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7 Download: 0

奉壽堂 進饌과 洛南軒 養老宴의 音樂的 考察

Title
奉壽堂 進饌과 洛南軒 養老宴의 音樂的 考察
Authors
강민영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문재숙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musical form of two court banquets, called and , conducted for 8 days of Hwasung parade in 1795(19th year of King Jeongjo). This study carries out the study using the drawing of and on NeungHangdo folding screen and the records of . I examine the procedure and the music used in two court banquets, called JinChan and YangLoYeon, and explore the difference with other festivals referring to and others. Arranging the characteristics of : First of all, 7 works of were carried out in the JinChan of 61st birthday of Queen HyeGyungGung Lady Hong in BongSuDang, and the offertory was performed in procedures of . Secondly, there are two musical pieces that have the names of two songs written together that are played in of , YeoMinLack HwanHwanGok and YeoMiinLack ChungPyungAk. YeoMinLack that used these musical pieces is not a proper noun that stands for YeoMinLack actually played music, but as YeoMinLack that is interpreted as 'music that is enjoyed with the people', and is used as modifier to celebrate the 61st birthday of Queen HyeGyungGung Lady Hong. Thirdly, medical female doctors and female acupuncturists take more than half of the official dancing girls who undertake offertory in . The is the first religious chest that medical female doctors and female acupuncturists performed the offertory in official festivals. Fourthly, is a drawing of Queen HyeGyungGung Lady Hong's 61st birthday festival in the main palace of Hwasung Hangung, drawn by King JeongJo in his 19th year, 1795. There is the drawing in which official dancing girls dance Sunyurak with Mugo. Fifthly, was carried out with any classification between interior and exterior festivals. The ritual was carried out by female maid, female manager, official dancing girl, and as female entertainer undertook the offertory. It seems like the ritual is an interior festival form, but also seems like an exterior festival form as inside and outside guests from Inside and Outside List of People and UiBinCheokSin are participating. Sixthly, by comparing the instrumental organization in from that of , it is very similar to the instrumental organization in . In other words, it is hard to see that is a JeounJeoungHeonGa from the view that it does not use court musical instruments such as PyunJong(bell chime), PyunGyung(stone chime), GeonGo(large drum), and SakGo(large drum). It also cannot be seen as DeungGa from the view that it does not include string instruments such as Keomungo(6-stringed zither) and Kayakum (12-stringed zither). In the palace of Chosun era, many musical bands such as JeonJeoungHeonGa, DeungGa, and JeonJeoungGoChi were established, and were used according to the character or status of the ceremony or festival. It is very exceptional that JeonJeoungGoChi, which has been used only in ceremonies such as Jocham, MunGwaJunSi, and SangJinBangBang was used in a festival, BongSuDang JinChan. Seventhly, JeonJeoungGoChi musical arrangement in BongSuDang JinChan is larger in size compared to the JeonJeoungGoChi imparted from ChunGwanTongGo. BongSuDang JinChan especially has more arrangements of musical instruments such as Piri(cylindrical oboe), Daegeum(transverse flute), Haegeum(2-stringed fiddle), and JangGo(hourglass drum) Taking together the characteristics of , First, YangLoYeon in NakNamHun executed 3 parts of JakHunLye, and then carried out JinChan and JinHaw procedures, but did not carry out offertory that was originally performed in palace festivals. This is because it was performed in a more simple form compared to that in the palace. Secondly, there are two musical pieces that have the names of two songs written together that are played in of , NakBinAk