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7 Download: 0

빛과 거울의 이미지를 통한 가변적 시지각 공간 표현

Title
빛과 거울의 이미지를 통한 가변적 시지각 공간 표현
Authors
이정선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학부조소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원인종
Abstract
인간의 내면을 형상화하는 예술은 '전시'라는 관람자와의 매개 이전에 이미 한 인간 즉 작가 개인의 '역사'이자, 무의식까지 아우르는 의식적 역사의 기록이며 삶의 궤적(軌跡)이다. 연구자는 삶과 예술의 일치성과 작업의 진정성에 의한 표현으로서의 창작활동에 의미를 두어 왔고, 시각적·조형적 표현과 더불어 총체적 삶의 기록으로서의 공감각(共感覺)적·다각적 표현을 지향한다. 예술가 본연의 정체성 확인과 삶의 기록이 예술의 개인적인 의미와 기능이라면, 동시대의 끈으로 엮인 작가와 관람자가 작품을 통해 소통하고 교감하는 것은 사회적 가치를 갖는 활동으로 확장됨을 의미한다. 때문에, 작가와 관람자가 작품을 통해 조응하는 공간은, 완성된 작품을 전시하는 협의(狹意)로서 뿐 아니라, 작가-작품-관람자의 관계가 이루어지는 사회적 공간인 동시에, 그 공간 자체도 독자적인 표현 영역으로서의 가능성을 갖는 작업의 중요한 질료가 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빛과 거울의 상징성과 현상적 특징을 활용함으로써, 가변적인 설치작업(installation)의 양식을 통해 사랑에 관한 메타포적 공간 표현을 연구함에 있다. 연구 내용은 이론적 배경으로 거울의 상징적 의미를 문화사적으로 조명하였으며, 빛과 거울을 표현 매체로 한 작품들을 예시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문헌 및 관련 자료의 조사와 작품제작 및 분석을 병행하였다. 연구와 관련된 작품 7점을 목적 표출하여 설명하였다. 문헌은 문화사적 측면에서 '거울'의 상징적 의미를 분석한 서적과 내러티브적 특성을 가진 문학·영화관련 도서, 현대미술의 다양한 제경향을 다루는 전공 관련 서적을 참고하였으며, 빛과 거울을 매체로 한 야니스 크세나키스, 마가렛 베넌, 피요트르 코발스키, 데 키리코, 프란시스 베이컨, 김태곤의 작품을 예시하였다. 표현 내용은 남녀 간의 사랑을 주제로 7점의 작품이 개별적인 표현인 동시에 유기적 관련을 맺으며 극(drama) 구성과 이야기성(narrative)을 특징으로 작가와 관람자가 함께 완성하는 인터액션(interaction)의 작업을 이루도록 하였다. 표현 방법으로는 빛과 거울의 특성을 효과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였다. 사물의 형상을 반영하는 매체인 미러필름(mirror film)을 벽면과 바닥면 등에 접착하여 시각적 공간 확장과 거울 이면의 공간을 암시하는 심리적 공간 확장을 계획하였다. 광원 소등 시 빛을 발하는 축광(畜光)안료 도포, 블랙라이트 점등 시 빛을 발하는 백색 소재 사용, 형광등을 내장하여 자체가 광원이면서 블랙라이트에 반응하는 백색의 아크릴 라이트박스 설치 등을 통해 빛의 광학적 특성과 효과를 의도하였다. 연구 결과는, 빛과 거울이라는 매체를 주제의식과의 개연을 통해 다층적·다각적 관점으로 이해하게 되었으며 설치미술이라는 표현 양식 본연의 공간에 대한 적극적인 인식과 경험을 도출하였다. ;Our lives proceed towards the time we never experienced. The direction of time cannot be determined by the subject of life. And, the principle of time has irreversible features. In this study, I tried rediscover as 'a common view and experience', rather than 'personal memory' by leading personal elements into a 'coexisting zone of artist-work-observer' which are induced from past experience, completed situation.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work on expressing metaphoric space about love through flexible installation by utilizing the conditional feature and symbols of mirror and light. The purpose and main idea of such study are expressed by following contents and methods. First of all, the symbolic meaning of light and mirror was expressedthrough the probability with the subject, LOVE. Also by using the optical feature of light and conditional features of mirror and wrapping the walls and ground of exhibition hall with mirror-film, the limits of space was overcame and obtained visual effect of space expansion. Secondly, with the axis of love between man and woman, seven works were relatively selected along with the participation of observers, therefore the interaction between the artist and observers were established. Lastly, along with the expansion of visual space, in planning the mental space expansion which suggests the other side of mirror, I began to understand the space in multiplayer and multilateral aspects and experienced positiveawareness about expressing the natural space of installation work. Through this study, the coexistence of 'assumed futuristic time' and 'experienced time' which were the motivation of work, had allowed me 'another time' along with a distance to consider the direction and flow of time, and this was 'the time of possibility' which cannot be limited as 'the present between past and future'. The context and methods of the this study from the circle of topicㆍmaterialㆍconcept is not only a result, but also a guide line with a possibility which is suggesting constant work and purpose. The exhibiting space which corresponds inside of 'complex relationship' (artist-work-observer, process and completion, reality and imagination, and authenticity and necessity) is an important material of three dimensional work and actual site of life as it is, and communication with artwork as a four dimensional diversity with the character of time allowed me to understand that it is an open relationship with dynamic energy and the aim of lif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