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한인영-
dc.contributor.author임영선-
dc.creator임영선-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27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27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3366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907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3664-
dc.description.abstract최근 국민건강 증진법의 제정과 금연구역 확대 및 범국민 금연운동 등의 금연분위기가 사회전반적으로 확산되면서 금연인구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하지만 이러한 사회적 금연상황에서도 청소년과 여성의 흡연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청소년기 여학생의 흡연이 날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중요한 사회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청소년 흡연은 개인의 생리적, 성격적, 발달적 특성요인과 가정환경 및 가족관계 요인, 학교생활과 또래관계 요인, 지역사회의 특징의 상호작용에 의한 결과이므로 단지 정보제공에 목적을 둔 전략보다는 사회적 대인관계 기술과 문제해결 기술, 개인적 유능감을 증진시키고 동료들의 압력에 저항하는 기술 등과 같이 흡연 청소년의 생활을 도울 수 있는 프로그램의 실행이 요구된다. 이러한 요구에 부합되는 것이 Botvin에 의해 개발된 생활기술훈련(Life Skills Training)프로그램으로, 이는 청소년들에게 약물에 대한 정확한 지식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약물사용을 권하는 사회적 영향에 저항하는 방법과 생활 속에서 직면할 수 있는 문제상황을 다룰 수 있는 대처기술을 발달시켜 약물남용을 예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흡연 여고생을 대상으로 생활기술훈련(Life Skills Training)프로그램을 활용한 집단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고, 결과를 평가ㆍ분석하여 개선점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실시된 프로그램은 Botvin의 생활기술훈련 프로그램을 토대로 흡연여고생에 맞게 연구자가 재구성한 것으로, 경기도 광명시에 위치한 K고등학교에 재학중인 흡연여고생 12명에게 매주 2회씩 총 9회에 걸쳐서 실시되었다.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평가를 위하여 SPSS/PC WIN 10.0을 활용하여 프로그램 사전과 사후에 흡연에 대한 지식과 태도, 문제해결능력, 자기주장행동, 자기조절효능감, 흡연빈도 및 흡연량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또한 집단과정분석과 사례분석을 통하여 흡연행동 변화를 위한 사회사업적 요소들을 살펴보았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기술훈련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 참여자들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며 흡연빈도 및 흡연량이 감소하였다. 둘째, 생활기술훈련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 참여자들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며 흡연에 대한 지식과 자기조절효능감이 향상되었다. 셋째, 생활기술훈련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 참여자들은 흡연태도와 자기주장행동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특히 문제해결능력은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에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는데, 이는 참여자들이 프로그램 진행과정에서 문제해결능력에 대한 통찰력이 생겼으나 프로그램 실시기간이 짧았기 때문에 이를 통계적으로 검증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던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한 사회복지 임상실천을 위한 발견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기술훈련 프로그램은 장기적인 흡연습관을 가지고 있는 고등학생 보다는 초기 흡연이 진행되는 초등학교나 중학교 저학년때 실시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더불어 흡연의 특성상 단기개입보다는 장기적이고, 반복적인 프로그램을 실시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흡연을 포함한 청소년 문제행동의 경우 사전예방의 중요성을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문제행동이 발생되기 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학교현장에서 생활기술훈련 프로그램을 적극 활용할 것이 요구되며, 이를 위해 학교현장의 교사나 학교사회사업가를 대상으로 한 지속적인 교육이 요구된다. 셋째, 교내에서 진행되는 생활기술훈련 프로그램의 경우, 짧은 기간동안에 단편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프로그램 후에도 그 효과를 지속시켜 학교나 가정생활로 자연스럽게 연결할 수 있도록 사후지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집단의 규모가 작아 일반화의 어려움이 있으며, 참여자 가정의 빈곤상태와 부모의 역할을 포함한 양육환경에 대한 접근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는 연구상의 한계점을 갖는다. ; Recently thanks to the enactment of national health promotion law and the widening of no smoking sections, and nation-wide(pan-national) prohibition of smoking movement the atmosphere of prohibition of smoking keeps spreading in every corner of our society and there is a tendency to increase in the number of none smoking population. However, in spite of such a social atmosphere the number of teenagers' and women's smokers continues to increase. Especially, the problem of juvenile female students' smokers' increase in numbers day by day is arising as a serious social issue. As teenagers' smoking is due to their personal physiological, temperamental, developmental factors, social life factor, of the age relationship factor, and community interaction relationship results, program performance to help them with their social human relationship and problem solving skill along with such programs to help teenagers' daily lives such as a skill to increase individual competence feeling and resist against their friends' oppression would rather be needed than the strategy to give them a mere information. The very with correspond to such requirements is Life Skills Training program developed by Botvin, which aims at giving teenagers not only correct knowledge of narcotic drugs , but