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양옥경-
dc.contributor.author송지영-
dc.creator송지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9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9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3434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920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4348-
dc.description.abstract지역사회정신보건센터에서 일하는 정신보건사회복지사는 환자와 그 가족, 지역주민을 클라이언트로 한다. 정신보건사회복지사는 사회적 문제, 인간관계의 활동 및 문제, 특히 가족간의 대인관계 및 역할, 기능의 문제를 환자와 관련된 가족 및 환자, 의미 있는 타인들에게 설명하여 주며, 치료팀의 일원으로 가담하여 정신장애인을 도와주는 기능을 해야(Patch & Vettraino, 1974 ; 이영실, 1989)하는데, 중요한 점은 정신보건사회복지사는 정신보건사회복지의 어느 한 기능에 중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환자의 예방, 치료, 재활적 측면의 통합적 기능에 모든 초점을 두어야 한다(이영실, 1995)는 것이다. 이와 같은 클라이언트의 재활적 측면을 강화시키기 위해서는 클라이언트의 동기를 촉진시키는 것이 필요하며, 궁극적으로는 클라이언트의 변화된 삶의 환경에 적응하고 대처해나갈 수 있는 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임파워먼트 형성은 사회복지실천의 핵심적인 역할이며, 많은 학자들에 의하여 클라이언트의 임파워먼트 형성의 매개체는 사회복지사 자신임이 강조되어왔다. 하지만 사회복지사의 임파워먼트를 증대시키기 위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약했던 것이 사실이었고, 우리나라에서 정신보건사회복지사에 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정신보건센터에서 근무하고 있는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임파워먼트 수준 및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검토하고자 한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지역사회정신보건센터의 경영이나 행정에 정책적 함의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조직특성 변수, 직무특성 변수, 개인특성 변수로 분류하는 임파워먼트의 영향력을 고찰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설정된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1】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임파워먼트 수준을 파악한다. 【2】조직특성 변수들이 정신보건사회복지사들의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3】직무특성 변수들이 정신보건사회복지사들의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4】개인특성 변수들이 정신보건사회복지사들의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5】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임파워먼트에 상대적으로 많은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살펴본다. 먼저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들을 통하여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크게 조직특성요인, 직무특성요인, 개인특성요인으로 설정하였다. 조직특성요인으로는 리더쉽, 직원개발기회, 보상체계를, 직무특성요인으로는 과업다양성, 과업중요성, 개인특성변수로는 자아존중감, 통제위치인 자율적 자기통제와 대인통제로 설정하였다.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임파워먼트를 측정하기 위하여 Donal R Leslie, Carol M Holzhalb, Thomas P Holland(1998)가 개발한 사회복지사의 임파워먼트 척도(WES)를 사용하였다. 이 척도는 임파워먼트를 업무환경통제, 업무수행관련성, 개인적업무지향으로 분류하여 하위척도를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전체 임파워먼트를 종속변수로 선정하여 분석한 후 세부적으로 각각의 하위척도 역시 종속변수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는 전국 지역사회정신보건센터 48개 중 정신보건사회복지사가 근무하고 있는 곳 33개의 지역사회정신보건센터의 정신보건사회복지사 73명을 대상으로 전수조사를 하였으며 자료수집은 2004년 4월 17일 ∼ 2004년 5월 10일까지 약 4주간 조사가 진행되었으며, 총 73부 중 59부의 설문지가 회송되었으나, 답이 불성실하고 적합하지 않은 2부는 제외하여 최종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총 57부였다. 자료 분석 방법으로는 신뢰도 검증,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으로는 성별에 있어 여자가 94.7% (54명), 남자가 5.3%(3명)의 분포를 보였으며, 학력에 있어서는 대졸이 59.6%(34명)를 차지하였고, 대학원 재학중이 28.1%(16명), 대학원 졸업은 12.3%(7명)를 차지하여 40.4%(23명)가 대학원재학중 이상의 고학력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종교에 있어서는 개신교가 57.9%(33명), 무교가 21.1(12명), 천주교가 15.8%(9명), 불교가 5.3%(3명) 순으로 나타났으며, 개신교가 전체 응답자의 과반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전공여부에 관해서는 학부 사회복지 전공자가 96.5%(55명), 학부에서는 사회복지 이외의 전공, 대학원에서 사회복지 전공자가 3.5%(2명)를 차지하였다. 정신보건센터에서는 학부나 대학원에서 사회복지를 전공하지 않은 정신보건사회복지사는 없음을 알 수 있다. 주요 담당 분야를 살펴보면 주간재활프로그램이 33.3%(19명), 사례관리가 21.1%(12명), 기타(노숙자관리 사업, 아동청소년 관련 사업, 학교사회사업 등) 17.6%(10명), 사업기획 및 예산 14.0%(8명), 직업재활 14.0%(8명) 순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 중 약 90%가 클라이언트의 직접적인 서비스를 담당하고 있었다. 