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2 Download: 0

가방을 적용한 상의의류 디자인 연구

Title
가방을 적용한 상의의류 디자인 연구
Authors
안혜진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류직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진숙
Abstract
현대 패션은 새로운 사고방식과 표현욕구의 다양화로 정해진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잘 어울린다고 느껴지는 것을 규칙에 얽매이지 않고 혼합 및 재구성함으로써 복식의 다양한 조류를 가져왔다. 이는 새로운 미적 가치를 갈망하는 현대인의 감성과 맞물려 그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의상 뿐 아니라 액세서리의 착용으로 완성된 토탈패션을 추구하여 자신의 개성과 자주성을 확립하고자 하는 경향으로 표출되고 있다. 이는 액세서리 산업의 활성화를 가져왔으며 패션산업에서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어 효과적인 자기표현 수단으로 정착하게 되었다. 이러한 액세서리 중 특히 가방은 일상생활의 필수품으로 의상의 완성도를 높여주며 유행에 민감하게 영향을 받을 뿐 아니라 크기에 제한이 없고 소비자의 기호 및 사용목적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 소재, 색상으로 변화를 줄 수 있어 창의적인 디자인 실현을 위한 디자인 원천으로 영감을 제공해 주기 충분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방이라는 대상을 선정하여 가방의 일반적인 범주에 해당하는 마케팅이나 가방디자인에 국한된 선행연구에서 벗어나 새로운 창조의 장으로 가방을 의상에 접목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행이나 개성에 민감한 18∼24세 여대생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가방과 의복의 양쪽 측면을 결합하여 창조적이고 조화로운 상의의류디자인을 개발하는 것이다. 먼저, 가방을 의복에 적용하기 위해 문헌자료 및 인터넷자료, 시장조사를 통한 사진자료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즉, 가방을 착용방법별로 양 어깨에 메는 방법, 한쪽 어깨에 메는 방법, 크로스 형태로 두르는 방법, 허리에 차는 방법, 옷에 부착하여 착용하는 방법으로 구성방법을 분류하고 가방의 심미성을 결정짓는 형태에 따라 일반형, 자루형, 케이스형, 플랩형, 지갑형으로 분류하여 착용방법과 형태별로 조합하여 의상에 적용하였다. 또한 가방을 의상에 적용시 현행 트랜드를 반영하여 유행패션을 예측하기 위하여 18∼24세를 타겟으로 판매하는 캐주얼 업체제품을 사진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조사된 캐주얼 의류제품은 가방의 부자재 및 디테일 특성에 따라 분류하여 버클이나 체인, 주머니, 지퍼, 비대칭형, 벨트, 스트링이나 끈의 활용으로 디자인 요소를 나누고 의상과 유기적으로 조합하여 실험의류 10벌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10벌의 실험의류는 착의 실험한 결과 선호도가 높은 순으로 실험의류 2-가(한쪽 어깨에 메는 방법과 일반형의 가방형태를 조합), 실험의류 4-나(허리에 차는 방법과 지갑형의 가방형태를 조합), 실험의류 4-가(허리에 차는 방법과 플랩 형의 가방형태를 조합) 실험의류 5-나(옷에 부착하여 착용하는 방법과 플랩형의 가방형태를 조합), 실험의류 1-가(양쪽 어깨에 메는 방법과 자루형의 가방형태를 조합)로 디자인 5벌을 선별하였다. 선별한 5벌은 1차 착의평가결과 디자인 제안사항 등을 반영하여 수정·보완하고 연구의류로 선정하여 실물제작하였다. 실물제작한 5벌의 연구의류는 착의평가결과 실험의류보다 맞음새, 적절성, 디자인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나 잘 적용되었음을 검증 받아 최종적으로 가방을 적용한 상의의류를 개발하였다.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가방을 현대 의상에 새로운 모티브로 착용방법 및 형태에 따라 의상에 적용하여 적합한 아이템임을 확인하고 동시에 시대적 감성에 부응하는 창조적인 디자인 대상임을 확인하였다. 둘째, 캐주얼 의류의 유행 디테일인 동시에 가방의 디테일인 스트링이나 체인, 버클, 끈 등의 장식적 요소를 적용하여 가방의 특성을 표현함으로써 가방의 디테일이 의상의 외관과 가방을 결정지을 만한 모티브임을 확인하였다. 셋째, 가방의 표현영역을 넓혀 차별화 된 의상 디자인의 표현매체로 확대 가능성이 인식되었다. 이와 같은 결론으로 본 연구에 모티브로 사용된 가방의 구조적 특성과 디테일 변화로 의상 디자인에 있어 새로운 요소로 의상 디자인 개발에 잠재적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Recent fashion trends achieve diversity of patterns of clothing by mixing and reconstituting with good matching items. These trends satisfy people who seek for new value of beauty and establish their individualities and independences through the total fashion with diverse accessories. Especially, these trends lead to active accessory markets, and also have been recognized as an important factor in entire fashion market. Bags have been dominant items in these trends, in sense that they are not only necessities of life, but also creative design resources. The bags contribute to perfection of fashion as necessities. As creative design resources, they can show diverse change in design pattern, materials, color, and size, depending on the purpose of use. Thus, the bags are able to affect total fashion as an initial design resource. Tthis study focuses on the bag design involved in total fashion rather than on typical bag design as shown in previous researc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creative and harmonious upper garments in good combination of bags and the sides of clothing. This study was performed with female college students whose age are from 18 to 24. First of all, based on the analyses for literatures, web-based resource, and market research, Bag designs were grouped by two different standards, the way to wear bags, or the forms to determine esthetics. There are many ways to wear bags: wear it on both shoulder, wear it on one shoulder, wear it as crossing on shoulder, wear it on waist, pin it to clothing. By esthetics standard, Bag designs were classified to popular form, sack form, case form, flap form, and wallet form. Based on these classifications, They were applied to clothing with combination of two classification methods. Casual brand item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from 18 to 24 year-old customers to anticipate fashion trends. All collected items were classified by materials and detail features, such as buckle, chain, pocket, zippers, asymmetric, belt, and string. Based on this classification, ten testing clothing were produced by systematic combination. 5 designs were selected out of 10 testing clothing by high preference order, testing 2-가 (combination of wearing on one shoulder and popular form), testing 4-나 (combination of wearing on waist and wallet form), testing 4-가 (combination of wearing on waist and flap form), testing 5-나 (combination of pinning to clothing and flap form), testing 1-가 (combination of wearing on both shoulder and sack form). These selected clothing were further modified based on survey results and actual clothing were produced. 5 actual clothing were assessed improved in fitting, appropriateness, and overall design. Finally, upper garment was manufactured, applied to bag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ags are ideal for creative fashion in respect that they reflect modern trend. Second, ornamental materials such as string, chain, and buckle, which used to be details of clothing, are useful to 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bags more effectively. This result has shown that details of bags are important determinant of entire fashion details. Third, it expands the sphere of expression of the bag, so the possibility of expansion to a distinguished expression of fashion design is recognized. From the study, we understood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f detail of bags, proposing that the bags take important part in fashion design developme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