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5 Download: 0

새로운 혈액저류 조영제를 이용한 신장 자기공명 영상의 유용성에 대한 실험적 연구

Title
새로운 혈액저류 조영제를 이용한 신장 자기공명 영상의 유용성에 대한 실험적 연구
Authors
조영아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이선화
Abstract
Magnetic Resonance imaging provides the unique capability to assess anatomy and functional aspects of the kidney in one exami nation. With use of fast MR sequence and new contrast agents, many have shown the potential for MR to provide excellent anatomic images, dynamic images and also the measurement of renal fun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usefulness using new blood pool contrast agents (Gadomer-17 and Gadofluorine-M) of renal MR imaging in comparison with Gd-DTPA. Renal MR imaging was obtained in 20 rabbits before and 1, 5, 10, 20 and 30 minutes after intravenous injection of 0.1mmol/kg Gd-DTPA, 0.05 & 0.1mmol/kg Gadomer-17, and 0.05 & 0.1mmol/kg Gadofluorine-M. The signal to noise ratio(SNR) and contrast to noise ratio (CNR) of the renal cortex, medulla and pelvis were measured over the time. The distinctness of visualized renal vessels were graded. There was similar shape of SNR and CNR curves of Gadomer-17 and Gd-DTPA. Sequential renal MR images showed gradual parenchymal enhancement and the collecting system with Gd-DTPA and Gadomer-17. As compared with Gd-DTPA, the renal vessels were well demonstrated with Gadomer-17. There was quite different shape of SNR and CNR curves of Gd-DTPA and Gadofluorine-M. The renal cortex, medulla and pelvis were not distinctly different tiated with Gadofluorine-M. 0.1mmol/kg Gadofluorine-M yielded excellent demonstration of the rabbit renal vessel (P<0.05). Gadomer-17 was found to be promising contrast agents for renal MR imaging; further evaluation in its utility for renal MR imaging in human is warranted. Gadofluorine-M provided greater vascular imaging than Gd-DTPA and Gadomer-17, but it is suboptimal for evaluation of renal parenchymal enhancement. ;신장은 복잡한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으로 인해 이상유무를 알아 보기 위해 여러 가지의 영상기기를 이용하여 검사하여야 한다. 최근 새롭고 빠른 영상기법의 개발과 조영제의 사용으로 인해 자기공명 영상을 이용한 신장의 구조와 기능의 평가가 활발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자기공명영상 조영제인 Gd-DPTA와 비교하여 새로운 혈액저류 조영제(blood pool contrast agents)가 신장 자기공명 영상시 유용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20마리의 토끼를 5군으로 나누어 각각 Gd-DTPA 0.1mmol/kg, Gadomer-17 0.05mmol/kg과 0.1mmol/kg, Gadofluorine-M 0.05mmol/kg과 0.1mmol/kg을 정맥 주사후 자기공명영상을 얻었다. T1- weighted 3D fast spoiled gradient echo 기법을 이용하여 신혈관과 신실질이 가장 잘 보이는 관상면의 조영증강 전, 증강 후 1분, 5분, 10분, 20분, 30분의 영상을 얻어서 신혈관의 선명도를 측정하고 각각 신피질, 신수질, 신우의 신호강도대 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 이하 SNR)와 대조 잡음비(Contrast to noise ratio, 이하 CNR)를 측정하였다. 신혈관의 선명성 정도는 Gadofluorine-M 0.1mmol/kg를 주입한 토끼 군에서 가장 우수하였고 Gadofluorine-M 0.05mmol/kg, Gadomer-17 0.1mmol/kg, Gadomer-17 0.05mmol/kg, Gd-DTPA 0.1mmol/kg 군의 순으로 우수하였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05). Gd-DPTA군과 Gadomer-17군의 시간에 대한 SNR과 CNR 곡선은 유사한 모양을 보였고 두 조영제군 모두 신피질, 신수질, 신우의 구별에 우수하였으며 신혈관은 Gadomer-17군에서 더 잘 보였다. 그리고 Gadofluorine-M군의 SNR과 CNR곡선은 Gd-DTPA 군과 Gadomer-17군과는 다른 모양을 보였고 신피질, 신수질, 신우의 구별이 잘 되지 않았으나 신혈관의 조영은 가장 우수하였다(p<0.05). 결론적으로 Gadomer-17은 Gd-DTPA군에 비해 신혈관 평가에는 더욱 우수하고 시간에 따른 신실질의 변화를 잘 볼 수 있는 장점을 가 지고 있어서 추후 신장 자기공명 영상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Gadofluorine-M은 신실질을 평가하거나 신장 배설 기능을 알아보는 데는 제한점이 있지만 자기공명 신혈관조영술시 같은 용량의 다른 조영제보다 우수한 영상을 얻을 수 있어서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