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3 Download: 0

최명희의 '혼불' 연구

Title
최명희의 '혼불' 연구
Authors
고운이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미현
Abstract
본 연구는 『혼불』의 원형 이미지 연구를 통해 작품의 상징체계를 파악하는 동시에, 이미지의 변모로 진행되는 서사의 특징을 살펴보고 그 서정성을 증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혼불』은 한국적 정신과 문화에 대한 탐구와 현현이 두드러지는 작품이며 이야기와 자료에서 한국적ㆍ전통적인 가치가 풍부한 작품이다. 그런데 지금까지 이에 대한 접근이 문화인류학적 관점에 치우쳐, 『혼불』이 지니고 있는 한국적이면서도 보편적인 '원형'에 대한 문학적 연구가 부족했다. '원형'이라는 틀로 『혼불』을 바라보는 것은 전통지향적이며 민속지(民俗誌)ㆍ자연지(自然誌)적인 작품의 특성을 아우를 수 있으며 작품의 전체적인 상징체계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된다. 융(C. G. Jung)에 의하면 원형은 그 자체로는 재현 불가능하여 상징을 통해 드러나게 마련이므로 재현된 심층적 경험의 상징적 형상인 '원형적 이미지'를 통해서 드러난다. 따라서 문학적 관점에서 원형을 연구한다는 것은 원형이 문학 작품 속에 드러나는 형태인 원형 이미지를 연구하는 것과 같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융의 원형 개념을 바탕으로 하고 바슐라르(G. Bachelard)가 물질적 상상력을 연구할 때 사용한 '현상학적 환원'을 거쳐 『혼불』의 원형 이미지를 불, 물, 공기, 대지라는 네 가지 기본 유형으로 나누어 연구했다. 이 과정에서 각 원소적 속성으로 수렴된 원형 이미지가 전통 사회를 장악하고 있던 기존 질서가 무너지고 무질서한 상태로 진입하는 작품의 서사와 함께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질서'란 작품 내에 시대적 배경과 함께 조직된 사회적 질서뿐만 아니라 원형적 자연 질서의 이미지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이 무질서화 과정에서의 '세력 대립'이 종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작품이 끝나므로 이 작품의 서사를 단순히 '몰락'이라고 보기보다는 외부의 침략과 내부의 저항으로 '총체적 혼돈 상태'에 처한 과도기 사회의 모습으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사의 이러한 '혼돈으로의 진행 양상'이 원형 이미지를 통해서도 나타나는 것이다. Ⅱ장의 A절에서는 『혼불』에 나타난 불의 이미지가 상승의 이미지에서 하강의 이미지로 변모하는 것을 살폈다. 불의 상승 이미지는 생과 사를 뛰어넘어 생명을 창조하는 초월자, 인간이면서도 신에 가까운 영웅적 존재의 이미지와 닿아있다. 청암부인을 둘러싼 불의 이미지가 생성과 상승에서 파생되는 창조의 이미지와 영원불사(永遠不死)의 이미지를 띠고 있는 것이다. 청암부인의 이미지는 부성(父性)의 원리를 지닌 태양의 창조적인 이미지를 띠고 있으며, 육신의 죽음을 맞이하고도 살아남은 청암부인의 정신인 '魂불' 이미지는 불멸을 상징한다. 그러나 불의 창조적 이미지는 춘복과 옹구네를 통해 성적(性的)이며 파괴적인 이미지로 변모하여 나타나고, 불멸의 이미지를 지니고 있던 '혼불' 또한 서사가 진행될수록 후퇴하여 마을은 어둠의 이미지를 갖게 된다. 이와 같은 하강의 이미지는 현실 사회에서 존재하는 이전투구, 정복하고 정복당하는 이미지를 통해 기존의 질서가 와해되어가는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B절에서는 물 이미지가 생산적 이미지에서 불모의 이미지로 변모하는 것을 분석하였다. 가장 두드러진 물의 상징인 마을 저수지 '청호'를 중심으로 한 물의 이미지가, 맑고 조용하며 생명을 돕는 이미지에서 오염되고 거칠어진 혹은 죽음을 상징하는 물의 이미지로 변모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맑은 물의 나르시스적 이미지는 저수지에 대한 청암부인의 애착과 강모와 강실 사이의 연애 감정을 드러내고, 모성적 속성을 지닌 물은 농경을 기본으로 삼고 있는 전통 사회의 풍경에서 성장과 풍요를 상징한다. 저수지의 확장으로 인해 물이 풍부해진 이씨 가문은 가세를 확장하고 부를 축적하게 되지만, 이야기가 진행되면서 나르시스의 이미지는 소멸하고 강모와 강실의 부드러움은 무기력한 이미지가 된다. 농경에 필요한 물도 부족해지고 문중의 젊은 여인 인월댁과 강실이 저수지에서 자살을 기도하여, 물은 죽음의 이미지를 뚜렷하게 띠게 되었다. C절에서는 『혼불』의 공기 이미지가 안정된 상태에서 불안정한 상태로 변모함을 살펴보았다. 정적이던 전통 사회의 모습이 점차 격동에 휘말리는 모습과 봄에서 겨울로의 계절적 배경의 변모로 인한 일부 등장인물의 시련 이미지가 공기의 질료성을 바탕으로 하여 드러난다. 봄바람이 주는 평화로움과 강실과 인월댁의 조용하고 여성적인 성격을 보여주던 미동의 공기는 그 운동성이 증가하면서 빠르고 거친 공격적인 공기로 변모하여 불길한 예감을 주고, 인물의 억압된 감정을 고양시키는 난폭한 이미지로 나타난다. 또한 봄의 따뜻한 햇살이 주는 안정감과 강모와 강실의 연애 감정을 드러내던 온기도 계절적 배경과 상황의 변화로 인해 공기가 차갑게 식으면서 소멸되고 혹독한 추위만이 남는다. 인물의 심적 고통이 강한 추위로 인해 가중되고 또 강조되는 등 추위의 이미지가 문중 인물들을 향해 집중되어 이씨 문중의 세력이 흔들리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D절에서는 대지의 이미지가 거주와 경작의 일상적 이미지에서 벗어난 일탈의 이미지로 변모하는 양상을 연구했다. 삶의 터전이며 마음의 고향인 대지와 그 대지의 상징을 품었던 여성 인물이 남성 인물에 의해 버림을 받는 유기의 이미지를 입는다. 강모는 모든 의무와 도덕적 책임을 외면한 채 도피하고 강실·효원·인월댁 등의 여성 인물은 남성의 자의적 이유에 의해 버림받는다. 