직위에 있어서는 일반정신보건사회복지사가 78.9%(45명)이었고, 팀장급 정신보건사회복지사가 12.3%(7명), 선임 정신보건사회복지사가 8.8%(5명)을 차지하였다.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자격급수는 2급이 94.7%(54명), 1급은 5.3%(3명)으로 나타났으며, 지역사회정신보건센터에서 일하는 대부분의 정신보건사회복지사는 2급 자격 소지자로 조사되었다. 조직특성 변수의 기술적 분석을 살펴보면, 먼저 보상체계에 대한 평균은 2.7281점으로 Likert 5점 척도 중 그저 그렇다 (3점) 이하를 나타내고 있고 조직특성 변수 중에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냈다. 전반적으로 정신보건센터의 보상체계에 대한 공정성과 만족성은 낮게 나타나고 있다. 보상체계 중 가장 만족스러운 항목으로는 "내가 수행하고 있는 직무는 나에게 성장기회를 제공해 준다."로 5점 기준으로 3.9123점이었고, 불만족스러운 항목은 "우리 조직 내에서는 노력한 결과만큼의 충분한 승진기회가 제공되어 있다." 와 "우리 조직에서는 모든 과업에 대해 훌륭한 일과 기여에 대하여 보상을 한다.로 각각 평균 2.3509점이었다. 정신보건사회복지사들은 일을 통해 얻는 자신의 성장기회 제공 등에 대해서는 대체로 만족하는 반면, 승진기회, 기여에 대한 보상에 대한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이유는 정신보건센터가 소수의 인원으로 구성되고 이직률이 높기 때문에 승진의 한계가 있기 때문인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정신보건사회복지사가 인식한 정신보건센터의 리더에 대한 평가인 정신보건센터장의 리더쉽에 대한 평균은 2.8170점으로 보상체계에 이어 낮은 값을 나타냈다. 대부분의 정신보건센터에서 정신보건센터장은 비상근으로 근무하고 있는 실정이라서 이러한 분포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다. 직원개발 기회는 3.4094점으로 보상체계에 비해서는 높은 점수를 나타내고 있다. 직무특성 변수의 기술적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과업다양성에 대한 인식은 3.9591점으로 높았고, 과업중요성은 모든 독립변수 중에서 가장 높은 4.1316점을 나타냈다. 정신보건사회복지사들은 본인이 담당하고 있는 업무에 대하여 다양한 기술과 재능을 필요로 하며 자신의 업무가 정신보건센터에 중요한 영향을 끼치고, 자신의 업무가 비교적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개인특성 변수의 기술적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총점 5점을 표준화하였을 때 자아 존중감의 평균은 3.9737점으로 높은 점수를 나타내고 있다. 자기통제의 평균은 3.9193점으로 정신보건사회복지사들은 타인의 생각이나 영향보다 자기의 판단이나 생각에 기반 하여 행동하고 선택하는 경향이 높다고 볼 수 있다. 대인통제의 평균은 3.6798점으로 개인특성 변수 중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차지하고 있지만, 총점 5점 중에서 3.67점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정신보건사회복지사들의 타인에 대한 영향력은 비교적 높은 수치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로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자아존중감, 자기통제, 대인통제 수준은 상당히 높다고 볼 수 있다.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임파워먼트을 살펴보면, 총점 5점으로 표준화하였을 때 전체 임파워먼트 평균은 3.6676점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영역별로 보면, 업무환경통제는 3.7485점, 업무수행관련성은 3.3947점으로 가장 낮은 임파워먼트 수준을 보이고 있고, 개인적 업무지향은 3.8596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임파워먼트 수준은 비교적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독립변수들과 종속변수인 임파워먼트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 변수별 회귀분석, 종합 회귀분석의 분석방법을 활용하였다. 상관관계 분석 결과로는, 본 연구에서 설정했던 대부분의 독립변수와 종속변수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임파워먼트에 상대적으로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하는 독립변수를 추출하기 위해 종합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체 임파워먼트와 모든 독립변수, 일반적 사항과의 종합 회귀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조직특성 변수 중에서는 보상체계와 리더쉽이, 직무특성 변수 중에서는 과업중요성, 개인특성 변수 중에서는 자아존중감, 자기통제가, 일반적 사항에서는 근무경력이 많을수록 전체 임파워먼트에 상대적으로 많은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전체 임파워먼트와 각각의 특성 변수들의 회귀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개인특성 변수의 조정된 R²가 .344으로 전체 임파워먼트 설명하는 데 가장 높은 설명력을 나타냈으며, 직무특성 변수의 조정된 R²가 .198, 조직특성 변수의 조정된 R²가 .136 순으로 각 변수의 전체 임파워먼트에 대한 설명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검증을 통해, 전체 임파워먼트에 상대적으로 높은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개인특성 변수였으며, 상대적으로 가장 낮은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조직특성 변수라고 볼 수 있다. 