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73 Download: 0

효율적인 미술 표현 학습을 위한 실기 평가법 연구

Title
효율적인 미술 표현 학습을 위한 실기 평가법 연구
Authors
최은영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노용
Abstract
In a climate of entrance examination-based teaching, an evaluation of arts lesson has followed the approach that measures a student's ability to memory fragmentary knowledge as much as other subjects do, rather than evaluate it by a unique characteristic of arts. It also has evaluated a student's arts practices relative to other students. Since evaluating a student's arts is closely related to individual's subjectivity, sentiment, and emotion, it is difficult to provide objective point of view or criteria for evaluation, and the study on evaluation methods is much to be desired. So, this study was intended to accomplish more effective effects of arts learning. It examined the evaluating characteristics of arts and provides objective and consistent evaluation criteria by limiting a difference in many point of views among teachers and regions in order to have more natural and specific arts course for students and to achieve fair evaluation. For the study, it created a mark criteria after lessons based on achievement and evaluation criteria provided by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and analyzed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when the mark criteria was used for evaluating their work. To accomplish the purpose, it is proceeded as follows; In chapter I. Introduction, it states the purpose and needs, details and methodology of the study, and plans how reasonably and reliably the mark criteria will be used in 'presentation' area. In chapter Ⅱ, it reviews literatures to find the nature of arts evaluation in the middle school and its achievement and evaluation criteria, and examines the evaluation criteria used in the field. Further, it analyzes the facts and problems of practical tests for arts presentation in the middle school and seeks its improvements. In chapter Ⅲ, it establishes the number and time of arts class with the first and second graders of the middle school and plans practical tests for arts. First, it makes out lesson and evaluation schemes. Second, it takes lessons based on achievement and evaluation criteria. Third, it evaluates students' works according to the mark criteria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study, and analyzes the results. This study was done with the first and second graders of a middle school for which the researcher has served, including paintings, designs, and sculptures as equal as possible. The first semester of 2003 was used for pre-test and the second semester of 2003 for post-test, with T-test having used to find a difference in mean values. In addition, class 1∼8 of the second year were assigned to experiment group and the other class 9∼15 to control group to find the results more clearly, and analyzed their academic achievement. A questionnaire survey was used to find the whole response to arts, together with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The questionnaire consists of 10 items, such as 'interest in arts,' 'satisfaction with the time works completed,' 'difficulty in the process,' 'specific progress of work,' 'doubts in evaluation,' 'reasonability,' 'satisfaction,' and 'expectations,' etc. Frequency analysis was used for the statistical processing of data collected. In chapter Ⅳ, it verifies the impact on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Based on it, it seeks to develop a reasonable and reliable mark criteria and its applications. Also, it finds students' responses through a questionnaire analysis and its results is used to find the status of arts evaluation, searching its problem and improvements. In chapter Ⅴ, the conclusion