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영희-
dc.contributor.author박진희-
dc.creator박진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6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6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3427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916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4273-
dc.description.abstractThis research, based on images which are considered as visible communications that deliver human feelings, tries to find out how images are arranged and composed with the touch of lines, combination of texts and the beauty of blank spaces and how they represent the feelings of delight, anger, sorrow, pleasure, love, hate, greed and fear, and also to find out the emotions effects by them. Thinking and feeling come to the surface as a connected action because human is sensitive to stimulus of images, they provide a strong impulse and also languages that cause reaction. The fact that forms and colors in art could influence on human feelings is inevitably true. Colors have an intimate relationship with human lives and also play very important roles. Everything in the world has its own color and thus has its own characteristics and beauties.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consider human's emotion to be an important factor in the internal delineation of ourselves and to study the expression of our sensitivity based on the images which makes form. The process of painting is a distinctive method of expression that enables on artist to express his inner most feelings as well as his psychic reactions to the external world. We ten to prefer paintings that depict inner emotions of human beings accurately and honestly rather than paintings that illustrate the external appearances accurately and objectively. I believe that the painting, rather than merely copying the external appearances as we see them, should depict graphically the psychic reactions of the artist as he interprets the external world through a prism of his experiences, knowledges, and emotions so that the viewers can truly share his interpretations and feelings on life and human beings. That is, the artist must try to express graphically the dynamic emotions that shapes his soul. In order to establish the culture of visional transmission suitable for our country, we should not imitate western formative arts but find out our things by converting ourselves to inner spirit to approach the intrinsic nature. I will wake the concept of "the four friends of the study - brush, ink, paper and stone of ink" - to present one of the ways to cope with the rapidly changing society. I wish hereby to suggest a way to improve the Korean graphic arts design expressing and transmitting out mentality properly to others. There is a spirit penetrating our intrinsic nature in inking picture for a long time. The attitude to understand the inking picture spiritually should be regarded as an effort to retrieve our own graphic design through which our culture can be transmitted rather than as a tendency of graphic arts. The inking picture should be also considered as an excellent expression genre which could improve the visional culture of this age. We should therefore accept it in