그러나 여성 인물들은 고통을 감내하는 수동적인 대지의 이미지로만 나타난다. 또 인물과 자연이 합일된 평화로운 경작의 이미지를 지니고 있던 대지가 춘복의 강실 겁탈, 백단 내외의 투장 등 과격한 방식의 침탈 행위 대상으로 변한다. 그 혈통의 남다름을 내세워 대지를 소유하고 민촌 세력 위에 군림하던 양반 가문이 그들의 공격에서 '대지'를 지켜내지 못하는 것이다. 불, 물, 공기, 대지 이미지에 대한 Ⅱ장의 개별적 연구를 통해 작품의 상징체계를 파악할 수 있었다. 한편 원형적 이미지가 질서에서 혼돈이라는 방향으로 변모하는 일정한 패턴을 보이며 이것이 『혼불』의 서사와 함께 한다는 것을 확인하고, 이 작품이 이미지의 변모로 조직된 소설이기 때문에 '서정적'이라고 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따라서 주체와 객체가 합일된 '서정적 서사'인 『혼불』과 자아와 세계의 대결을 전제로 한 '근대적 서사'를 지닌 대하소설 혹은 역사소설과의 단순 비교는 지양해야 하는 것이다. 작품의 시간적 배경과 분량, 소재를 고려하여 『혼불』을 대하ㆍ역사소설로 분류한다면, 『혼불』의 서정성은 더욱 독자적인 개성일 수 있다. 광범위한 스펙트럼의 원형 이미지를 통해 사건과 배경ㆍ인물의 심리 등의 소설적 기반을 이미지화하고, 또 그 이미지의 변모를 통해 서사를 진행한 『혼불』은 우리 문학사에서 거의 모습을 보이지 않았던 '서정적 대하ㆍ역사소설'이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symbolic structure of 『Hon-bul』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archetype image and to inspect the feature of narrative by transfiguration of image and to prove the lyricism of this work. Hon-bul』 is prominent work in the regards of searching and manifestation of Korean spirit and culture, and valuable work as story and Korean traditional material. But the approaches toward this work have been inclined to view of cultural anthropology. Thus there is lack of Korean and general study of 'Archetype' about this work. Inspecting『Hon-bul』 by the scheme of Archetype is helpful to understand scheme of symbolism and grasp the feature of ethnographic and physiographic. According to C. G. Jung, the archetype can not reappear by oneself but only reveals by symbol. Thus, studying archetype of in the regards of literature is one with studying archetype image. Therefore, this thesis analyze archetype image of 『Hon-bul』 by 'fire', 'water' and 'air' and 'ground' based on the concept of Jung's archetype and phenomenological restoration of G. Bachelard. In this process, the archetype image that converged as elemental property is with the narratives of collapsed and confused the existing system. From this point of view, 'order' includes not only the order of society that affected by time but also archetypal provision of nature. But this work ends up with this confused conflict of power, thus we should consider that 'general confusion' which aroused by feature of transition period. Processing phase as confusion of narrative is exposed though the archetypal image. The chapter A of Ⅱ is about the images of 'fire'. The images are transfigured from rising state to falling state. The images of rising are close to deity and heroic being. Chung-am is a woman of fire, her images are creative and immortal. She has the image of paternally 'sun'. After she died, her soul is not disappear, it remain to immortality of the soul, 'Hon-bul'. But creative images of fire are changed to sexual and destructive images. And 'Hon-bul' of immortal image is disappear, then the village take the image of darkness. As explained, the images of falling state symbolize many quarrels of the real world and much effort for conquest. They represent falling the system of traditional community. The chapter B analyses the water's images of 『Hon-bul』 are changed from