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8 Download: 0

전통문양을 응용한 패션 디자인 연구

Title
전통문양을 응용한 패션 디자인 연구
Authors
한정아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복식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배천범
Abstract
These days, Korean society desires to introduce and understand diverse culture in the world through continuous contact with many kinds of culture. At the same time, with globalization and internationalization, Korean society faces crisis of traditional culture, tending to lose her own genuine locality and nationality. However, having necessity of recovering the traditional value, it seems very important to accept and combine various cultural affects based on tradition, locality and nature. Accompanying with the international trends, Korean fashion designers have tried to deliver Korean traditional beauty based on traditional culture into the world stage. Fashion design should consider costume's own functional aspect and furthermore, it should express its own potential beauty. In costume, pursuit of beauty has been carried out continuously and one of result is decoration. Tradition includes diverse cultural aspects based on genuine national custom. Particularly, our life is closely related to pattern. It is not too much to say that our life is surrounded by diverse patterns. Since the old age, patterns are good decoration in architecture, craft, sculpture and painting. Patterns seem to be genuine expression of people's consciousness of beauty, implying people's emotion and reflecting change of times and life style. Patterns also show the motivation of sorcery and religion. The kinds of patterns are enormous, being proportioned to people's strong desire to express. Amongst Korean patterns, dangcho, one of the genuine decorative patterns in artistic decoration history, has been exchanged and developed through silk road. Though it started from nature, dangcho, as an artificial decorative pattern, has been used and developed diversely according to locality and nation. Dangcho is a commonly used pattern, being favoured by many people, tends to be developed uniquely in districts. It means that people have tried to develop patterns not just representing tradition. Dangcho that has been used since Three Countries Times (Sam Kook Times) represents Korean traditionality combined with people's consciousness of beauty. Therefore, this dissertation attempts to analyze dangcho pattern in Koryo porcelain, to restructure with modern sense, and finally to suggest the possibility of representation in a form of modern costume. This dissertation argues the characteristics of formative arts of dangcho in terms of times and nation, analyzing the existing remains in museum. In the theoretical backgrounds in Chapter 2, first, the meaning, kinds and symbols of traditional patterns are discussed. Second, Uses of traditional pattern in living goods and modern fashion are analyzed. Third, definition and birth of dangcho are examined. Especially, the characteristics of dangcho in Koryo porcelain are discussed. Accordingly, Chapter 3 explores cases of modern fashion that use dangcho pattern in Korea and in the world, focusing on expressive techniques and shape. Chapter 4 shows 8 real works made and completed introducing dangcho in costume. Real works are produced accepting dangcho in Koryo porcelain as a motive. Dangcho in porcelain is tried as a form of abstraction and simplification, with an attempt of re-distribution of both simple pattern