NokMyung CheonBo and NakBinAk GwanJeo Jakso. NakBinAk that used these musical pieces is not a proper noun that stands for NakBinAk actually played music, but as NakBinAk interpreted as 'music that is enjoyed with the people(who participate in YanLoYeon)'. Thirdly, drawing is a drawing that portrays the YangLoYeon festival given for the elders in HwaSung and HongNakSung, YeongUiJeong, and all other old officials in NakNamHun in 1795 by King JeongJo. There are old ministers and officials in YungBok on a floor in front of the king's seat, and there are dancing boys and musicians in between the walls. Fourthly, the organization of music in is a form of JeonJeoungGoChi just like . There are many differences compared to other festivals carried out in the palace with and in Hwasung. JinChan and YangLoYeon were carried out in one turn without classification between inside and outside festivals, and offertory was excluded in YangLoYeon. Also, the musical organization that undertook all main music takes a specific arrangement called JeonJeoungGoChi unlike the two preceding festivals. This can be seen as a management to give discrimination in the 61st birthday anniversary of Queen HyeGyungGung lady Hong, who was the King's step mother, and due to the character that these festivals were performed outside the palace. However, there is no large difference between the festival in and outside the palace in general. ;본 논문의 목적은 1795년(정조 19) 8일간의 화성(華城) 행차에서 행해진 봉수당(奉壽堂) 진찬(進饌)과 낙남헌(洛南軒) 양로연(養老宴)의 음악적 형태를 고찰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방법은 『원행을묘정리의궤(園幸乙卯整理儀軌)』의 기록과 능행도(陵行圖) 병풍에 그려진 봉수당진찬도(奉壽堂進饌圖)와 낙남헌양로연도(洛南軒養老宴圖)를 바탕으로, 진찬(進饌)과 양로연(養老宴)의 절차와 음악을 살펴보았고, 『춘관통고(春官通考)』등을 참고하여 다른 연향과의 차이점을 고찰해 보았다. 봉수당 진찬의 특징들을 정리해보면, 첫째, 봉수당에서 행한 혜경궁 홍씨의 회갑연인 진찬(進饌)은 7작의 작헌례(酌獻禮)를 행하고, 진찬ㆍ진화(進華)등의 절차와 함께 정재가 상연되었다. 둘째, 봉수당 진찬의 작헌례를 행할 때 사용된 음악 중에는 여민락(與民樂) 환환곡(桓桓曲), 여민락 청평악(淸平樂) 등 두 개의 곡명이 함께 쓰여진 악곡들이 보인다. 이 악곡에 쓰인 여민락은 고유명사로서의 '여민락'(실제 연주되는 악곡)이 아닌 여민락에 담긴 의미 '백성과 함께 더불어 즐기는 음악'으로, 혜경궁 홍씨의 회갑연을 백성과 함께 축하하기 위해 붙여진 수식어로 해석된다. 셋째, 봉수당 진찬에서 정재를 담당하는 여령 중에는 의녀(醫女)와 침선비(針線婢)가 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의녀와 침선비가 공식적인 연향에서 정재를 공연했음을 보여주는 의궤로는 『원행을묘정리의궤』가 처음이다. 넷째, 봉수당 진찬도는 정조가 1795년(정조 19) 화성 행궁의 본당(本堂)인 봉수당에서 벌인 혜경궁 홍씨의 회갑 잔치를 그려놓은 그림이다. 그림 가운데에는 여령들이 무고와 선유락을 추고 있는 것이 함께 그려져 있다. 다섯째, 봉수당 진찬은 내연(內宴)과 외연(外宴)의 구별 없이 한 차례 행해졌다. 여관(女官)ㆍ여집사(女執事)ㆍ여령(女伶) 등에 의하여 의식이 진행되고 여기가 정재를 담당함으로써 내연의 형식을 취하고 있지만, 내외명부(內外命婦)와 의빈척신(議賓戚臣) 등 내외빈이 함께 참례하여 외연의 형식도 아울러 취하고 있다. 여섯째, 봉수당 진찬에 사용된 악기 편성은『춘관통고(春官通考)』의 악기 편성과 비교해 볼 때, 전정고취(殿庭鼓吹)의 형태의 악기 편성과 유사함을 알 수 있다. 즉, 편종, 편경, 건고, 삭고 등의 아악기가 사용되지 않은 점에서 전정헌가(殿庭軒架)라 보기 어렵고, 거문고 · 가야금 등의 현악기가 없는 점에서 등가(登歌)와는 차이가 있다. 조선조 궁정에는 전정헌가(殿庭軒架)ㆍ등가(登歌)ㆍ전정고취(殿庭鼓吹) 등의 여러 악대를 설치해, 의례나 연향의 성격 또는 격에 맞게 구별하여 사용하였다. 조참(朝參)이나 문과전시(文科殿試)ㆍ생진방방(生進放榜) 등의 의례에만 쓰였던 전정고취가 연향인 봉수당 진찬에 사용된 것은 예외적인 경우라 하겠다. 일곱 번째, 봉수당 진찬에서의 전정고취 편성은 『춘관통고』에 전하는 전정고취에 비해 그 규모가 크다. 봉수당 진찬에서는 피리ㆍ대금ㆍ해금ㆍ장고 등의 악기가 특별히 많이 편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낙남헌 양로연의 특징들을 정리해보면, 첫 번째, 낙남헌(洛南軒)에서 행한 양로연(養老宴)은 3작의 작헌례(酌獻禮)를 행하고, 진찬(進饌)ㆍ진화(進華) 등의 절차가 행해졌으나 궁중 연향에서 의례적으로 상연되는 정재가 행해지지 않았다. 이는 궁정에서 행할 때보다 간략하게 치러졌기 때문이다. 두 번째, 낙남헌 양로연의 작헌례를 행할 때 사용된 음악 중에는 낙빈악(樂賓樂) 녹명(鹿鳴) 천보(天保), 낙빈악 관저(關雎) 작소(鵲巢) 등 두 가지 이상의 음악이 함께 쓰인 악곡들이 보인다. 이 악곡에 쓰인 낙빈악은 고유명사로서의 '낙빈악'(실제 연주된 악곡)이 아닌 낙빈악에 담긴 '손님(양로연 참석자)과 함께 즐긴다'는 뜻의 수식어로 해석된다. 세 번째, 낙남헌 양로연도는 정조가 1795년 낙남헌에서 영의정 홍낙성을 비롯한 노인관료 및 화성 현지의 노인들에게 베푼 양로연 잔치를 그려놓은 그림이다. 어좌 앞 마루에는 융복차림의 노대신과 관원들이 앉아 있고, 담장 사이에는 무동과 악사들이 늘어서 있다. 네 번째, 낙남헌 양로연의 악기의 편성 역시 봉수당 진찬과 동일한 전정고취 형태이다. 화성에서 행한 봉수당 진찬과 낙남헌 양로연, 두 연향 모두 궐내에서 행한 다른 연향과 여러 면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진찬과 양로연은 외연과 내연 구별 없이 한차례 행해졌음을 알 수 있고, 양로연에서는 정재가 생략되었다. 또 두 연회 모두 주악을 담당한 악대의 편성이 전례와 달리 전정고취라는 독특한 편성을 하고 있다. 이는 궐 밖의 행사라는 특수성과 왕비의 신분이 아니었던 혜경궁 홍씨의 회갑연에 차등을 두었던 조치로 해석된다. 그러나 전체적인 연회 절차는 궐내의 경우와 큰 차이가 없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