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7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구본관-
dc.contributor.author이혜선-
dc.creator이혜선-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5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5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3471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916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471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그동안 지적되어 온 국어지식영역의 교육에 대한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법으로, 언어기능영역에 해당하는 말하기, 듣기, 쓰기를 이용한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둔다. 국어과 교육에서 국어지식영역 분야는 그동안 내용과 수업 방식, 학습자의 효율적인 학습에 문제가 있음이 지적되어 왔다. 그리고 문제의 개선을 위해 탐구학습을 이용한 방법이 제시되었지만, 국어지식영역의 전 분야에 거쳐 광범위하게 적용되기에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탐구학습의 과정 중심, 학생 활동 중심을 기본으로 학생들의 다양한 활동을 유도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생활에서의 효과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국어지식영역의 교수-학습 방법을 마련하는 데 언어기능영역에서의 말하기, 듣기, 쓰기를 이용하는 방법을 구안해 보고자 한다. 먼저 본문의 Ⅱ장에서는 제7차 중학교 <생활국어> 교과서에 수록된 국어지식영역을 검토하였다. 올바른 국어지식영역의 교수-학습 방법을 계획하기 위한 이론적 바탕을 마련하기 위해 교육과정에 나타난 국어지식영역의 성격과 내용을 살펴 보고, 필요성을 정립해 보았다. 이어 우리의 교육 현장에서 찾을 수 있는 국어지식영역의 특성은 무엇이며, 어떤 문제점이 있는지를 살피고자, 국어과 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교재인 교과서 분석을 실시하였다. 교과서 분석은 단원 활동이 학생들의 학습 동기 유발을 적절하게 불러일으키는지, 그 활동이 학생의 창의성을 강조하는지, 결과가 아닌 과정을 지도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는지, 학생들의 수준에 적합한 수업을 지향하고 있는지, 학습과정에서 학생의 깨달음을 이끌어 주고 있는지에 중점을 두어 분석하였다. Ⅲ장에서는 Ⅱ장의 교과서 분석을 통해 나타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으로 국어지식영역의 수업에 말하기, 듣기, 쓰기를 이용한 활동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활동이 어떤 수업 단계를 거쳐 이루어지면 좋을지 말하기, 듣기, 쓰기 영역을 이용한 활동을 위주로 교수-학습 모형을 생각해 보았다. 또한 구체적으로 어떤 방법들을 이용하는 것이 효과적일지 여러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이렇게 학생들의 다양한 활동을 중심으로 한 수업은 학생들에게 원활한 언어 사용의 기반을 제공하면서, 효과적인 언어생활을 영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학생들은 국어지식영역이 딱딱한 이론 위주의 내용이라는 선입견에서 벗어나 이해도가 높아질 것이고, 암기가 용이할 것이며, 오래 기억할 수 있을 것이다. 전체적으로 국어지식영역에 대한 인식 개선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며, 교사에게는 수행평가로서 활용이 가능한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Ⅳ장에서는 Ⅲ장의 연구를 토대로 학년별, 단원별로 수업 단계를 구체적으로 진행시켜 보고, 그 중 몇 개의 단원을 선택하여 학습 지도안을 작성해 보았다. 본고에서 제시한 학습 지도안을 실제 수업에서 적용하지 못한 점과 그 효과를 구체적으로 밝히지 못한 점이 본 연구의 아쉬움으로 남는다. 하지만 이는 앞으로 연구자가 현장에서 수행해야 할 연구 과제로 남기고, 앞으로 더 많은 연구를 통해 학교 현장에서 구체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효과적이고, 다양한 방법들이 연구되기를 바란다. 국어지식영역의 교육은 올바른 우리말을 사용하여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서라는 생활에서의 필요뿐 아니라, 우리 민족만의 독특한 사고와 가치가 내재되어 있는 문화를 전승하는 차원에서도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나 교육 현장에서는 그 교육 내용이 실제 언어생활과 유리되어 있고, 교사 위주의 설명식, 암기식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어 안타깝다. 올바른 지식을 바탕으로 한 언어생활을 할 수 있을 때, 보다 정확하고 분명하게 자신의 의사를 전달할 있고, 풍부한 언어생활을 할 수 있음을 알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고에서 제시한 방법들이 학습자에게 국어지식영역에 대한 인식 개선에 도움을 주고, 흥미로운 대상이 될 우 있기를 기대한다. 이런 인식의 변화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기를 바라고, 교사에게는 실제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법의 하나로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As a means of a solution concerning various problems about the education of national language knowledge range, which has been indicated, this study is aimed to suggest teaching-learning plan applying speaking, listening, writing that are applicable to language function category. In the course of educating national language,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some things are wrong with its contents, teaching method, and learner’s effective learning in national language knowledge range. In addition, some methods using investigation studying was proposed in order to improve troubles but there are restrictions to be applied to the entire fields of national language knowledge range. Therefore, based upon the process of investigation study and students’ activities, using speaking, listening, and writing of language ability category, the study plans to induce diverse activities of students and to extend effective understanding capability in actual situation for the preparation of teaching-learning method of national language knowledge range. First of all, in Chapter two, national knowledge range contained in the seventh Middle school textbook, Living national language, was reviewed. In order to arrange theological basis for planning teaching-learning method of right national language knowledge