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0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준영-
dc.contributor.author조미현-
dc.creator조미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0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0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3361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910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3618-
dc.description.abstractWhen a crisis occurs in a regime, the political power identifies its causes and thereby, manage the crisis. If the crisis can be managed successfully, namely, if the causes for the crisis can be correctly solved, the regime will remain unchallenged. In a reverse case, however, the regime may collapse due to resistance from anti-regime forces, overthrow of the regime or people's uprising and political chaos thereof. In late 1980's when the socialist states began to collapse, North Korea faced a political crisis. Since the socialist nations which had cooperated with each other politically and economically based on the common ideology had collapsed, the legitimacy of North Korean regime was threatened, while their exports were diminished. After all, 'North Korean crisis' or 'possible collapse of North Korea' was predicted. Moreover, in 1994 when North Korea faced shortage of food supplies, their people began to distrust their regime more, and a great many people began to defect to China or South Korea. Under such circumstances, Kim Il-sung died all of a sudden. Thus, Kim Jong-il regime inherited North Korea at crisis. The primary goal of Kim Jong-il regime or 'a crisis management regime' lied in removing the causes for their crisis to maintain the current regime. North Korea's crisis was a total crisis encompassing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crises as well as external crisis. The most determinant cause for such a crisis threatening North Korean regime was economic difficulty. Meanwhile, North Korea's goal of 'self-reliant economy' had been motivated by the unique economic policy of 'construction of a self-reliant people's economy'. And the 'construction of a self-reliant people's economy' required North Korean economy to be closed. On the other hand, the high priority on the heavy industry had led to unbalanced industrial developments, not allowing for the profits from the international division of labor or international exchanges of resources and commodities. In short, North Korea could not take advantage of the international economic cooperation. In order to manage the crisis, Kim Jong-il regime had to solve the economic crisis first. In other words, the closed economic logic of 'construction of a self-reliant people's economy' should be replaced with 'an open economy'. However, to Kim Jong-il regime, such 'an open economy' could threaten their regime, contradictorily. Since 'construction of a self-reliant people's economy' was grounded on their ideology or 'self-reliance ideology', the legitimacy of their