and combined pattern. Dangcho is also repeated in aluminium plate, and copper plate, as well as on artificial leather with various techniques such as embroidery, quilt, applique, and beading. Conclusion from this research is first, dangcho in modern fashion design is both magnificent and simple. It can be used as very efficient decoration, regarding flexible rhythmical movement of wavy curve. Second, with the form of curve, dangcho has characteristic of easy use of entire design and repetitive adaption. Third, this dissertation shows the possibility of use and expression of dangcho in aluminium plate and copper plate with the technology of applique. Finally, this dissertation tries to suggest the expressive possibility of dangcho pattern in costume with modern sense, as form of simplification and stylization. This dissertation is believed to contribute to globalization of Korean traditional beauty towards the international stage, by adapting traditional pattern into modern clothes. In future, interests in and further research on tradition should be carried out with the development of various expressive techniques.;오늘날의 우리사회는 현대 문명이 지닌 다양성과 복합성으로 여러 문화와의 접촉을 통해 세계의 여러 문화를 이해하려는 욕구를 가지고 있으며 세계화와 국제화로 인해 주체 상실의 위기를 느끼고 지역성과 민족성이 상실되어 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실정에서 다시 고유문화의 가치를 느끼고 그 근원으로 돌아가고자 하는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그 가치를 전통, 지역, 자연에 근거하며 고유의 문화적 형태를 혼합하고 절충하여 새롭고 현대적인 형태로 개발하고 있다. 전통은 각각의 나라와 민족들의 풍습과 문화를 기반으로 한 고유의 특성으로 다양한 문화적 요소를 가지고 있다. 이 중에서 우리의 생활은 문양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생활속에 많은 문양들이 장식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문양은 고대부터 건축, 공예, 조각, 회화 등 조형분야에 있어서 장식적인 역할을 담당해 온 인간 미의식의 가장 순수한 표현으로 시대와 생활양식의 변화에 따른 인간의 감정이 풍부하게 담겨있다. 문양의 다양한 종류 중에 당초문은 예술적 장식사에 나타난 대표적 장식 문양의 하나로 동·서양을 통해 서로 교류되면서 변화, 발전의 길을 걸어 왔다. 당초문양은 보편적인 문양인 동시에 그 시대와 지역에 따라 독특한 특징을 가지는 특수성을 발견 할 수 있다. 이는 장식문양의 사용에 있어서 전통의 재현만이 아닌 그 시대의 끊임없는 조형의지를 보여주었기 때문이다. 당초문양은 우리나라에서도 삼국시대 이래로 계속 사용되어 왔으며 오랜 세월을 통해 우리나라의 미의식과 부합되는 전통성을 가지게 되었다. 또한 유연한 곡선의 반복적 형태로 장식에 효과적이며 다른 문양과의 결합을 통해 새로운 형태로 끊임 없이 전개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의 전통문양 중 고려도자기에 나타난 당초문에 대해 연구하고 연구의 결과로써 당초무늬를 현대적 감각으로 재구성하여, 현대 복식으로서의 표현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제 2장의 이론적 배경으로는 첫째, 전통문양에 관해 고찰함으로써 의의, 종류, 활용되는 예를 생활용품과 현대 패션의 영역으로 나누어보았다. 둘째, 전통문양 중 당초문의 정의와 발생 경로에 따른 형태를 구분하고 고려도자기에 나타난 당초문양을 조사 연구하여 고려도자기에 시문된 당초문양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셋째, 당초문양을 응용한 현대 패션디자인의 사례를 국내와 국외로 나누어 표현기법의 특징과 형태를 알아보았다.분석하였다. 제 3장은 이론적 고찰을 통해 분석한 당초문양의 특징을 복식에 도입하여 총 8벌의 실물작품을 제작하였으며 작품제작에 사용된 당초문은 고려도자기에 나타난 형태를 모티프로 단순화, 추상화하여 단독문양과 결합문양의 재배치와, 반복을 통하여 알루미늄 판, 동판, 인조가죽으로 자수, 누빔, 아플리케, 비딩 등 의 기법으로 의상에 장식하고 완성하였다. 당초문양을 응용한 패션디자인을 연구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복식에 현대적으로 재해석된 당초문양을 활용함으로써 화려하고 자유로운 곡선으로 다양한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당초문양을 복식에 활용함에 있어 곡선적 단위형태로 인해 문양의 반복적 적용과 복식의 전면구성이 용이한 특징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패치워크, 아플리케, 자수을 현대 의상디자인에 접목시켜 다양한 표현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넷째, 우리 당초문을 현대적 감각에 맞도록 형을 단순화, 양식화 하여 복식에 응용하므로서 실용성을 갖춘 현대복식으로서의 표현 가능성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결론을 통하여 전통문양의 도입을 통해 현대복식에 있어서 전통적인 미를 현대적으로 살리어 한국 패션을 세계화시키는데 기여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전통에 대한 관심과 심도 있는 연구를 통해 현대 패션 디자인에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표현 기법들의 개발과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