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9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경실-
dc.contributor.author오혜진-
dc.creator오혜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27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27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3401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907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4019-
dc.description.abstractMechanistic, reductive and absolute world view, separating human from nature since Descartes, was substituted by the ecological world view of organic, holistic and relative characteristics, and it became a crucial paradigm of 21st century. Characteristics of the ecological world view are referred to the oriental thought system which consider human and nature as an organism to be the harmony of whole and part, or to be the net of interactive relation. At the same context of conversion of the world view, the Ecological Theory of Perception makes a start from establishing interactive relation of nature environment-human-built environment. So to speak, the theory adopts a systemic approach which human and environment complement and depend on mutually. The theory regards a perception as a function of supporting human's behavior to adapt to environment, explicates the interactive relation of human and environment from the viewpoint of perception and behavior of human and explains as a kinetic phenomenon of perception which surrounding conditions chang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body. The Ecological Theory of Perception induces movability in order that modern architectural space may impress a person through the 'movement' of the body, and can be understood at the same level of the tendency to establish 'relationship' with architectural space through the body. As entering 20th century, artists and architects who sought new aesthetics and society made the movement itself the object for representation by employing elements of movement, and the theory began at the introduction of concept of movement to be intervened in the method of representation. The viewpoint of experience in space is used for the meaning of making space by rebuilding architectural basic elements with perceptional experience of the body, and the Kineticism is generated in those process. Accordingly, the Ecological Theory of Perception and the Kineticism which regard the 'movement' of the body as a main concept can be perceived in the same context, and based on that, the Ecological Theory of Perception and the Kineticism are suggested as a frame of design method for this research. The followings are the summarization of the process: 1. The centrality of the body in the perception of environment is to be researched by contemplating space theory related with the body, phenomenological perception, behavior and affordance 2. The differentiation between Gibson's Ecological Theory of Perception and the existing theory of perception is mentioned, and applicable possibilities for the design of architectural environment are suggested by the embodiment of perceptual concept of environment with the Ecological Theory of Perception. 3. The concept of time and movement in the Kineticism based on new paradigm about time and space is studied, and the formative process of the Kineticism is researched by understanding of Futurism, constructivism, Bauhaus, Kinetic Art and Performance. 4. Applicable possibilities of design are researched with the concretion and case studies about peculiarity of representation of the Kineticism in the design of architectural environment. 5. Focused on the analyzed peculiarity of representation, applicable possibilities of design are verified by the abstraction of conceptual design language and by the suggestion of the design model through a phase of spatial incarnation, and value and validity of this research are analyzed through a total evaluation. As a result of the research process, the environment design to create interactive relation between human and environment is formed by experience of perceptual elements of the body as a object of perception in space, and the production of architectural environment through an application of the Kineticism connotes possibilities of spatial experience, which reconfirms that kinetic experience of perception can be understood by the Ecological Theory of Perception. The Kineticism founded on the movement of the body is based on consecutive experience felt by movement in actual architectural environment, and connotes potential elements to broaden experiential domain of human in relationship between the movement of the body and the Kineticism. Therefore, an environment designer has to plan 'experience' in space by leading the movement of the body, and project perceptional experience of the body to furnish users with pleasure and memory as well as needful facilities and aesthetic affordance through the approach applied to characteristics of the Kineticism. ;데카르트 이래 인간과 자연을 분리시키는 기계론적, 환원주의적, 절대적 세계관은 유기론적, 전일적, 상대적 특성의 생태학적 세계관으로 대체되었으며, 이는 21세기의 가장 중요한 패러다임이 되었다. 