range, the nature and contents of national language knowledge range shown in education process were studied and its necessity was established. The analysis of textbook, the most important teaching material in the course of national language education, was put in practice for the purpose of inspecting what characteristics of national language knowledge range found in our education site are, and what kinds of problems there are. The analysis of textbook was focused on does unit activity properly stimulate learning motivation of students, does the activity emphasize student’s creativity, does it consist of contents that teach not result but process, does it head toward appropriate class suitable for the students’ level, does it lead the realization of students in the course of teaching, etc. In Chapter three, as a means of effective teaching-learning to solve problems appeared through the analysis of textbook in Chapter two, activity plan employing speaking, listening and writing in national language knowledge range was proposed. Teaching-learning model on the basis of activities applying speaking, listening and writing category was devised in order to think about what stages of instruction can be given for these activities. Moreover, various plans were suggested in detail in order to know effective methods. This teaching method based upon a variety of students’ activities will help students provide foundation of smooth usage of language and carry on fruitful language living. Students will be able to have better understanding of national language knowledge range, excelling in memory work, having a good memory, getting out of prejudice that it is hard theory-centered contents. As a whole, it will help improve recognition about national language knowledge range and it will be applied as an evaluation of performance for a teacher. In Chapter four, on the basis of the study of Chapter three, teaching stages were progressed more specifically by grades and units and teaching plans were made selecting several units. It is a pity that the teaching plans proposed in the study were not applied to actual teaching and its effect was not shown definitively. However, it is our task that must be undertaken by researchers in the actual spot and it is hoped that effective and diverse methods that can be applied in school will be studied through more studies in the future. The education of national language knowledge range is necessary not only for effective understanding using our proper language in living but also for transmission of culture in which our own ideas and values are inherent. However, it is regretful that the contents of education in actual teaching are separated from our real language life and teaching is mainly focused on explanation and memory. It is important to let the students know that their intentions can be understood more precisely and exactly and rich language life is possible when language life on the basis of right knowledge is carried out. It is hoped that those methods suggested in the study will help learners improve the recognition about national language knowledge range and attract their interests. It is also expected that, as a result of this recognition change, effective teaching will be performed and for a teacher it will be an effective way to apply in a real teaching clas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ⅳ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선행 연구의 검토 = 5 C. 연구의 방법 및 범위 = 10 Ⅱ. 제7차 중학교 <생활국어> 교과서에서의 국어지식영역 검토 = 10 A. 제7차 교육과정에서의 국어지식영역 = 11 1.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국어지식영역의 성격과 내용 = 11 2. 국어지식영역의 교수-학습 방법 = 14 B. 중학교 <생활국어> 국어지식영역의 문제점 = 18 1. 중학교 1학년 단원 분석 = 20 2. 중학교 2학년 단원 분석 = 26 3. 중학교 3학년 단원 분석 = 31 4. 단원분석에서 나타난 문제점 = 37 Ⅲ. 말하기, 듣기, 쓰기를 이용한 국어지식영역의 수업 방안 = 40 A. 국어지식영역의 수업단계모형 = 42 B. 국어지식영역 수업에 말하기, 듣기, 쓰기를 이용하는 방안 = 46 1. 말하기/듣기를 이용하는 방안 = 46 2. 쓰기를 이용하는 방안 = 48 Ⅳ. 국어지식영역의 교수-학습의 실제 = 50 A. 단원별 교수-학습 과정 = 51 1. 국어 생활의 반성 = 51 2. 낱말의 의미 = 54 3. 국어의 언어적 특징과 음운 = 56 4. 낱말 형성법과 국어의 관용어 = 64 5. 음운의 변동 = 69 6. 품사의 종류 = 71 B. 국어지식 단원 수업 지도안 = 75 1. 국어 생활의 반성 = 75 2. 낱말의 의미 = 78 3. 국어의 언어적 특징과 음운 = 81 4. 품사의 종류 = 84 Ⅴ. 결론 = 87 참고문헌 = 89 Abstract = 9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8267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중학교 <생활국어> 국어지식영역의 교수-학습 방법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말하기,듣기,쓰기를 이용한 활동을 중심으로-
dc.format.pagev, 9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04.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