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0 Download: 0

키치와 미술에 관한 연구

Title
키치와 미술에 관한 연구
Authors
전선영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학부회화·판화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덕현
Abstract
In this society of consumption, as industry and mass-media develops, people are forced to live superficial and sensuous life involuntarily. Also the development of printed media makes it possible to reproduce images or imagination, saturates with pop culture and brings about the changes in the functions or the status of art. One of the things that are affected most sensitively is the 'kitsch'. Kitsch, which has been known as 'the attitude of imitating or the imitation of the article', is fairly a jenre of art, though it's once considered vulgar. The kitsch phenomenon has occurred in the entire human history of culture. However, after the industrial revolution with the appearance of the society of consumption, the phenomenon starts to develop as the motion of new art to the mass of people who are neglected. Then in the beginning of 20th century, in this indiscreet consuming culture, the kitsch is again at it's best. The kitsch and the art are contrary concepts but still they have interacted so that the form of the kitsch is -intendedly or unintendedly- melted into people's life and emotion and applied to living art. Therefore the kitsch often means pop culture in modern society of consumption. Now, we better not discriminate between the art of quality and the kitsch like we used to because the kitsch is getting more important as an ironic art which makes use of itself. Generally speaking, the concept of kitsch is not limited to art, but it tells us one of the types of many human beings, so to speak, how we are related to other people or things. Spending money on the qualities can also be called as one of the kitschy attitude. When we talk about 'consumption' in modern society, we say it by the meaning of signs, especially 'symbolic exchange' which is accomplished to meet the desire of people nowadays rather than the process of material consumption that is originated by the economic value. By consuming, One tries to confirm his/her status and quality of life, and the problem of buying the qualities in the modern society occurs for the same reason. This is because the kitsch has not only its original function, but also social and unreasonable attributes, and as these facts combine, the consumer goods get attributes for kitsch finally. I would like to light up my own work in the aspect of the changes of moderner's life and culture, and the types of existence and presentation of art related to the life and culture of the present, by combining modern art with kitsch, and moreover religious kitsch with kitschy attitude moderners got with the qualities, based on the general treatises on the kitsch. As Freud once said that a man doesn't get happier, not he doesn't get more anxious by consuming, people who seek comfort by buying the qualities unconsciously as an indulgence have the attitude of kitsch itself. To clarify the problem of buying the qualities in the sense of religious kitsch, I produced some religious symbols which stimulates the desire of purchasing for people who want easy religious relief and comfort. I choosed to apply the concept of religious kitsch to my article because personally, I believe that both the virtual image of the quality and the dreamy experience of religion are possible only with the sensation. The concept of indulgence, especially, is used to produce my work because the concept is applied to the consumption of the qualities in the advertisements as well as in religion. The article visualizes the problem of symbolization in consumption of modern society by the act of artistic presentation interpreting and reproducing the symbols and images of this society and making them into the sacred works of art. I gathered the symbols and logos of the qualities, the symbols of the society of consumption, set them up in the article with the religious signs, shaped them, and embodied the kitschy images. I started my own piece of work from my kitschy attitude with the thought of the point of contact between the art and the reality.;현대는 첨단복제의 시대로 이미지와 상상력이 복제되어 그 본질이 왜곡되기도 하며 산업과 매스미디어의 발달로 인해 형식적이며 순간적, 감각적 삶을 무의식중에 강요하고 있다. 또한 대중매체를 통한 이미지 과포화상태로 인해 미술의 위상과 역할에 많은 역할을 초래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이 키치인 것이다. 과거 원품을 모방하는 태도로 일컬어졌던 키치는 저급한 것으로 인식되어져 왔지만 오늘날 현대 소비사회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예술 장르라 할 수 있다. 역사 속에서 어쩌면 항상 존재해왔다고도 할 수 있는 키치 현상은 산업혁명 이후 산업의 발달, 소비사회의 출현 등으로 예술개념에서 소외된 일반 대중들에게도 예술을 접할 기회를 주며 새로운 예술 활동으로 전개되어 오다가 20세기 초, 소비사회에서부터 제2의 전성기를 맞이하여 네오 키치의 시대인 현대에 이르고 있다. 이처럼 키치는 인간의 생활과 정서 속에 자연스럽게 융화되어 왔고 키치 미술은 생활미술로 활용되어져 왔다. 일반적으로 키치는 부정적인 것으로 이에 비해 키치는 긍정적인 것으로 인식되어 왔으나 이 구분은 임의적인 것으로 이들은 필연적인 공생관계를 유지한다. 오늘날 소비사회에서 키치는 대중문화라는 말로 통용되기도 하는데 이러한 시대적 배경 하에서 고급미술과 키치와의 구분을 짓는 것은 구시대적인 발상으로 이제 키치는 당당히 예술의 한 장르인 것이다. 포괄적으로 본다면 키치는 예술에 국한된 개념이기보다는 모든 사물과 인간이 어떻게 관계하는지를 보여주는 인간 존재방식의 한 유형으로 현대사회에서 문제시 되고 있는 명품을 소비의 문제 또한 하나의 키치적인 태도라 할 수 있다. 현대 사회의 '소비' 개념은 사용가치에 의해 발생하는 물적 소비의 과정보다는 인간의 욕망에 부응하여 이루어지는 '상징적 교환'의 기호적 측면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소비를 통해 인간은 자신의 삶의 질과 지위를 확인하고자 하는데 현대 명품소비의 문제도 이러한 맥락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이는 키치가 본래의 기능 외에도 사회적, 비이성적 속성들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현대 사회에서 소비 대상의 키치화 현상은 여러 가지 요소들이 결합된 형태로 나타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본인은 명품 소비에 관한 문제를 종교적 상징물의 제작을 통해 손쉽게 구원과 위안을 바라는 사람들의 구매욕을 자극하는 종교적인 키치의 맥락 아래 조명함으로 현대 소비사회에서 기호화 된 명품소비의 문제점을 명품 성물(聖物)과 광고물의 제작을 통해 문제의식을 제기한다. 이러한 문제의식은 소비사회가 만들어내는 기호와 이미지들을 해석하고 재가공하는 표현행위를 통해 시각화 하였다. 내용의 일관된 중심에는 호사 소비는 사람을 행복하게 하지는 못하지만 덜 불안하게 해준다는 프로이드의 말처럼 무의식중 광고에 세뇌되어 명품의 소비를 통해 심리적 위안과 면죄부를 얻으려는 현대인의 키치적 태도에서 기인하는 명품소비의 문제를 기호학적 소비에 초점을 맞추어 본인의 작업을 제작하고 논문을 쓰게 되었다. 본인은 일반적인 키치 연구를 바탕으로 현대미술과 키치와의 관계를 알아보고, 나아가 키치적 태도로서의 현대인의 명품에 집착하는 태도를 종교적인 키치와 접목함으로 소비사회 속에서 이루어지는 현대인의 삶과 문화, 그와 관계된 미술의 존재양식과 표현 양상 속에서 본인의 작품을 시각화하여 연구, 조명하고자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