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9 Download: 0

한국 근대 여성 미술가의 작품에 나타난 여성성 연구

Title
한국 근대 여성 미술가의 작품에 나타난 여성성 연구
Authors
이문정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조형예술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숙영
Abstract
An art work is the unique result of the artist as a creative subject, but many art works reveal the relation between the artist and other outside elements because the artist's point of view is accomplished within the connection of the elements. Every artist has different relationships with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according to their gender. Therefore, works of female artists reflect the femininity, that is, the image of female subject different from of male. What they are woman much influences on their creative results just like Simone de Beauvoir, a French female philosopher, once said in her book『The Second Sex Le Deuxie`me Sexe』(1949): she always wrote about herself with a female perspective. The femininity based on the sexual identity emphasizes the woman's sexuality and searches for the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yet women haven't taken an active part to build and reveal the femininity under the paternalism; men distinguished male from female according to yes or no of the penis which meant the superiority of men. The femininity has been constructed by male perspective and used to justify men in oppressing women. Thus, the femininity is always down for discussion among feminists. Feminists also try to create the totally new femininity and analyze the social and cultural construction under the paternalism. The aesthetic theory based on the feminism brought the change of the point of view on the femininity, and this affected a lot female artists' activity and gave a chance to look back the female art in the past. Female artists had a difficulty in expressing the femininity as a subject because women had traditionally been others in the art field. They were also sexually discriminated because of men's misusing the concept of the femininity, and in addition, the feminity itself and female artists' works were defined to be vulgar. Regardless of this social environment, many Korean female artists worked very actively, and their works reveal their unique femininity within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Korean female artists began working when the modern society had just started, and they succeeded to achieve their works uniquely by recognizing the reality and identifying the ego. Especially, we should pay attention to the femininity in art works of female artists in the modern age, when the nationalism and the modernism swayed the whole country. In Korea, the modern female artists generally mean those who worked from 1940s to 1960s. Many female artists as well as those who are mentioned in this treatise are included in this classification. However, it is difficult to study those artists because there is very little amount of document about them, and they didn't work very long. So female artists who can be studied now are three; Rah Hae-seok, Park Rae-hyeon and Cheon Kyeong-ja. Many people were interested in not only their works, but in their private life, and they helped to build the image of Korean female artists. Particularly, these artists' works show various femininity constructed upon the women's real life in that age and the relation with the feminism which today's female artists want to express. We can read their own point of view on the femininity in their writings and also find out how the feminity is revealed in their paintings. We're going to look at Korean female artists' works with the feminist point of view by studying the femininity in their works. We can also think how their works have inspired artists in later ages and influenced on the