업무환경통제와 모든 독립변수와의 종합회귀 분석의 결과를 살펴보면, 조직특성 변에서는 보상체계와 리더쉽이, 직무특성 변수에서는 과업중요성이, 일반적 사항에서는 직위가 높을수록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고 볼 수 있었고, 개인특성 변수에서 자아존중감, 자기통제 변수가 업무환경통제에 상대적으로 많은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업무환경통제와 각각의 특성 변수들의 회귀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개인특성 변수의 조정된 R²가 .364로 업무환경통제를 설명하는데 가장 높은 설명력을 나타냈으며, 직무특성 변수의 조정된 R²가 .114, 조직특성 변수의 조정된 R²가 -.016 순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업무환경통제에서도 역시 개인특성 변수의 설명력이 가장 높았고, 조직특성 변수의 설명력은 현저하게 낮았다. 업무수행 관련성과 모든 독립변수와의 종합분석의 결과를 살펴보면, 업무수행관련성에 가장 결정적인 영향을 주는 변수로는 조직특성 변수 중 리더쉽 변수를 들 수 있으며, 직무특성에는 과업다양성 변수, 개인특성 변수에서는 자기통제 변수가 , 업무수행관련성에 상대적 영향력이 높은 변수임을 알 수 있었다. 업무수행 관련성과 각각의 특성 변수들의 회귀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조직특성 변수의 조정된 R²가 .144로 업무수행 관련성을 높게 설명하고 있고, 개인특성 변수의 조정된 R²가 .085, 직무특성 변수가 .068 순으로 업무수행 관련성과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업무수행 관련성의 경우 임파워먼트의 다른 하위개념과 비교해 볼 때. 특이할 만한 사항은 조직특성 변수인 리더쉽과 밀접한 관계에 있었다. 또한 각각의 특성 변수들의 회귀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조직특성 변수가 가장 높은 설명력을 나타냈고, 개인특성 변수나 직무특성 변수의 설명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를 보였다. 개인적 업무지향과 모든 독립변수와의 종합회귀 분석의 결과를 살펴보면, 조직특성 변수로는 보상체계와 직원개발기회 변수가, 직무특성 변수로는 과업중요성 변수가, 개인특성 변수로는 자아존중감과 자기통제 변수가, 일반적 사항에서는 근무경력이 많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개인적 업무지향에 영향을 주었다. 개인적 업무지향과 각각의 특성 변수들의 회귀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조직특성 변수의 조정된 R²가 .271로 개인적 업무지향을 설명하는데 월등히 높은 설명력을 나타냈으며, 개인특성 변수의 조정된 R²가 .223, 직무특성 변수의 조정된 R².가 074 순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본 연구에서 설정했던 독립변수 중에서 임파워먼트에 가장 결정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변수는 조직특성 변수 중 보상체계와 리더쉽 변수와 직무특성 변수 중 과업중요성 변수, 개인특성 변수 중 자아존중감과 자기통제 변수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임파워먼트 향상을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조직특성 변수와 관련해서, 첫 번째로, 공정하고 적절한 물리적·정서적 보상체계의 확충을 들 수 있다. 현재 정신보건센터의 재정수준을 고려해볼 때, 물리적 보상체계가 즉각적으로 확보되는 데는 어려움이 있으리라 판단된다. 하지만 2003년 12월 정신보건법의 개정 이후 정신보건센터의 보상체계가 체계화되어 가고 있는 과도기적 시점이라고 볼 수 있다. 보상체계는 비단 물리적 수단 뿐만 아니라 정서적 방법인 지지, 격려, 업무에 대한 공정한 평가, 성과에 대한 칭찬 등 다양한 방법들이 있을 수 있다. 일례로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대부분은 자신의 과업이 동료나 리더에게 인정받았을 때 임파워먼트 수준이 높아졌다고 하였다. 두 번째로, 정신보건센터장의 변혁적 리더쉽의 개발이 필요하다. 지역사회정신보건센터의 대부분은 직원수가 3 ∼ 20명 내외로 규모가 크지 않아 영리조직에 비해 리더와의 접촉이 많아야 하지만 정신보건센터장의 대부분이 비상근 인력으로 구분되어 있어 변혁적 리더쉽을 발휘할 기회조차 없는 것이 정신보건센터의 실정이다. 또한 리더의 성향과 생각은 조직 정책과 조직문화에 많은 영향을 주므로 직원들에게 만족과 신뢰를 줄 수 있는 리더의 리더쉽 개발이 시급하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변혁적 리더쉽의 주요한 특성은 자율성을 부여하고, 명확한 목표와 적절한 지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 리더쉽에 대한 평가가 2.8170점으로 중간(그저 그렇다)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이는 정신보건센터장의 리더쉽 개발이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직원들의 임파워먼트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리더쉽 개발이 중요한 이유는 앞서 제시하였던 보상체계, 뒤에 나올 직원개발 기회와 같은 기관의 정책을 실질적으로 결정하는 책임자이기 때문이다. 세 번째로, 조직적 차원에서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업무향상과 자기발전을 위한 직원개발 기회를 확대 ·실시할 것이다. 정신보건센터 내부에서 실시하는 직원개발 프로그램이 전무한 실정이지만, 외부 강의나 워크샵 등은 지역사회 정신보건사업을 중심으로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여서 본 연구에서 직원개발 기회에 대한 평가가 중간(그저 그렇다) 정도로 나타났다. 하지만 외부 강의나 워크샵 또한 개괄적 강의가 많아 담당영역과 관심영역에 적합한 직원 개발 프로그램을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욕구에 기반 하여야 하며, 특히 지역사회정신보건센터에서 근무하고 있는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관심과 업무에 관련된 직원 개발을 통해 정신보건사회복지사가 갖고 있는 능력의 최대한 발휘되게 하는 데 초점을 맞추어 개발되어야 한다. 