also the way to resist against a social influence to approach such drugs and to prevent the abuse of such drugs developing the skill to deal with all the problems for them to be faced with in their social l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its effects, assess and analyze the results, and propose the way to improve it after the group Life Skills Training program performance on the smoking high school students. The program based on Botvin's Life Skills Training program was reformed by the researcher suitable to the high school students, which was performed on twelve smoking high school girls attending K Girls' High School located in Kwangmyung City, in Kyunggi Province twice a week, nine times in total. For the purpose of the assessment of the effect of the program SPSS/PC WIN 10.0 was used to inspect the knowledge and attitude, problem solving ability, self assertion behavior, self control efficacy feeling, smoking frequency, and change of smoking amount. Through the course of group analyses and case analyses social business factors were surveyed for the change of smoking behavior.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s in the group experiment program after Life Skills Training program performance showed a meaningful difference and decrease in smoking frequency and the amount of smoking. Second, the participants in group experiment program after Life Skills Training program performance showed a meaningful difference advancing in knowledge on smoking and in self control efficiency. Third, the participants in group experiment after Life Skills Training performance did not show a meaningful difference in smoking attitude and self assertion behavior. Especially the problem solving ability decreased meaningfully in the experiment group. This reason is that the participants came to get insight into the problem solving ability in the course of on going program but they had trouble in verifying it statistically. Also through this study the discovery for social welfare clinical practice is as follows; First, it is judged that Life Skills Training will be more effective for newly starting smoking agers, prim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than long habitual smoking agers, high school students. Moreover, in characteristic of smoking, continuing and repeating program performance is thought to be more effective than short time intervention. Second, in the case of problem behavior including smoking we cannot overemphasize the importance of the prevention. To prevent it before such a behavior of the matter has happened, active application of Life Skills Training program in schools is badly required. For the purpose of this, continual education for school teachers and school businessmen is also required. Third, in the case of Life Skills Training program being performed in schools because of it mostly performed in rather short period and fragmentarily. The effect should be continued after the program performance, and a guidance to be able to connect it to school and family lives smoothly should be continued. Finally this study has not only some trouble to generalize because the group was small but also a limit not to have approached the environments of having brought them up including the state of family poverty and their parents' rol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iv 제1장 서론 = 1 제1절 문제제기 = 1 제2절 연구의 목적 = 4 제2장 이론적 배경 = 5 제1절 청소년 흡연 = 5 1. 청소년 흡연의 특성 = 5 2.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흡연관련 프로그램 = 9 제2절 생활기술훈련 프로그램 = 12 1. 사회학습이론 = 12 2. Botvin의 생활기술훈련 프로그램의 내용 = 16 3. Botvin의 생활기술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선행연구 = 21 제3장 연구모형 및 연구방법 = 23 제1절 연구모형 = 23 제2절 연구가설 = 24 제3절 연구대상 = 24 제4절 측정도구 = 25 제5절 분석방법 = 27 제6절 연구의 제한점 = 27 제4장 프로그램 과정 = 28 제1절 프로그램의 구성 = 28 제2절 프로그램 내용 = 30 1. 대상자의 특성 = 30 2. 각 회기의 목표 및 내용 = 31 제3절 프로그램 진행 = 34 1. 프로그램 과정기록 = 34 제5장 연구결과 및 분석 = 43 제1절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 비교 = 43 1. 인구사회인구학적 특성 비교 = 43 2. 각 집단별 척도의 사전 비교 = 46 제2절 연구가설에 대한 분석결과 = 47 1. 각 척도별 사전-사후검사 비교 = 47 2. 척도별 변화량에 대한 집단간 비교 = 49 3. 실험집단의 흡연량 변화와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분석 = 51 제3절 실험집단 내 개인사례의 분석 = 55 제6장 결론 및 제언 = 59 제1절 결론 = 59 제2절 사회복지 임상실천을 위한 제언 = 61 참고문헌 = 63 부록 1. 사전 사후 설문지 = 69 ABSTRACT = 7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8496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흡연 여고생에 대한 생활기술훈련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생활기술 향상을 통한 흡연량 감소를 중심으로-
dc.format.pagevii, 8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0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