the spirit of cultivating the cultural heritage for the porpose of distributing it to the public. Because inking picture expresses beauty freely which comes from itself and has a simple material and high mentality in itself it has been regarded as one of the Korean paintings which have the most Korean characteristics. Through the research, I got a chance to express on and improve myself, and consequently, I tried to show development of better process of creation.;본 논문에서는 인간의 감정을 전달하는 시각표현방법으로, 수묵의 선 터치와 묵의 기법, 여백의 미를 통해 조화롭게 구성, 재창조하여 희(기쁨), 노(분노), 애(슬픔), 락(즐거움), 애(사랑), 오(미움), 욕(욕심), 구(두려움)의 감정이미지를 표현해 보고자 한다. 이미지를 느낀다는 것은 본다는 것뿐만 아니라 생각과 인식을 동시에 활성화시키는 감각 또는 감정일 수 있을 것이다. 인간은 이미지의 자극에 민감하기 때문에 생각이나 감정이 연쇄적인 행동으로 나타나게 된다. 이미지는 강력한 충동이며 반응을 일으키는 언어이다. 즉, 예술에서 형태와 색채가 인간감정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번복할 수 없는 사실인 것이다. 본 연구는 인간의 감성을 내적 표현의 중요한 요소로 보고 각 감성이 가지는 이미지를 바탕으로 한 시각적 표현에 관한 것이다. 회화가 하나의 언어이고 표현방법이라고 하면 그것은 화가의 내면에 있는 심상의 표현이며 자신의 외적인 영향에서 얻은 회화의 요소로 상징되며 표현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외형의 정확성이나 대상의 유사성보다는 내면의 감정 등을 더욱 솔직하게 나타내려 했던 회화는 인간 내부의 생명 즉, 자아나 자신의 감정을 강하게 표출하는 특징을 보여주었다. 회화는 보이는 대로 정확히 그리는 것이 아니라, 느낀 것을 그려서 보는 이에게 감동을 주어야 한다. 즉, 정신 속에 살아있는 것을 그려야 한다. 바로 이러한 표현들이 그래픽디자인 분야에서도 나타나기 시작했는데, 이것은 시대적인 다양한 욕구(needs)의 표출과 동양적 감성, 특히 한국의 미적 정서에 맞는 표현의 구현이라는 점에서도 매우 괄목하다고 하겠다. 서구의 획일적이고 기하학적인 디자인이 갖고 있는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차원에서도 우리의 정서에 맞는 캘리그래피적 표현들이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급속히 변화하는 사회에 대처할 수 있는 방향 하나를 제시하기 위하여 문방사우를 잠에서 깨어내어 우리마음을 제대로 표현하고 전달해 줄 그래픽 디자인 문제로 다루어보고자 한다. 수묵은 자유로운 표현과 그 자체에서 일어나는 독특한 상형성이 아름답고 그 소재가 간략하며 거기에 내재된 높은 정신성으로 인해 한국사람이 그리는 그림 가운데 유독 한국적 특성이 짙은 것으로 인정되고 있다. 그러므로 수묵에는 오랫동안 우리의 본 바탕을 관통해온 정신이 있다. 묵의 정신으로 이루어지는 수묵화를 정신으로 이해하려는 것은 회화적 예술사조로서가 아니라 우리 문화를 담고 전달하는 그래픽디자인이라는 우리그릇을 찾기 위한 노력이며 이 시대의 시각문화를 개선시킬 그래픽디자인의 훌륭한 표현 장르로서 조상이 물려준 전통유산을 갈고 닦아 대중을 향해 분배하고자 하는 방법정신으로서 포용해야 할 것이다. 이에 착안하여 캘리그래피를 활용한 보다 창의적인 작업으로 인간의 8가지 정서를 표현하고 발전시키고자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ⅸ 1. 서론 = 1 1.1. 연구의 목적 = 1 1.2. 연구의 방법 = 2 1.3. 연구의 범위 = 3 2. 캘리그래피(Calligraphy)에 대한 이론적 배경 = 4 2.1. 캘리그래피의 정의 및 개념 = 4 2.2. 캘리그래피의 기원 및 역사 = 7 2.2.1. 동양에서의 캘리그래피의 기원 = 7 2.2.2. 서양에서의 캘리그래피의 기원 = 10 2.3. 캘리그래피와 회화성 = 12 2.4. 캘리그래피의 조형적 특징 = 14 2.4.1. 표현 기법의 특징 = 14 2.4.2. 추상적 표현으로서의 특징 = 21 2.4.3. 자연적인 표현으로서의 특징 = 22 2.4.4. 전통적 표현으로서의 특징 = 23 3. 감성에 대한 이론적 배경 = 28 3.1. 감성의 개념 = 28 3.2. 감성과 감정의 비교 = 31 3.3. 심리학적 측면에서의 감성의 개념 = 33 4. 시각적 표현방법으로서의 수묵 = 35 4.1. 수묵의 개념 = 35 4.2. 수묵의 사유적 특성 = 38 4.3. 표현요소로서 수묵필의 조형적 특성 = 41 4.3.1. 묵필에서 나타나는 선(線)의 특성 = 41 4.3.2. 묵필의 소묘(Drawing)적 특성 = 45 4.3.3. 묵에서 나타나는 표현의 특성 = 47 4.3.4. 여백에서 나타나는 표현의 특성 = 49 5. 작품사례를 통한 표현 탐구 = 56 6. 작품제작 및 분석 = 64 6.1. 제작의도 = 64 6.2. 제작 전개 및 과정 = 66 6.3. 작품분석 = 68 7. 결론 = 84 참고문헌 = 86 ABSTRACT = 8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2358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title캘리그래피(Calligraphy)의 조형성을 활용한 감성이미지의 시각표현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수묵기법을 중심으로-
dc.format.pagex, 9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정보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04.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정보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