또한 다양한 전문 기관에서 실시하고 있는 직원개발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가 정신보건사회복지사에게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직무특성 변수와 관련해서, 첫 번째로 업무에 대한 자세한 매뉴얼을 만들고, 선임자의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수퍼비전, 전문적 기술 습득을 위한 교육 등 지속적인 직원개발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두 번째로 담당하는 업무에 관한 의미를 충분히 파악하고 그 의미를 최대한 살릴 수 있는 방식으로 업무에 임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자신이 의미있고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분야에 대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적극 개발하여 본인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일을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가는 것도 중요할 것이다. 또한 정신보건사회복지사는 다른 전문가들과 팀으로 일하고, 정신보건센터 내에서 지역사회와 가장 긴밀한 연결이 되어있는 통로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함께 일하는 전문가들로부터 본인의 업무를 중요하게 인정받는 것 역시 본인의 업무에 대한 중요성을 더욱 높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본인의 적극적인 역할과 업무의 홍보를 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며 정신보건사회복지계 내에서 이루어지는 교육뿐 아니라, 전문적인 홍보 전략 교육을 접할 수 있는 기회도 제공되면 좋을 것이다. 개인특성과 관련하여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임파워먼트 향상을 위한 구체적인 전략으로 첫 번째로는, 정신보건사회복지사 개인이 가지고 있는 특성 즉, 장점·단점, 관심영역, 능력 등을 종합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공식적 회의를 만들고 이를 통해 개인의 특성에 가장 부합하고, 능력을 최대한 발현할 수 있는 업무를 배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자신에 대해, 자신의 업무에 대한 평가 및 재조정 기회를 가질 수 있게 하여 배치의 적절성에 대한 피드백 구조를 가져야 할 것이다. 두 번째로는 정신보건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셀프 임파워먼트 프로그램을 실시하거나 임파워먼트 실행계획서를 작성하게 하여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임파워먼트 수준을 직접적으로 높일 수 있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앞으로는 임파워먼트의 계속적인 연구와 논의 과정을 통해 더욱 더 섬세하고 명확한 임파워먼트 실체를 밝히는 작업과 이를 통한 효과적인 임파워먼트 개입 전략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For this study , I sought to examine the level of empowerment of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working at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s, and factors that affect empowerment in practical term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 tried to find implications on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s. In oder to accomplish the above purpose, I have identified the following factors - factors related to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factors related to work characteristics, and factors related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as factors affecting the empowerment of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The specific contents of the study contents of study contents are as below; 1. Identify the empowerment level of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2. Examine how variables related to the organization characteristics affect the empowerment of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3. Examine how variables related to the work characteristics affect the empowerment of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4. Examine how variables related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affect the empowerment of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5. Examine how variables affect the empowerment of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In the research by a preceding research, factors influencing the empowerment level of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are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work characteristics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Leadership, staff development opportunity and system of reward are the factors related to th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Task variety and task significance are the factors related to the work performance. Finally, self-esteem, self-control and other-control for locus of control are