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9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영기-
dc.contributor.author이선화-
dc.creator이선화-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4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4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3448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915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4487-
dc.description.abstractThe cultural exchange among countries around the world is increasing due to the coming presence of the age of cultural industry, merchandising their own unique and differentiated culture, elevating national competitiveness to contribute for their economic development. At this point, we need to develop the package design which includes the image of the goods and functions as a consumer communication, as well as the design of cultural products. Yet little has been developed in Korea for the unique and elegant package design which could emphasize cultural goods' own character and dignity, unlike the development of cultural goods, itself.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suggest various ways of the coloration which could positively apply to the package design of cultural products through the research of the coloration presented on the traditional patched wrapping cloth. The process of this study : First, this study suggests the needs for development of cultural products and application of traditional colors through literature review; We must evolve our own unique design through continuous study on the unique Korean styles to be competitive in the age of Globalization. In the same veins, we need to study the traditional colors and to apply it for the development of cultural products. Second, as a result of research for the package design of the products in souvenir shops, galleries in Insa-dong, museums and art museums, we can find out that the most of the package designs of cultural products are designed by either small or medium-sized suppliers and used on a regular basis. In terms of utilizing various traditional colors, they are not making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variety of colors thoroughly. Third. we have studied about the concept and background of patched wrapping cloth which is no less figurative in color and form than those of Contemporary Art, as well as the forms of coloration by extracting colors from patched wrapping cloth. Fourth, based on the result from the research above, we suggest the application plan for the traditional colors that could be applied for the plan of coloring of package design for cultural products, which is characterized by the specific cultural value of its country and region. Finally, we attempt to contribute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package design of the cultural products by expecting our findings to be the basic resources of coloring in the development of package design of cultural products that is going to be more competitive in the global market. I encourage more continuous efforts and interests in this area to cope with the limitation due to the researcher's lack of knowledge. It is required to be replenished by continuous studies, because the limitation of this literature caused by the restricted references and viewpoint is expected. I dare to put the value of this study on attempting to grasp the color combination in patched wrapping cloth, and applying it in this area of design. I believe that the result of this study, in spite of the limitations ,already commented, would contribute for the use of colors. ;문화산업 시대의 도래로 세계 각국은 상호간의 문화적 교류를 활발히 하고 있으며 독창적이며 차별화된 자기만의 문화를 상품화하여 국가 경쟁력을 재고시켜 경제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이러한 문화상품의 디자인과 함께 상품의 이미지를 담고 소비자 커뮤니케이션 기능을 갖는 패키지 디자인의 개발이 필요한 때이다. 우리나라에서는 문화상품 자체의 개발만 되어질 뿐 문화상품 고유의 특성과 품격을 살릴 수 있는 독특하며 세련된 느낌의 패키지 디자인의 개발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전통 조각보에 나타난 색채 배색을 통해 문화상품 패키지 디자인에서 실증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배색방법을 제시함에 그 목적이 있으며, 이를 통한 한국적 이미지를 갖는 고부가가치 상품을 생산토록 하는 기초 색채 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본 논문의 진행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문헌조사를 통하여 전통색채 활용과 문화상품 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세계화 시대에 국가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한국적인 것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우리만의 독특한 디자인을 개발해야 한다. 같은 맥락에서 전통색채의 연구가 필요하고 그것을 활용한 문화상품의 개발이 중요한 것이다. 둘째, 기념품점 및 인사동의 화랑, 박물관이나 미술관 등의 패키지 디자인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문화상품 패키지 디자인은 문화상품을 납품하는 중소업체에 의해 자체적으로 제작되어 일정하게 사용되고 있었으며, 전통색채의 활용에 있어서 다양한 색상들이 충분히 활용되지 못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현대 디자인에 뒤지지 않을 만큼 색채와 형태에 있어 뛰어난 조형성을 지니고 있는 조각보의 개념과 배경에 대해 알아보고, 조각보에 나타난 색채를 추출하여 배색 형태를 알아보았다. 넷째, 위의 조사결과를 근거로 국가와 지역의 특수한 문화가치를 바탕으로 하는 문화상품의 패키지 디자인 색채 계획에 활용, 응용할 수 있는 전통색채의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끝으로, 연구의 결과가 세계시장에서 경쟁력을 발휘할 수 있는 문화상품 패키지 디자인 개발의 기초 색채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앞으로의 문화상품 패키지 디자인 발전에 밑거름이 되고자 하였다. 연구자의 부족한 지식에 의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앞으로도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이 요구된다. 본 논문은 제한된 자료의 사용과 연구자의 제한된 시각에서 이루어져 오차의 범주가 있고 논리전개에 한계가 있으리라 예상되므로, 이후의 꾸준한 연구를 통한 보완이 필요하다고 본다. 조각보에 나타난 색채를 파악하여 디자인 분야에 활용하고자 한 점에 의의를 두며, 미흡하나마 앞으로의 색채 사용에 있어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ⅷ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범위 및 방법 = 3 Ⅱ. 색채와 문화상품 = 4 A. 전통색채의 이해 = 4 B. 문화상품의 이해 = 10 Ⅲ. 문화상품 패키지 디자인 = 17 A. 문화상품 패키지 디자인의 역할 = 17 B. 문화상품 패키지 디자인 현황 = 19 Ⅳ. 조각보의 색채 = 27 A. 조각보의 일반적 고찰 = 27 B. 조각보에 나타난 색채 = 32 Ⅴ. 전통색채의 배색 활용 = 61 A. 범주별 색채 팔레트 = 63 B. 색채조화론 적용 배색 = 68 Ⅵ. 결론 = 76 참고문헌 = 78 ABSTRACT = 8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27305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문화상품 패키지 디자인을 위한 전통색채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조각보의 배색을 중심으로-
dc.format.pageix, 8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디자인학부시각정보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0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