feminist art. Rah Hae-seok usually painted with a feministic consciousness and received the trend of western art field. Some of her works reveal the liberalistic feminism which is very humanistic and enlightening. We can also see her progressive spirit toward the woman body through her nude paintings because the body is painted as the pure modelling element, not as the object of sexual pleasure. On the other hand, in her portraits, we can see the dual ego which has the masculinity and the femininity, or the western world and the oriental, and this shows her strong self-consciousness. Those self-consciousness speaks for her strong will against the real world. Park Rae-hyeon believed in the existence of the beauty that only women could express, and she insisted that women should show their creativity to the world. Park tried to express the situations women are in, usually woman had to be shunned by men. In contrast, she also tried to show richness and fecundity from maternity. The representative 'female imageries' like the concentric circle, the core, the circular form, the bag-like-form and the black core which remind us of Julia Kristeva's chora are appeared in her paintings through the feminine aesthetics. In addition, the female imagery in her tapestries are expressed through the techniques of handcraft with materials such as thread, a string and a fabric. The feminity in her works shares female beauty and traits based on the modern feminism, and those beauty and traits are essentialist and separatist. Cheon Kyeong-ja represented the female figure based on her literary attainments and imagination and constructed the femininity in the consistent style. Figures which are symbolically reappeared in her works reveal woman mind and consciousness against the men's discussion. Cheon's female figures have the autography, the narcissism, the madness and fantastic aspects, and these aspects are considered to show women's incompleteness and their passive and escapist inclinations. Yet feministic approach toward her paintings says that those aspects were the only way to protect women from the paternalism. Like this, three artists above are much different from each other. Rah worked as a feminist rather than an artist and expressed the feminism in her paintings, and Park and Cheon worked as an artist, and they tried to reveal the essentialism. But they are in common, too; they saw the world with the eyes of women and expressed the feminity with a new way. They also much influenced on female artists in later ages. The femininity in various female artists' works reflects their effort and identity to overcome their situation by obeying or disobeying the men's superiority. It also represents historical, social and cultural ideas and requests on ladies in the modern age. Therefore, we've been studying art works of female artists in the feminist way by analyzing the femininity in them, and through this, we could have the new chance to think about how they contributed to developing the feminist art. We may be able to get closer to the feminism theory and the basic goal of the feministic study on art through this treatise. We can find how many works have been painted by female artists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invent a new language for this kind of art and create a new way of expressing feministic art. Female artists in this treatise are feminists because they tried to take an active role despite they were belonged to the Confucian culture, and to the society that nationalism and the modernism were mixed up. They also tried to recognize the reality correctly and to study self-ego hard. All these facts show that they constructed the basis of the feminist art in the later ages by revealing their identity before the modern feminism started. ;미술 작품은 미술가의 시선이 만들어 낸 독자적인 결과물이다. 