summarizes the contents described above and suggests the implication of arts evaluation in the future. In the field of teaching, it requires practical on-the-spot evaluation tools and a mark criteria, not theoretical orientation for evaluation and guidelines. It is expected that the evaluation and mark criteria proposed in the study will be used in the field for more reasonable and fair evaluation because they are more sophisticated and newly-developed. In order to have students accept the subject of arts positively and interestingly, it is important to change school settings, improve quality of lessons, secure the number of lesson time, and develop reasonable and reliable evaluation and mark criteria. But it is a precedence that teachers, who have charge of evaluating students directly, should have good expertise and qualifications. Teachers need to work hard with diligence. It is believed that qualitative improvement of arts lesson depends on its teachers in the middle schools. ;지금까지 미술과 평가는 입시 위주의 교육 풍토 위에서 미술만이 가진 특성에 따라 평가하기 보다 단편적으로 지식 위주의 암기능력을 재는 타 과목의 평가방식을 따라 왔으며, 학생들의 실기능력을 각 학생들간의 상대 평가를 통해 평가하여 왔다. 미술과의 평가는 개인의 주관, 정서, 감정 등과 밀접하게 관계되기 때문에 객관적인 관점이나 기준제시가 매우 어렵고 평가방법에 대한 연구 또한 미흡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미술과 평가의 특성을 알아보고 각 지역간, 각 교사간의 각기 다른 평가의 관점 차이를 좁혀 일관적이며 객관적인 기준을 제시, 학생들의 학습 과정을 좀 더 수월하고 구체성을 띄도록 하고 나아가 공정한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좀 더 효율적인 교육 효과를 달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논문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제시한 성취기준과 평가기준을 바탕으로 수업을 한 뒤 채점기준을 제작하였고 이 채점기준에 근거하여 작품을 평가하였을 때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절차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서론 Ⅰ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연구내용 및 방법을 제시하여 채점기준이 '표현' 영역에서 얼마나 타당성 있고 신뢰성 있게 사용 될 수 있는 지를 계획하였다. Ⅱ장에서는 중학교 미술과의 수행평가의 특징과 성취기준 및 평가기준에 대해 문헌연구를 하고 학교 현장에서 사용하는 평가기준을 파악해 본다. 또한 중학교 미술 표현 수업에서 실기 평가법의 실태 및 문제점을 분석하여 나아가 개선방안을 모색해 볼 수 있도록 하였다. Ⅲ장에서는 중학교 1·2학년을 대상으로 수업횟수와 시기를 정하고 미술 실기평가법을 계획하였다. 먼저 수업 및 평가계획서를 작성하고 성취기준과 평가기준을 근거로 한 수업을 진행 한 후, 연구의 효용성을 높이기 위해 직접 제작한 채점기준에 따라 평가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현재 연구자가 재직 중인 학교에서 중학교 1·2학년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가능한 회화, 디자인, 조소가 골고루 포함 되도록 노력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2003학년도 1학기를 사전검사 기간으로, 2003학년도 2학기를 사후검사기간으로 설정 한 후 평균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Ttest를 사용하였다. 또한, 좀 더 명확한 결과를 알아보기 위해 2004년 2학년 중 1반∼8반을 실험집단으로, 9반∼15반까지를 통제집단으로 설정하여 학업성취도를 비교해 보았다.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함께 미술에 대한 총체적인 반응을 알아보고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 설문지의 내용으로는 미술에 대한 흥미도와 작품 완성 시간에 대한 만족도, 진행과정의 곤란도, 작품진행의 구체성, 평가의 의구심, 타당성, 공정성, 만족성, 기대감 등 10문항으로 이루어졌으며 자료의 통계적 처리는 빈도분석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Ⅳ장에서는 통계분석을 통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이 있음을 검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타당하고 신뢰성 있는 채점기준의 개발과 활용방안을 모색한다. 또한 설문 분석을 통해 학생들의 반응을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미술 교과 평가의 현황을 알아보았으며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Ⅴ장의 결론은 위의 내용을 요약하여 향 후 미술 교과의 평가 방향을 제시하였다. 교육현장에서는 이론적인 평가의 방향이나 지침이 아니라 그 평가 현장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실제적인 평가도구와 채점기준을 요구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평가기준과 채점기준이 더욱더 발달되고 새롭게 개발되어 교육현장에서 좀 더 타당성 있고 공정성 있는 평가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해 본다. 그러나 미술이라는 과목이 학생들에게 긍정적이고 흥미롭게 받아들여지기 위해서는 학교 환경의 변화, 수업의 질적 향상, 수업 시수 확보, 타당성 있고 공정성 있는 평가기준 및 채점기준 개발도 매우 중요하지만 그 것에 앞서 평가를 직접적으로 주관하게되는 교사가 뛰어난 전문성을 갖추고 있어야 함을 교사들은 숙지하고 부지런히 자기 연단을 해야 할 것이다. 결국 중등학교의 미술과 수업의 질적 향상은 이들의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들에 의해 달려 있기 때문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