those which are relat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e measure of empowerment for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is used in the research, which was developed by Leslie, Holzhalb & Holland(1998). The measure further can be categorized into those sub-level areas - control of work environment, work relationships and personal work orientation. In the research the whole empowerment is a dependent variable to be analysed, also the sub-level measure are dependent variables. The investigation of this research was performed by analysing fifty seven sheets of questionnaire from seventy three total, which were replied mail from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who works for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independent variables and empowerment which is the dependent variable, I have used simple correlations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for each variable, regression analysis for each characteristic, regression analysis for the integrated dependent variable. Conclusion from the interrelation analysis are as folliow : 1.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 leadership, staff development opportunity and system of reward - are effectively interrelated in the area of whole and three sub-level empowerments, which i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can be inferred that the empowerment level of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is raised with a proper reward system, more staff development opportunities and reformative leadership of his or her senior official's leadership. 2. Task variety and task significance related to the work performance show static interrelationship with the empowerment level of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3.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such as self-esteem, self-control and other-control are statistically interrelated in the whole empowerment. It was, however, observed that the only effective interrelationship is self-esteem from the three sub-level empowerment areas, which shows that those factors relat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have relatively highest interrelationship than the other variables. Conclusions from the regression analysis are as follows: 1. The level of whole empowerment of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is relatively high, which marks 3.6676 from 5.0 total. Those factors which highly influence the whole empowerment were found; leadership, system of reward related to th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nd task significance related to the work performance. Among the factors, it was estimated that the most effective factor is system of reward, followed by leadership and task significance. 2. The level of control of work environment, one of the sub-level empowerments, marks 3.7485. System of reward related to th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show relatively high influence. Self-control also has an influence. It can be said that variables relat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are most effectively connected with the control of work environment, they statically influence with fair reward system. 3. The level of work relationship marks 3.3947, which is relatively lower than the other sub-level empowerment factors. Leadership, which is related to th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shows a high influence on work relationship, shows a high influence on work relationship, followed by system of reward. Task significance related to the work performance was also found to have an influence, which shows that work relationship can be increased with reformative leadership, proper reward system and recognition of task significance. 