ideology could be weakened if 'construction of a self-reliant people' economy' should be abandoned. That is, if North Korean people should be exposed to the external environment as a result of 'an open economy', they would be awakened of the superior capitalism and after all, the contradictory North Korean regime. Thus, Kim Jong-il regime came to face a dilemma of solving their economic crisis and maintaining their regime at the same time. Under such a dilemma, Kim Jong-il chose to reinforce his regime politically, while managing the economic crisis in a limited scope. Thus, he would suggest a political discourse aimed at reinforcing his regime and solving the economic crisis, and endeavor to keep his regime stable, reinforce his political power and establish his regime. Such efforts to manage the economic crisis were exerted to the extent that Kim Jong-il regime would not be threatened. Although the political succession from father to son had been prepared for some 2 decades, it was difficult for the son to inherit his father's charisma and legitimacy consolidated for half a century. The primary goal of Kim Jong-il regime was to start the regime in a stable way. In order to inherit the legitimacy from father and exert the political influence as effectively as father, Kim Jong-il could not but use the dead father's influence. So, he proposed the so-called 'Rule instructed by Father". Namely, although father was dead, the son could rule the nation with the instructions from the dead. During this period of 'Rule instructed by Father', Kim Jong-il endeavored for 3 years to be identified with his father, and thus, pursued the Special Economic Zones as instructed by Kim Il-sung, in order to solve the economic crisis or the most serious stepping stone for his new regime. On the other hand, Kim Jong-il would make efforts to consolidate his regime launched stably once. After exploring the ways to help maintain his regime, he would rely on the military after all. Although North Korea's priority on the military had long been maintained, the roles and status of the military would be enhanced more with Kim Jong-il regime who began to put higher priority on the military to build a military state. To Kim Jong-il regime, the military has been the most effective means of consolidating the regime and solving the economic difficulties. The North Korean military is best armed with the ideology. They can be used as means of forcing and controlling the people. Moreover, they can be mobilized for economic construction projects. After the 3-year-long 'Rule instructed by Father', Kim Jong-il regime would open 'Kim Jong-il' era on a full scale. He would be nominated to Chairman of Defense Committee to grasp the political power completely. Then, Kim Jong-il would suggest a new national strategy called 'a Strong Nation'. The son needed a national strategy differentiated from his father's strategies, and therefore, championed that North Korea should concentrate efforts to build a strong economy, as the nation