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10 Download: 0

어른을 대상으로 하는 그림책의 컨텐츠에 관한 연구

Title
어른을 대상으로 하는 그림책의 컨텐츠에 관한 연구
Authors
엄유진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시각정보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기
Abstract
Images in the picture book construct prolific implications through various relationships with the text. Not only literal languages but also the pictorial languages play their own role and actively contribute in developing the story in the picture book. Although text and image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expressive function of language, their relationship can be defined as heteromorphic but homogeneous in a manner that they both are intrinsically a 'language' which deal with human nature. By utilizing and combining linguistic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ext and image, we can establish unique semiotic system which cannot be achieved from other media. Nevertheless, in spite of many advantages and potential as an adult literature, picture books are yet generally recognized as a juvenile reading. The picture book should not be classified by the age of readers but by the form of linguistic communication from other Genre of books. Although picture books can be an effective communication medium for those cognitively immature children to visualize the object, regarding the picture book as the children's book is improper. This sort of prejudice will restrict the function and latent expressive possibilities of the picture book. The special expressional methods used in the picture book can convey messages more effectively when meaningful reaction and cognitive process of a reader are reflected in both content and language. Though there lies a common value for both adult and child in the picture book, not all worthy books for adult are necessarily good for child, and vice versa. Adult and child have different reason when choosing a picture book and different manner while reading one. Realizing these, study on the contents of the picture book especially for grown-ups is necessary. The content and purpose of the the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nalyze how language and particular expressive functions contained in the picture book will expand its domain and value when provided for adul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adult picture book is mainly compared with that of the children's picture book. The comparative analysis have been progressed according to three criteria which are expressional methods, range of subject matters, and functional role of picture book. Second, materialize the relationships between text and image through various examples. The relationship between image and text in a picture book can appear in a various way because they bear organic connection with each other. Third, present an original work of adult-oriented picture book based on this study. There are numerous kind of subjects that can be selected for adult-oriented picture book but in the presented picture book is a story about a juvenile mind that lies within an adult. The ultimate purpose of the picture book is to raise a smile for a child who lives inside an adult. This study has been developed to share the delight and affection in a picture book and to create my own new world of picture book. Study on the relationship and function of text and image will continue until there are language and art. Moreover, it is presumed that the genre of picture book will flourish and emerge from juvenile reading with various contents and forms. Future studies should overcome dichotomous criterion, such as child and adult, and find more various and subdivided criteria exceeding the limit of 'children's picture book'.;그림책 속의 그림은 글과의 다양한 관계를 통해 풍부한 의미 작용을 일으킨다. 문자 언어 뿐만 아니라 그림 언어가 스스로 역할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이야기를 전개해나간다는 점에서 그림책의 소통방식은 일반 서적의 소통방식과 차이가 있다. 글과 그림은 표현 방식에 있어서 서로 다른 점이 많지만, 궁극적으로 인간의 본질에 관해서 말하고 있는 '언어'라는 점에서 이형동질의 관계라고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글과 그림이 가지는 언어적 공통점과 차이점을 잘 활용하고 조합하면 다른 매체를 통해서는 얻기 힘든 독특한 기호 체계를 만들 수 있다. 하지만 많은 장점과 성인 문학으로서의 잠재력을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는 그림책은 어린이 독자를 전제로 한다는 인식이 지배적이다. 그림책은 독자층의 연령 제한에 의해서가 아니라 언어를 소통하는 방식에 의해서 다른 매체들과 구분되는 장르이다. 물론 언어능력이나 인지발달이 미숙한 어린이들에게 있어서 대상을 시각화할 수 있는 그림책이 훌륭한 소통의 도구가 되는 것은 사실이지만, 그렇다고 해서 그림책이 반드시 어린이를 독자를 전제해야한다고 생각하는 것은 옳지 않다. 이러한 편견은 결과적으로 그림책의 기능과 표현 가능성을 제한한다. 그림책의 특별한 표현 방식은 보는 사람의 다양한 기대와 인지 방식, 그리고 의미 있는 반응을 염두에 두고 이야기의 내용과 언어를 선택할 때 더욱 효과적으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본 연구자는 그림책이 어른과 어린이 모두에게 공유되는 가치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어른에게 가치 있는 책이 반드시 어린이에게 적당한 것은 아니고 그 역도 마찬가지라는 점, 그리고 어른과 어린이가 그림책을 선택하는 이유나 읽는 방법이 많이 다르다는 점을 자각하여, 특별히 어른을 대상으로 하는 그림책의 컨텐츠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느꼈다. 연구의 내용과 목적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그림책의 특별한 표현 방식이 어린이가 아닌 어른을 대상으로 했을 때 그 영역과 가치가 어떻게 확장될 수 있는가를 분석한다. 어른을 대상으로 하는 그림책의 특성에 대한 연구는 주로 어린이 그림책의 특성과 비교되어 이루어졌다. 비교 분석은 독자를 인지 방식을 염두에 둔 표현의 양식과 이야기 속에 담길 수 있는 내용의 영역, 그리고 그림책이 가지는 기능적 역할이라는 세 가지 기준에 의하여 진행되었다. 둘째, 다양한 사례를 통해 그림과 글의 관계를 연구하고 유형화한다. 그림책의 그림은 글과 유기적인 관계를 이루어 이야기를 진행하기 때문에 그 관계는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글과 그림이 상호 보완하는 관계와 모순을 일으키는 관계, 글이 생략되고 그림이 주가 되는 관계, 그리고 그림이 글의 종속적 역할을 하는 관계로 유형화하였다. 셋째, 연구의 내용을 토대로 하여 본인이 어른을 대상으로 하는 창작 그림책을 제시한다. 어른을 대상으로 하는 그림책의 소재는 무궁무진하지만, 본 논문에서는 어른 안에 잠들어 있는 동심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하였다. <오리와 철학자>라는 제목의 그림책은 어른 속에 살고 있는 어린이로 하여금 웃음 짓게 하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였으며, 제작 과정에서 글과 그림의 운용 방식과 표현의 측면에서 많은 것은 경험할 수 있었다. 좋은 그림책을 보았을 때 느낄 수 있는 기쁨과 애정을 더 많은 사람들과 공유하고 싶은 마음, 그리고 새로운 그림책의 세계를 본인이 직접 창조해보고 싶은 마음에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림책은 지금까지의 어린이용 책으로서의 위치와 범위를 넘어 다양한 내용과 형식이 실험되는 장르로 번창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후의 연구는 어린이와 어른이라는 이분법적인 기준에 의해서가 아닌, 보다 세분화된 기준을 통해 이루어지기를 기대해본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