력'으로 언어화하였다. 이는 그 경험이 왜 문제인지를 드러내어 여성들이 자신의 관계에 대해 직면할 수 있게 한다. 체화된 경험으로서 여성들의 성경험의 의미화 과정을 통한 성폭력 피해 구성 과정은, 이제까지의 반성폭력운동의 전략과 담론에 대한 비판과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할 수 있다. 그러므로 성폭력 문제의 해결은 여성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는 물적 조건의 변화와 함께 여성성의 변화, 다양한 성적 실천 등의 성적 자존감 고양을 위한 개인 여성의 힘 기르기/몸의 습관 바꾸기 등의 훈련이다. 친밀한 관계 안의 강간/성폭력 문제를 분석한 본 연구의 여성학적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제까지의 성폭력을 문제화하는 방법과 달리, 여성 주체가 구성하는 피해 의미로 성폭력을 다시 보기를 시도했다. 다양한 여성의 몸에 영향 주는 성별 권력이 다양한 여성의 맥락에 의해 다른 의미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것은 그 여성이 살고 있는 사회를 변화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다. 그러므로 여성 주체에 의한 성폭력의 다양한 의미가 말해지면 성폭력에 대한 고정 관념, 이미지를 해체할 수 있다. 또한 규범적 의미로 성폭력의 의미/기준과 여성들의 경험 사이의 긴장 관계를 분석하는 것은 성폭력이 결국 무엇을 침해했는지를 다시 강조할 수 있다. 둘째, 체화된 경험이라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연구자는 몸에 기반한 행위성의 개념을 도입했다. 행위성을 강조하면 그것은 피해일 수 없다는 것에 대한 비판으로, 행위성이 작동됨에도 여성 주체가 경험하는 고통이 왜 피해가 되는지를 체화된 성차(sexual difference), 섹슈얼리티, 여성성의 구성 속에서 분석하였다. 체화된 여성성 남성성의 상호작용의 결과가 여성의 몸적 통합성(bodily integrity)을 침해하며, 여성들은 제한적 조건에서 자신이 할 수 있는 가능한 방법으로 공모, 협상, 때로는 그 한계 내에서 저항한다. 결국 여성성이 실현되는 과정에서 행위성은 계속 생산되며, 결국 피해를 언어화할 수 있다. 이러한 여성의 행위성은 제한적 조건 안에서 다양한 여성의 맥락에 따라 다르게 작동하는 다양한 방식의 여성의 능동성이다. 그 관계에서 여성의 능동성은 피해를 피해로 느끼게 만들 뿐 아니라 그 피해를 넘어 설 수 있기 때문에 성별 권력이 작동하는 이 사회에서의 여성의 힘이다.셋째, 반성폭력법 제정/개정운동으로 수렴되고 있는 우리 사회에서 복잡한 여성의 경험들이 설명될 수 있다면, 특정 종류의 보임(visibility)를 포함해야 하는 법 담론과도 맞설 수 있다. 몸의 증거와 관련된, 예를 들면 관찰자에 의해 보여 질 수 있는 객관성을 요구하는 법 담론과 투쟁하기 위해서는, 보여지지 않는 증거, 보일 수 없는 증거인 여성들의 맥락에 따른 이야기가 성폭력 증거로서 제시되어야 한다. 여성들의 이야기의 진실성(narrative truth)이 확보되어, 입증할 수 없는 가시적이지 않는 피해가 성폭력의 피해라는 특수성이 담론화 될 때, 증거의 의미도 변화될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