had already been strong in political, ideological and military terms. Kim Jong-il regime was launched with the discourses for maintenance of the regime and solution of the economic crisis, and would be consolidated firmly. He believed that if people should be armed with ideology, his regime would be consolidated to solve the economic crisis. In terms of maintaining the regime, his regime has been more or less successful. Kim Jong-il regime at crisis has remained for a decade. There has been neither political reshuffle nor change of the regime. Namely, Kim Jong-il's socialist nation remains unchallenged. It seems that Kim Jong-il has succeeded in managing the crisis of regime. There has been no uprising like Tienanmun incident. Just as Kim Il-sung bequeathed North Korea to Kim Jong-il, Kim Jong-il is making efforts to hand over North Korea to his son. However, North Korea's economic crisis has continued to deteriorate, showing no sign of recovery. Still, North Korea suffers from shortage of food supplies, much less medical services. The foreign aids have been diverted into the military with people's life little improved. Such dramatic economic reforms as July 1 Economic Reform, Special Sight-seeing Zones and Industrial Complexes invoked an assumption that North Korea would be transformed into an open economy, their effects have diminished over time. Since his regime was launched, Kim Jong-il has continued to manage the crisis, but there will be few changes in mid-term. If a crisis has occurred, its causes should be completed solved. However, Kim Jong-il regime has remained unchanged with the causes for the economic crisis not solved. A regime with a crisis uncontrolled would face a real crisis sometime later.;한 체제에 위기가 발생하면 위기의 원인이 무엇인지 파악한 후, 위기관리를 시행하게 된다. 위기관리가 성공적이면, 즉 위기의 원인이 해소되면 그 체제는 유지될 수 있지만, 반대의 경우는 체제전환, 정권교체, 인민봉기 등 체제혼란이 발생해 결국 붕괴로 이어질 수 있다. 북한은 1980년대 후반 사회주의국가들이 붕괴되면서 위기에 직면하게 된다. 공통된 이데올로기를 바탕으로 정치ㆍ경제적으로 상호의존 하던 국가들의 붕괴는 체제의 정당성을 약화시켰고, 대외 수출에도 타격을 입혀 '북한 위기론', '북한 붕괴론'이 대두되기 시작했다. 그리고 1994년 생존을 위협하는 식량난으로 인민들의 사회불신이 심각해졌고, 대규모 이탈현상이 나타나는 위기의 북한을 남긴 채 김일성이 갑자기 사망하게 된다. 김정일 정권은 위기의 북한을 물려받게 되었다. '위기관리정권'인 김정일 정권의 1차적 목표는 위기의 원인을 해소하여 체제를 유지하는 것이었다. 북한의 위기는 체제내부의 정치, 경제, 사회 전 분야와 대외적 위기까지 겹친 총체적 위기상황이었다. 그 중 북한체제를 위협하는 결정적인 위기원인은 경제난이었다. 북한의 '경제에서의 자립' 원칙은 '자립적 민족 경제 건설'이란 특유의 경제정책을 낳았다. 그리고 '자립적 민족 경제 건설'은 북한 경제를 폐쇄적으로 만들었고, 수단으로 이용된 중공업 우선 정책은 북한의 산업을 불균형적으로 만들어 국가간 자원과 상품의 교류에서 오는 국제분업의 이익을 얻지 못하게 해 국제협력의 부진을 초래했다. 위기관리를 위해서 김정일 정권은 경제위기를 해소해야 했다. 경제위기의 원인인 '자립적 민족 경제 건설'이란 폐쇄 경제논리를'개방경제'로 전환해야 했다. 하지만 김정일 정권에게 '개방경제'의 선택은 '체제유지'를 위협하는 상반된 개념이었다. '자립적 민족 경제건설'은 지배 이데올로기인 '주체사상'을 근간으로 하고 있어 자립적 민족 경제 건설'의 포기는 주체사상의 정당성을 약화시키고, 개방으로 인한 인민들의 외부환경으로의 노출은 자본주의사상의 우월성을 깨닫게 하고 북한의 체제모순을 인식하게 한다. 김정일 정권은 경제위기해소와 체제유지의 딜레마에 봉착하게 된다. 딜레마 상황에서 김정일이 선택한 위기관리는 정치적 수단을 이용하여 정권을 강화하고, 경제위기를 제한된 범위에서 관리하는 형태였다. 정권강화와 경제위기해소라는 두 가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정치담론을 제시하여 정권의 안정적 출범, 권력 강화, 정권의 확립을 이루어 나간다. 경제위기관리를 위한 노력들은 이 과정에서 체제유지에 위협이 되지 않는 범위에서 이루어졌다. 