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2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근배-
dc.contributor.author이수아-
dc.creator이수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0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0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3361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910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3616-
dc.description.abstract1998년 김정일 정권의 공식 출범 이후 북한에서는 새로운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지난 1990년부터 줄곧 마이너스 성장을 거듭하던 북한 경제는 1999년을 기점으로 4년 연속 플러스 성장을 기록 중이다. 또한 1998년 헌법 개정으로 내각에 경제사업을 집중시킴으로써 내각의 역할을 강화하고, 생산단위의 구조조정, 공장·기업소의 자율성 확대, 대외경제개방의 확대 등 경제부문에서 큰 변화를 보이고 있다. 북한은 이와 함께 과학기술의 중요성을 특별히 강조하고 있다. 1998년에 처음 등장한 '과학중시사상'은 김정일의 사상으로 제시되었으며, 그 해 8월 발사된 '광명성 1호'는 김정일의 과학중시사상에 의한 영도의 결과라는 점이 강조되었다. 또한 북한은 1999년을 '과학의 해'로 선포하였고, 나아가 2000년 신년 공동사설에서는 과학기술을 강성대국의 3대 기둥 중 하나로 제시하였다. 김정일의 새로운 정치방식인 '과학중시정치'도 강조되고 있다. 북한의 과학기술중시정책이 본격화되고 있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 과학기술중시정책의 특성을 밝히고, 과학기술중시정책이 현재 북한의 사회주의 경제건설에서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북한의 과학기술중시정책은 1980년대 중반 경제적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등장했으며, 이 정책의 가장 중요한 특성은 '경제와 과학기술의 일체화'이다. '경제와 과학기술의 일체화'란 경제와 과학기술의 통일적 발전이론에 입각해, 과학기술의 발전을 다른 모든 경제사업에 확고히 앞세우고 경제건설의 전 분야에서 과학기술의 성과를 전면적으로 결합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북한의 과학기술중시정책은 과학기술의 중요성에 대한 간부와 주민들의 인식 부족, 자본 부족과 열악한 과학기술 인프라, 대북 기술통제체제 등의 장애물에도 불구하고, 과학기술을 통한 생산력 제고(생산혁신), 경제관리체계의 개선 및 강화(경영개선), 새로운 사상관점과 과학기술중시사상의 확산(사상운동)을 통해 단기적으로는 사회주의 경제의 정상화, 장기적으로는 사회주의 경제의 발전을 목표로 전개되고 있다. 현재 북한은 과학기술과 경제의 전면적 결합을 통해 1990년대 후반 이후 플러스성장을 유지하며 과학기술중시정책의 단기적 목표에 근접해가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향후 북한은 사회주의 경제발전이라는 장기적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서 간부와 주민들의 경직된 사상의식을 변화시키려는 노력과 함께 열악한 과학기술 인프라의 개선, 미국을 비롯한 자본주의 선진국과의 정치ㆍ외교적 관계 정상화에 주력할 것으로 전망된다;North Korea has put much emphasis on importance of science and technology along with official starting of Kim Jong-il's regime in 1998. Kim Jong-il's "the idea of attaching great importance to science" was introduced for the first time in 1998. North Korea has emphasized that the launch of the first artificial satellite "Kwangmyongsong 1" is due to the leadership of Kim Jong-il. North Korea also has set 1999 as "the year of science", introducing science and technology as one of the three pillars of "the building of a great prosperous powerful nation" in Joint New Year Editorial in 2000. With this, "The politics of giving great importance to science", Kim Jong-il's new style of politics, is also emphasized. North Korea has begun to drive "the policy of attaching great importance to science and technology".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search for the feature of "the policy of attaching great importance to science and technology" in North Korea and to analyze the roles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socialist economic construction in North Korea. North Korea has propelled "the policy of attaching great importance to science and technology" to cope with its economic difficulties in the mid-1980s. The most notable feature of the policy is the unification of 'economy' and 'science and