vitality to sterility. The most salient symbol of water is reservoir of the village 'Chung-ho'. The images of water changed from clear, restful and vital to polluted, rough and deathlike. Narcissus's images of clear water are expressed attachment of Chung-am to the reservoir and love between Gang-mo and Gang-sil. And the water of maternity symbolize growth and wealth at the traditional society based on farming. The Yi's family flourished because of enlarging reservoir, but the story moving bring disappearance the Narcissus's images and becoming enervate Gang-mo and Gang-sil's images. The water has taken images of death because the agricultural water run short, and In-wol-daik and Gang-sil attempted suicide at the reservoir. The chapter C is about transfiguration of the images of 'air' from stable to unstable. The calm images of traditional society are transfigured to chaotic images and the change of scenary from Spring to Winter symbolize pain of some characters. These transfiguration are based the image of air. A little movement of air represented peaceful of spring breeze and feminine character of In-wol-daik and Gang-sil. But the motility of the images are rising, they are changed aggressive images. The wild images of air brought a gloomy foreboding, and have been represented raising repressed emotion. A Sense of stability by Spring's genial sunshine and the warmth of love between Gang-mo and Gang-sil go out of sight, there remain the cold alone. The Strong coldness afflict the character of Yi's family. It shows that the power of Yi's family is going to ruin. In the chapter D, the ground's images of 『Hon-bul』 are examined the transfiguration from residence and cultivation to deviation. female characters have image of hometown, but male characters abandon them. Gang-mo escape to Bong-chun turning away all duty and responsibility of the eldest grandson of the main family. But Gang-sil, Hyo-won and In-wol-daik show passive images despite they are abandoned on her man's own authority. The ground have peaceful images of communing with nature, but it change to target of plunder by rape of Chun-bok and secured burial of Baik-dan's couple. The noble birth family that suppress the low-class people by family line can't defend their land. We can grasp the archetype scheme of the work through divided study about the image of 'fire', 'water'. 'air' and 'ground'. On the other side, we recognize the regular transfiguration patterns at this lyric work because that is composed by image of transfiguration. Therefore, we should avoid simple comparison of this work that have lyric narrative made by united subject and objects historic novel that based on conflict identity and world which have modernistic narrative. The lyricism of 『Hon-bul』 is more unique in terms of considering the time background, quantity of work and subject matter. 『Hon-bul』 is rare 'lyric river novel·historical novel' in our literature history that makes image and narrative basis by accident, background and characters by wide spectrum of archetype image, and processes the narratives by transfigur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