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24 Download: 0

협동학습에서 집단 보상 방법이 학습능력별 학습자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Title
협동학습에서 집단 보상 방법이 학습능력별 학습자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Authors
윤소야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지리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
Abstract
이 연구는 집단경쟁 집단보상이 제공되는 협동학습과 집단무경쟁 집단보상이 제공되는 협동학습의 학업성취 효과와 협동학습에서 상위·중위·하위 능력별 학습자의 학업성취 효과를 분석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위해서 STAD 모형을 이용한 협동학습 실험수업을 실시하였으며, 각 집단의 학업성취도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SPS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를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협동학습은 비협동학습보다 학업성취에 효과가 있었으며, 집단경쟁 집단보상을 제공한 협동학습이 집단무경쟁 집단보상을 제공한 협동학습보다 학업성취도가 높았다. 둘째, 집단경쟁 집단보상 협동학습은 모든 수준의 학습자에게 학업성취 효과가 있었고, 집단무경쟁 집단보상 협동학습은 상위집단과 하위집단 학습자에게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이 연구는 여러 형태의 협동학습 모형 중 STAD 모형만을 사용하였고, 중학교 사회과목 중 지리분야에만 적용하였으며, 연구대상을 중학교 1학년 2개 학급 96명으로 한정하였고, 실험기간이 13차시로 비교적 짧은 기간이며, 협동학습에서 중요시되는 학생들의 내적 상호작용의 과정이 분석되지 못했다는 점에서 일반화하기에는 한계점을 가진다. 또한 협동학습이 교육현장에서 활발히 적용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들이 계속되어야 한다. 첫째, 협동학습이 학업성취에 효과적인가에 대한 많은 연구들의 결과는 일관적이지 못하므로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특히 협동학습에서 지리과목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편이므로 지리수업의 개선과 효과적인 목표달성을 위해서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이 연구에서는 성적에 따라 집단을 구성하였으나, 성별·흥미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한 집단구성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셋째, 학교급별, 도시와 농촌 지역별 등 다양한 대상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넷째, 학습내용에 따라 어떠한 모형을 활용하는 것이 효율적인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다섯째, 인지적 영역 뿐만 아니라 정의적, 태도 영역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3. 협동학습의 유형 여태까지 많은 학자들에 의해 개발된 협동학습의 모형들은 집단 간 경쟁인가 혹은 집단 간 협동인가에 따라 '학생 팀 학습' (Student Team Learning : STL) 유형과 '협동적 프로젝트' (Cooperative Projects : CP)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학생 팀 학습 유형(STL)에는 성취과제분담학습(STAD), 토너먼트 학습(TGT), 과제분담학습Ⅱ(Jigsaw Ⅱ), 팀 보조 개별학습(TAI) 등이 있고, 협동적 프로젝트(CP) 유형에는 과제분담학습Ⅰ(Jigsaw Ⅰ), 집단조사(GI), 함께 하는 학습(LT), 자율적 협동학습(Co-op Co-op) 등의 모형이 있다. 이들 모형들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 외적 보상과 그에 따른 집단간 경쟁의 이용이다. 학생 팀 학습(STL) 유형에서는 외적 보상을 통한 집단간 경쟁을 협동학습의 중요한 요소로 보고 최고 성적을 거둔 집단에게 보상을 주고 있으며, 협동적 프로젝트(CP) 유형에서는 학습은 그 자체가 목적이며, 지나친 외적 보상에 제공에 회의를 갖고 집단 간에도 협동이 이루어지도록 교실을 구조화한다. 이 연구에서 사용한 STAD 모형은 존스 홉킨스 대학의 Slavin에 의해 개발된 STL 프로그램의 한 형태로서 소집단 전체의 점수는 집단 구성원 각자의 점수에 의해 영향을 받게되므로 집단 구성원간의 협동이 절실히 필요한 협동학습 형태이다. 이 모형은 협동학습 모형 중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며, 절차가 간단해서 협동학습을 처음 시작하는 교사에게 적합하다. STAD 모형은 교사에 의한 과제 제시, 소집단 학습, 개별시험(quiz), 개인향상 점수, 소집단 점수의 게시와 보상의 단계로 진행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roup competition with group reward(GCGR) and group noncompetition with group reward(GNCGR) on academic achievement of learners who have different learning ability focusing on the group reward that is the condition of the cooperative learning. The questions set up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ich one is more effective on academic achievement, GCGR or GCNGR? Second, How does cooperative learning have effects on academic achievement of learners who have different learning ability? To answer these questions; ① theoretical inquiries into cooperative learning and group reward were inquired. ② Experimental classes of cooperative learning used the STAD-model were practiced. ③ T-test used the SPSS-statistical program was used to compare the academic achievement in each group.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arners of GCCR showed a greater achievement performance than the learners of GNCGR. This result applied to all level's learners including high-learning ability, middle-learning ability and low-learning ability. Second, cooperative learning of GCGR have effects on academic achievement of all level's learners. However, cooperative learning of GNCGR have effects on academic achievement of learners who have high-learning ability and low-learning ability, not middle-learning ability However, there is a limitation to generalize this study. The reasons are as follows. 1. There are many kinds of cooperative learning model, but in this study only STAD-model was used. 2. This study was applied to geographic only. 3.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limited to 96 students of the 1st graders divided in two groups in middle school. 4. The period of this experiment lasted for 13 hours which was not long enough to generalize this study. 5. The process of learner's internal interaction which of importance to cooperative learning was not analyz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지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