technology'. The unification of 'economy' and 'science and technology' is based on the theory about unified development of 'economy' and 'science and technology', and is to give priority to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over other all economic business and to introduce products of science and technology to the whole fields of economic construction completely. That is to say, it is that all industrial sectors and units must push activity ahead with technological innovations and give priority to introducing up-to-date scientific, technological achievements. In spite of obstacles such as staffs and the populations' lack of understanding about the importance of science and technology, the scarcity of capital, poor infrastructures of science and technology, technological regulation system to North Korea, the North has carried out "the policy of attaching great importance to science and technology" for the normalization of socialist economy in the short run and the development of its economy in the long run by raising productive capacity that based on science and technology, improving the system of guiding and administering economy and spreading 'new thinking and perspective' and 'the idea of attaching great importance to science and technology' among the public. By carrying out "the policy of attaching great importance to science and technology", North Korea keeps plus economic growth since 1999 and seems to reach the short-term goal. Hereafter North Korea will concentrate its effort on change of staffs and the populations' stiff perspective, improvement of poor infrastructures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normalization of diplomatic relations with advanced capitalist state including United States of America.-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목적 = 1 B. 연구방법 = 3 Ⅱ. 과학기술중시정책의 등장과 전면적 추진 = 5 A. 경제적 어려움과 과학기술중시정책의 등장 = 5 1. 경제 성장률의 하락과 대외경제관계의 악화 = 5 2. 과학기술 발전을 위한 다각적 노력의 전개 = 7 B. 과학기술중시정책의 전면적 추진 = 11 1. 정책 현황 = 12 가. 과학기술 발전계획의 추진과 투자 확대 = 12 나. 다양한 과학기술 관련 행사 개최 = 16 다. 과학기술교육의 강화 = 28 라. 대외 과학기술 교류ㆍ협력 강화 = 30 2. 조직변화 = 38 가. 과학기술 행정기관과 연구기관의 재편 = 38 나. 과학기술 교육기관의 신설ㆍ개편 = 40 다. 컴퓨터 관련 교육개발기관의 신설ㆍ개편 = 43 3. 대중활동 = 45 가. 과학기술 교양사업의 강화 = 46 나. 새로운 과학지식과 기술의 사회적 확대 = 47 다. 경제관리 변화를 통한 기술혁신 유도 = 50 Ⅲ. 과학기술중시정책과 사회주의 경제건설 = 53 A. 이론 체계 : 경제와 과학기술의 통일적 발전이론 = 54 1. 총론 : '경제와 과학기술을 하나로 결합시킬데 대한 경제사상' = 54 2. 생산 : '과학기술과 생산의 통일적 발전에 관한 이론' = 56 3. 경영 : '과학기술과 생산을 옳게 결합시키는 사업체계' = 58 4. 사상 : '현대적 과학기술에 기초한 자력갱생' = 59 B. 실현 양상 : 경제와 과학기술의 전면적 결합 = 60 1. 생산혁신 : 과학기술을 통한 생산력 제고 = 60 가. 생산의 현대화ㆍ과학화ㆍ정보화 = 61 나. 첨단산업(ITㆍBTㆍNT) 육성 = 67 2. 경영개선 : 경제관리체계의 개선 및 강화 = 70 가. 국가계획화 시스템 개선 = 70 나. 생산단위 경영활동의 효율성 증대 = 74 3. 사상운동 : 새로운 사상관점과 과학기술중시사상의 확산 = 78 가. '新자력갱생론'을 통한 사회주의 고수 = 79 나. 과학기술중시사상의 전사회적 확산 = 82 Ⅳ. 과학기술중시정책 실현의 한계와 전망 = 85 A. 한계 = 85 B. 전망 = 92 Ⅴ. 결론 = 95 참고문헌 = 98 Abstract = 10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9360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북한의 과학기술중시정책-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경제와 과학기술의 일체화'를 통한 사회주의 경제건설-
dc.format.pageviii, 10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북한학협동과정-
dc.date.awarded200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북한학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