김정일의 후계자 작업은 20여 년 전부터 시작되었지만, 반세기 동안 유일 지도자로 군림해 온 김일성의 카리스마와 정통성을 이어받기엔 어려움이 있었다. 김정일 정권의 첫 번째 목표는 정권을 안정적으로 출범시키는 것이었다. 김정일이 정통성을 물려받고 김일성만큼의 영향력을 행사하기 위해서는 죽은 김일성을 이용할 수밖에 없었다. 그래서 제시한 것이 '유훈통치'이다. 김일성은 죽었지만 생전에 남긴 유훈을 가지고 통치를 하겠다는 것이다. '유훈통치'기간 김정일 우상화와 김일성과의 동일화 작업을 계속 해 나가며, 3년이란 기간동안 정권출범의 가장 큰 걸림돌인 경제위기를 해소하기 위해 김일성이 유훈으로 남겼다는 경제특구를 추진해 나간다. 김정일은 정권의 안정적 출범과 함께 권한강화를 위해 노력한다. 체제유지에 힘이 되어 줄 수단을 모색하게 되는데 김정일이 선택한 것은 군부였다. 북한의 군사중시정책은 건국초기부터 시작되었으나 김정일 정권이 등장하면서 군부의 역할과 지위는 상당한 수준으로 높아지게 되고, '선군정치'를 통해 군사국가의 모습을 갖추게 된다. 김정일 정권에게 군부는 정권강화와 동시에 경제난을 해결할 수 있는 최상의 수단이었다. 군부는 사상으로 잘 무장된 대규모 인력이다. 인민들을 강제하고 통제하는데 훌륭한 수단이며 경제건설에 투입할 경우 대규모 인적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 김정일 정권은 3년간의 '유훈통치'를 마무리하고 본격적인 '김정일 시대'를 시작하게 된다. 격상된 지위의 국방위원장에 재 추대됨으로써 정권을 완전히 확립한 김정일은 '강성대국'이란 새로운 국가전략을 제시하게 된다. 김일성과 차별화 된 김정일의 국가전략이 필요했던 것인데, 정치, 사상, 군사의 강국은 완성되었으나 경제강국은 미완성 상태이니 노력하자는 것이 주요내용이다. 김정일 정권은 체제유지와 경제위기를 해소할 수 있는 담론들을 제시하면서 정권을 출범시키고, 권한을 강화한 후, 정권을 완전히 확립한다. 인민들을 사상으로 무장하고 강제하면서 정권을 확립하면 경제위기로 인한 위기의 수준이 어느 정도 감소할 것으로 여겨졌기 때문이다. 체제유지의 측면에서 김정일 정권을 어느 정도 성공을 거두었다. 위기의 김정일 정권은 10여 년이 지난 현재 유지되고 있다. 정권교체도 없었고, 체제의 전환도 없었다. 김정일의 사회주의 북한은 계속되고 있다. 김정일의 위기관리는 북한의 체제유지 측면에서는 성과를 거둔 것으로 보인다. 중국의 천안문사태 같은 인민반란도 없고, 김일성이 김정일에게 정권을 물려준 것처럼 김정일도 세습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북한의 경제위기는 더욱 악화되면 악화되었지 나아지지 않았다. 여전히 식량난은 심각하며 의료혜택도 받을 수 없는 형편이다. 외국의 원조가 있지만 그것은 군부대로 유입되고 있어 인민들의 생활이 특별히 나아지지도 않았다. 7. 1 경제조치, 관광특구 및 공단건설이란 획기적인 경제난 타개책을 제시해 북한이 개방경제로 전환하는 것이 아닌가 관심을 집중시켰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큰 성과가 있는 것은 아니다. 김정일이 출범하고 완전히 정권을 확립하는 기간에 시행된 위기관리는 현재까지 이어져 오고 있으며 중기적으로 큰 변화를 보이지는 않을 것이다. 위기가 발생하면 위기의 원인을 완전 해소해야 한다. 하지만 김정일 정권은 경제위기의 원인을 그대로 남겨둔 채 10년이란 시간을 끌어왔다. 위기가 잔존하고 있는 체제는 언젠가 어려움에 처하게 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 목적 = 1 B. 연구 방법 = 3 Ⅱ. 북한의 경제위기와 위기관리의 딜레마 = 7 A. 위기와 위기관리의 개념 = 7 B. 북한의 경제위기 실태 = 11 C. 북한의 경제위기 원인과 위기관리의 딜레마 = 18 1. '주체사상'과 '자립적 민족경제 건설' = 18 2. 경제위기해소와 체제유지의 딜레마 = 22 Ⅲ. 체제유지를 위한 정치적 경제위기관리 = 25 A. 정권의 안정적 출범과 제한적 경제개방 = 25 1. 정통성을 확보한 정권의 출범 = 25 가. 유훈통치의 등장배경 = 25 나. 유훈통치의 내용 및 특징 = 30 2. 김일성의 유훈 '제한적 개방' = 33 가. 나진-선봉 자유무역지대 추진 배경 = 33 나. 나진-선봉 자유무역지대 성과와 특징 = 36 B. 군부를 통한 권력기반 안정화와 경제재건 = 38 1. 권력기반 안정화와 군 중시 체제 = 38 가. 군중시 체제의 배경 = 38 나. 군 중시 체제의 내용 = 41 (1) 김정일의 군부 장악과정 = 41 (2) 군부의 역할 증대 = 42 다. 군사국가화와 선군정치 = 46 2. 군부를 수단으로 한 경제재건 = 48 C. 새로운 국가전략 제시를 통한 정권확립과 '경제강국의 건설' = 51 1. '강성대국론'과 정권확립 = 51 가. 강성대국론의 등장배경 = 51 나. 강성대국론의 내용 및 특징 = 54 2. 경제정책 목표 '경제강국의 건설' = 57 Ⅳ. 김정일 정권의 위기관리 성과 및 한계점 = 60 A. 체제유지 측면 = 60 B. 경제위기 해소의 측면 = 62 Ⅴ. 결론 = 64 참고문헌 = 66 Abstract = 7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4996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김정일 정권의 정치적 경제위기관리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정권확립과정에서의 위기관리특징과 성과를 중심으로-
dc.format.pageix, 7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북한학협동과정-
dc.date.awarded200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북한학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