이러한 생태학적 세계관의 특징은 유기체로서의 인간과 자연을 전체와 부분의 조화, 또는 상호관계의 망(網)으로 보는 동양적 사유체계가 참조된 것이라 볼 수 있다. 이러한 세계관의 전환과 같은 맥락에서, 생태학적 지각이론(Ecological Theory of Perception)은 자연환경-인간-구축환경의 상호관계성을 설정하는 것에서 출발하고 있다. 즉, 인간과 환경이 상호보완하고 의존하는 시스템적 접근방식을 취하고 있는 것이다. 이 이론은 지각을 환경에 적응하려는 인간의 행태를 지원하는 기능으로 보며, 인간과 환경간의 상호관계를 인간의 지각과 행동의 측면에서 설명하고 있으며, 더 나아가 신체의 '움직임'에 따라 주변조건이 변화하는 역동적 지각현상으로 해석하고 있다. 이 이론은 현대 건축 공간이 신체의 '움직임'을 통해 체험자가 감동을 받을 수 있도록 동태성을 유도하고, 신체를 통해 건축 공간과 맺게 되는 '관계성'을 설정하려는 경향과 같은 차원에서 파악할 수 있다. 이는 20세기에 접어들면서 새로운 미학과 사회를 추구하던 예술가 및 건축가들이 움직임의 요소를 이용하여 움직임 자체가 표현대상이 되게 하고 표현방식에 깊게 개입되는 본격적인 움직임 개념을 도입하면서 시작되었다. 이러한 공간에서의 체험적 관점은 신체의 지각체험을 중심으로 건축적 기본 요소를 재구축하여 공간을 만드는 의미로 사용되며, 이러한 과정들 사이에서 키네티시즘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신체의 '움직임'을 기본 개념으로 하는 생태학적 지각이론과 키네티시즘은 동일한 맥락에서 파악할 수 있다고 보고, 이를 바탕으로 생태학적 지각이론과 키네티시즘을 본 연구의 디자인 방법의 틀로서 제시하였으며, 그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신체와 관련된 공간론, 현상학적 지각, 행태와 지원성 등에 대해 고찰함으로써 환경의 지각에 있어서의 신체 중심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2. 깁슨의 생태학적 지각이론을 다루면서 기존 지각이론과의 차별성을 언급하고, 생태학적 지각이론에 의한 환경의 지각개념의 구체화를 통해 건축환경디자인에의 적용가능성을 제시하였다. 3. 시공간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에 근거한 키네티시즘의 시간 및 운동개념에 대해 알아보고, 미래파, 구성주의, 바우하우스, 키네틱 아트, 퍼포먼스에 대한 이해를 통해 키네티시즘의 형성과정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4. 건축환경디자인에서 키네티시즘의 표현특성과 사례분석을 통해 디자인 적용 가능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5. 분석된 표현특성을 중심으로 디자인 개념언어의 추출과 공간화 단계를 거쳐 디자인 모형을 제안함으로써 실제 디자인에의 적용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종합적인 평가를 거쳐 본 연구의 가치와 타당성을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과정을 거친 결과, 인간-환경의 상호관계성을 창조해야하는 환경디자인은 지각 대상물로서의 공간에서 신체의 지각 요소들 각각의 체험으로부터 형성되므로, 키네티시즘의 적용을 통한 건축환경의 연출은 공간내의 다양한 공간체험의 가능성을 내포한다고 볼 수 있으며, 여기서 발생하는 역동적 지각체험은 생태학적 지각이론을 통해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을 재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신체의 움직임에 기초한 키네티시즘은 실제 건축환경 내에서 움직임을 통해 느끼는 연속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하며, 이러한 신체의 움직임과 키네티시즘과의 관계 속에서 인간의 체험영역을 더 넓혀 줄 수 있는 잠재요소들이 내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환경 디자이너는 신체의 움직임을 유도하여 공간에서의 '경험'을 계획하여야 하며, 키네티시즘적 특성을 적용한 접근방법을 통해 이용자에게 필요한 시설과 미적지원성을 제공함과 동시에 이용자에게 즐거움과 기억을 주는 신체의 지각체험을 계획하여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xii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2 2. 생태학적 지각이론과 신체 중심성에 관한 이론적 배경 2.1. 생태학적 패러다임으로의 전환 = 4 2.2. 환경의 지각과 신체 중심성 = 6 2.2.1. 신체와 관련된 공간론 = 6 2.2.2. 현상학적 지각과 신체의 움직임 = 11 2.2.3. 행태와 지원성 = 13 2.3. 인간과 환경의 상호작용으로서의 생태학적 지각이론 = 16 2.3.1. 생태학적 지각이론의 개념 = 16 2.3.2. 기존 지각이론의 한계성 = 17 2.3.3. 생태학적 지각이론에 의한 환경의 지각개념 = 20 2.3.4. 생태학적 지각이론의 건축환경디자인에의 적용가능성 = 30 2.4. Kineticism과 공간에서의 시간 및 운동개념 = 32 2.4.1. Kineticism의 개념 및 생태학적 지각이론과의 상관성 = 32 2.4.2. 공간에서의 시간 및 운동개념 = 33 3. 시공간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에 근거한 Kineticism의 형성과정 3.1. 미래파 = 37 3.2. 구성주의 = 39 3.3. 바우하우스 = 41 3.4. 키네틱 아트 = 42 3.5. 퍼포먼스 = 44 4. 건축환경디자인에서 Kineticism의 표현특성 및 사례분석 4.1. 비선형 기하학 = 46 4.2. 참여미학으로서의 퍼포먼스와 이벤트 = 49 4.3. 인터렉티브 미디어와 비물질화 = 52 4.4. 프로그램의 불확정성 = 55 4.5. 시지각적 연속성 = 57 4.6. Kineticism의 디자인 적용가능성 = 59 4.6.1. 미술관에서의 적용사례 = 59 5. 프로그래밍 단계 5.1. 디자인 설정배경 = 65 5.2. 디자인 목표 = 66 5.3. 디자인 진행과정 = 67 5.4. 대상지 분석 = 68 5.5. 대상공간 분석 = 76 5.6. 디자인 도출단계 = 80 5.7. 디자인 적용 및 발전단계 = 90 5.8. 종합 및 평가 = 117 6. 결론 = 119 참고문헌 = 121 ABSTRACT = 12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09276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title시공간에서 Kineticism의 표현에 의한 미술관 환경디자인 모형사례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생태학적 지각이론을 중심으로-
dc.format.pagexiii, 12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환경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04.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환경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