4. The level of work relationship marks 3.8596, which is relatively higher than any other sub-level empowerment factor. The factors which help us estimate the level of personal work orientation can be leadership and system of reward related to th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nd task significance related to the work performance. Based on the research result, it can be suggested to improve the empowerment of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as follows : 1. It can be estimated that proper and fair system of reward is related to the level of empowerment, which requires establishment of the rewarding system on financial & mental bases. 2. It was proved that the reformative leadership of leading social workers is connected with the empowerment of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3. It was found that task variety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empowerment level of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Unless, however, there should be little opportunity to learn technologies for the variety of task, it would not be possible for them to successfully perform their tasks. It may be a negative influence on the empowerment, so a continuing, investment in educating workers to acquire professional technologies. 4. It was observed that task significance is an effective factor to explain the empowerment level of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positive environment which enables them to affirmatively perform an important task, also to formally acknowledge for their current works. 5. As a final suggestion, it is necessary that further researches on empowerment of social workers working on various areas should be performed, a clear definition of the empowerment in proper terms should be prepared, which eventually leads to the integrated understanding and improvement in empowerment of social worker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 1 A. 문제제기 및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 목적 및 내용 = 5 C. 연구의 제한점 = 6 II. 이론적 배경 = 7 A. 임파워먼트의 이론적 배경 = 7 1. 임파워먼트의 개념의 이해 = 7 가. 조직구성원의 임파워먼트 개념 및 과정 = 8 2. 사회사업실천에서 임파워먼트 개념 = 12 가. 클라이언트의 임파워먼트 = 12 나. 임파워먼트의 개입방법 = 13 B.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15 1. 조직특성요인 = 15 가. 보상체계 = 15 나. 리더쉽 = 16 다. 직원개발 기회 = 17 2. 직무특성요인 = 17 3. 개인특성요인 = 19 가. 자아존중감 (self-esteem) = 19 나. 통제소재(자율적 자기통제 / 대인통제) = 19 C. 연구 질문 및 연구 모형 = 20 III. 연구 방법 = 25 A. 자료수집방법 = 25 B. 조작적 정의 및 측정도구 = 25 1. 종속변수 = 26 2. 독립변수 = 27 C. 측정도구의 신뢰도 검증 = 31 1. 신뢰도 검증 = 31 2. 지료분석 방법 = 32 IV. 연구 결과 = 33 A.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33 B. 각 독립변수들의 기술분석 = 39 C. 임파워먼트와 일반적 특성분석 = 42 D. 임파워먼트와 독립변수 : 상관관계 분석 = 51 E. 임파워먼트의 독립변수 : 회귀분석 = 57 F. 임파워먼트의 영향 : 종합분석 = 63 V. 결론 및 제언 = 70 A. 연구결과의 요약 및 논의 = 72 B.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임파워먼트 향상을 위한 제언 = 79 C.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 82 참고문헌 = 82 설문지 = 87 Abstract = 9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6161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dc.title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임파워먼트(Empowerment)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지역사회정신보건센터를 중심으로-
dc.format.pagexiv, 9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0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