미술가의 시선은 외부 요소들과의 관계 속에서 만들어지는 것이므로 미술 작품에는 미술가와 외부 환경과의 관계가 드러난다. 미술가들은 성별에 따라 사회문화적 관계 속에서 고유의 시선을 만들어내기도 하는데, 여성이 미술 작품의 창조적 주체인 경우 남성과는 다른 여성의 모습, 여성성(femininity)이 반영된 것을 볼 수 있다. 시몬느 드 보부아르(Simone de Beauvoir)가 『제 2의 성 Le Deuxie`me Sexe』(1949)에서 자신에 대해 무엇인가를 쓰려고 할 때에는 여성이라는 자각과 함께 출발하게 된다고 언급했듯이 여성의 성 인식은 창작 활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여성성은 여성의 성 정체성과 관련해서 여성의 섹슈얼리티를 부각시키고 여성의 차이를 탐색하려는 개념이다. 역사적으로 여성성은 여성에 관한 가부장적 요구에 따라 구축되었으며 여성에 대한 억압과 차별을 정당화하는 데에 이용되어왔다. 미술 영역에서도 여성은 남성에 의해 재현되고 감상되는 존재였으며 여성 미술가가 주체로서 여성성을 드러내는 일은 매우 드물었다. 고대 그리스 시대 이전부터 여성 미술가들이 활동해왔지만, 여성의 사회적 역할과 지위가 미술에도 반영되어 여성적 유형이라는 성 차별적 범주가 형성되었고 여성성, 여성 미술은 저급한 것으로 규정되었다. 1970년대에 들어서야 미술에서 창조적 주체로서의 여성과 여성성이 보다 적극적으로 논의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페미니즘 미학이 전개되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근대를 기점으로 여성 미술가들이 본격적으로 활동을 시작했다. 이들의 출현은 구한말 신분 제도의 붕괴로 인한 여성 의식과 민중 의식의 성장, 여성 교육에 대한 인식 변화, 서구 문물의 유입에 따른 것이었다. 미술계에서는 일본과 구미 지역에 유학하는 여성이 등장했으며 1920년을 전후하여 국내의 여성 미술 교육 기관을 통한 활동도 이어졌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 속에서 한국 근대 여성 미술가들은 현실과 자아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독자적인 작품 세계를 구축하면서 사회와의 관계 속에서 형성된 다양한 국면의 여성성을 드러내었다. 일반적으로 한국 근대 여성 미술가란 해방 전부터 1960년대 이전까지 작품 활동을 한 여성 미술가들을 지칭한다. 당대에 많은 여성들이 미술 활동을 했으나 대부분 단발적인 활동에 그쳤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 다루고 있는 나혜석, 박래현, 천경자는 연구가 가능할 만큼의 많은 작품을 평생에 걸쳐 제작했음은 물론 그 안에 현대의 페미니즘 시각에서 거론될 수 있는 특성들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이 세 작가의 작품은 당대 여성의 현실을 바탕으로 한 여성성이라 판단되는 양상들을 충분히 지니고 있다. 게다가 자신의 삶과 사상, 작품 세계에 대한 많은 글은 이를 통해 이들의 작품에 나타난 여성성의 근거를 확인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작품 분석을 통해 페미니즘 미학(feminist aesthetics)을 바탕으로 나혜석, 박래현, 천경자 등의 한국 근대 여성 미술가들의 작품에 나타난 여성성을 연구해보았다. 나혜석의 초기 삽화에는 가정 안팎에서 겪게 되는 근대 여성의 현실이 여과 없이 드러난다. 그는 과중한 여성의 가사 노동과 근대 신여성의 사회적 위치를 사실적으로 그려내어 남녀차별적인 사회에 대한 비판 의식을 보여준다. 또한 가사 노동과 사회 활동을 완벽히 수행하는 신여성의 모습을 재현함으로써 나혜석 자신이 추구한 이상적 여성상을 보여주었다. 나혜석의 여성 누드화는 당시의 다른 미술가들이 다루던 방식과 달리 여성 신체를 적나라하게 드러낸다. 이것은 여성도 남성과 동등한 인간이라는 인식을 바탕으로 여성의 신체를 새롭게 이해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의 자화상에는 남성성과 여성성, 서구와 동양의 민족성을 공유하는 외향 묘사를 통해 현실 저항과 극복의 의지를 표출하는 자아가 반영된다. 박래현은 여성만이 표현할 수 있는 미(美)가 존재한다고 믿었고 여성의 창조력 발휘를 주장했다. 또한 모성에 대한 지속적인 탐구를 바탕으로 작업을 진행했다. 박래현의 작품에는 한국 근대 시기의 어머니상이 등장하며, 가족의 생계유지와 남성의 쾌락을 위해 역할이 이분되는 여성의 현실이 드러난다. 더불어 가슴과 엉덩이가 과장된 볼륨으로 그려진 여성상들은 고대 여신상이 지니는 조형적 특성을 가지는데 이것은 다산, 풍요의 의미와 태초의 모성 신앙을 부각시킨다. 이 외에도 본질주의적인 페미니즘 미학이 추구하는 대표적 '여성 이미지(female imagery)'인 동심원적 형태와 구멍, 원형, 자루 모양이 나타나는 한편 줄리아 크리스테바(Julia Kristeva)의 코라(chora)를 연상시키는 검은 구멍이 보인다. 더 나아가 그의 태피스트리 작업에는 '여성 이미지'들이 실, 노끈, 천과 같은 재료를 통해 그동안 여성의 영역으로 간주되었던 수공예적 기법으로 표현된다. 천경자는 문학적 소양과 상상력을 바탕으로 여성 도상을 창조했고 일관된 양식으로 여성성을 나타냈다. 기호화된 현실 초월적인 여성 도상들은 남성에 의해 부과된 여성성과 내면적 자아 사이를 왕래하는 여성의 이중 심리를 드러낸다. 여성을 투사하는 천경자의 상징물인 뱀과 꽃은 각각 강한 생명력과 유혹의 힘을 가진 존재, 아름다움과 허망함이라는 양면성을 지닌 존재로 그려져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여성성을 암시한다. 또한 그의 자화상에서 꽃 장식, 동공이 열린 눈 등을 통해 나타나는 광기와 환상은 여성에게 억압적인 현실을 극복하려는 저항 의지를 담아낸다. 천경자의 작품에 나타나는 자전성(autobiography), 나르시시즘(narcissism)적 성향, 광기, 환상성 등은 그동안 여성만이 갖는 불온한 특성이자 도피적인 성향으로 인식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페미니즘 입장에서 이러한 특성들은 가부장적 억압에서 여성 스스로 자신을 방어할 수 있었던 유일한 수단으로 재평가되고 있다. 이들의 작품에 드러나는 현실 비판 의식은 사회 비판 의식을 직접적으로 드러내는 한국의 현대 페미니즘 미술과 연관성을 가지며, 아시아 여성으로서의 정체성 탐구는 제 3세계 여성 미술과 연결점을 찾을 수 있다. 모성, 여성을 암시하는 이미지들은 페미니즘 미술에서 현재까지도 여성의 정체성을 탐구하는 중요 소재이며 태피스트리는 실과 천, 누비나 재봉, 수예처럼 여성 수공예를 적극적으로 도입한 작업과 연관된다. 그리고 여성의 경험, 여성적 모티브의 재현은 여성적 감수성과 여성 개인의 삶을 중심 서사로 끌어들이는 페미니즘 미술의 한 흐름으로 이어진다. 나혜석, 천경자, 박래현는 한국의 남성을 중심으로 한 유교적 전통과 민족주의, 서구의 남성을 중심으로 한 모더니즘이라는 거대 담론 속에서 전문적 직업을 가진 여성으로 활동했다는 점, 작품 속에서 여성의 현실을 인식하고 자아를 탐구했다는 측면에서 페미니즘적 의미를 갖는다. 이와 같은 연구 과정을 통해 이 세 명의 여성 작가가 여성의 표현 언어를 개발하며, 여성 미술의 형식과 의미들을 창안해내는 데에 하나의 기반을 제공했다는 사실을 확인 할 수 있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