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혜순-
dc.contributor.author박은실-
dc.creator박은실-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25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25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3425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905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4250-
dc.description.abstractThe upbringing of creative human being is emphasized in school education, to a great extent.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in a subject of Korean sets 'the development of ability to use creative Korean' as an ultimate educational goal in a subject of Korean.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the research of teaching-learning method for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through Chinese poems. I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rning of Chinese poems and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and designed teaching-learning model for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through Chinese poems. Also, I applied it to Chinese poems in practice. In the first chapter, I discussed what was the purpose of studying edu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through Chinese poetry and why it was needed, and presented how to study it. In the second chapter, I found out what was the creativity to be absorbed in the process of learning Chinese poetry, by examining the concept and element of creativity first and then, the technique to develop it. This study showed that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e education of Chinese poetry with an aim to reflect the features of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in a subject of Korean which set a high value on creativity was to look for elements to promote learner's creativity within the boundary of text dealing with Chinese poems and then, to teach and learn them, concerning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in a subject of Korean and the acceptance aspect of creativity in the education of Chinese poetry. In the third chapter, the significance of the edu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through Chinese poetry was made clear centering around the influence which had an effect on creativity by learning Chinese poetry and its features. The features of Chinese poetry were explained at the viewpoint of contents and forms, respectively. With regard to the edu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through Chinese poetry, I studi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ducation of Chinese poetry and creativity and what features of Chinese poetry can influence on creative thought, centering around composing elements of creativity. In the fourth chapter, I examined the existing models for literary subject and models related to creativity, and developed a new teaching-learning model for the improvement of creativity. Then, I applied it to works written down in a literary text, which is a deepening selective lesson of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in a subject of Korean. It can be said that the chosen works showed the features of Chinese poetry discussed in the third chapter. Through this process, this study provided a clue thereby it was expected to develop creativity after passing through the understanding and acquirement of aesthetic features of Chinese poetry and it was possible for new teaching-learning model to be created and to be applied to on-the-spot class. Creativity can be regarded as a thinking process to create new things which didn't exist in the world and to recreate existing things. This creativity can be developed through planned, systematic and continual efforts. In other words, creativity can't be accomplished in a day and can't be improved in only a narrow genre of literature among various subjects. Therefore this study doesn't assert that only the education of Chinese poetry can completely promote a learner's creativity. However, I hope that it can be a help to education of which the aim is bringing up creative human being needed in the future society, if the lesson for Chinese poetry is advanced toward the direction of developing creativity besides getting out of the framework of a fixed lesson and this method is applied to on-spot class. ;학교 교육에서 창의적인 인간 육성은 그 중요성이 매우 강조되고 있다.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에서도 '창의적인 국어 사용 능력의 향상'을 국어과 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로 설정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한시를 통한 창의성 신장 교수-학습 방법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시 교육과 창의성 신장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한시를 통한 창의성 신장 교수-학습 모형을 설계하였다. 그리고 실제 한시 작품을 대상으로 이를 적용해 보았다. Ⅰ장에서는 한시를 통한 창의성 신장 교육의 연구 목적과 필요성에 대하여 논의하고, 연구 방법을 제시하였다. Ⅱ장에서는 먼저 창의성의 개념과 구성 요인, 창의성을 계발하고 신장하는 기법들이 무엇인지 살펴봄으로써 한시 교육을 통하여 습득해야 될 창의성이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그리고 제7차 국어과 교육 과정과 한시 교육의 창의성 수용 양상에서는 한시 교육이 창의성을 중시하는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의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한시 작품을 다룬 교과서 안에서 학습자의 창의성을 신장시킬 수 있는 요소를 찾고 이를 교수-학습하는 것임을 밝혔다. Ⅲ장에서는 한시의 특성과 한시 교육이 창의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한시를 통한 창의성 신장 교육의 의의를 밝혔다. 한시의 특성은 내용적인 측면과 형식적인 측면으로 나누어 고찰하였고, 한시 교육과 창의성 신장에서는 먼저 한시 교육과 창의성의 관계를 고찰하고 한시의 특성이 창의적 사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창의성의 구성 요인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Ⅳ장에서는 기존의 문학 제재 모형과 창의성 관련 모형들을 검토하여 창의성 신장을 위한 한시 교수-학습 모형을 새롭게 개발하였다. 그리고 7차 국어과 교육과정 중 심화 선택 과목인 문학 교과에 수록된 작품을 대상으로 이를 적용해 보았다. 작품은 Ⅲ장에서 논의된 한시의 특성을 잘 보여 주는 제재로 선정하였다. 이러한 연구 과정을 통하여 본고에서는 한시의 미학적 특성을 알고 그것을 습득하는 과정을 통해 창의성 신장을 기대해 볼 수 있고, 새로운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해 이것이 수업 현장에서 적용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창의성은 이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 것을 새롭게 만들어 내거나 이미 존재하는 것이라 할지라도 재창조하는 사고 작용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창의성은 계획적이며 체계적이고 또 지속적인 노력을 통하여 신장될 수 있다. 즉, 창의성은 하루아침에 길러지는 것도 아니며 한 교과, 더 좁게는 문학의 한 장르를 통해서만 길러지는 것도 아니다. 이에 본 연구는 한시 교육만을 통해 학습자의 창의성이 완벽하게 신장될 거라고는 생각지 않는다. 다만, 이제는 틀에 박힌 한시 수업에서 벗어나 이처럼 창의성을 신장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한시 수업이 나아가고, 이것이 수업 현장에 적용될 수 있다면 앞으로 미래 사회에서 요구되는 창의적인 인간 육성을 위한 우리 교육에 보탬이 될 수 있을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ⅳ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1 B. 연구 방법 = 4 Ⅱ. 창의성의 본질과 한시 교육 = 6 A. 창의성의 개념 및 신장 방법 = 6 1. 창의성의 개념 및 구성 요인 = 6 2. 창의성을 계발하고 신장하는 기법 = 12 B. 국어과 교육과정 및 한시 교육의 창의성 수용 양상 = 17 1.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의 창의성 수용 양상 = 17 2. 한시 교육의 창의성 수용 양상 = 21 Ⅲ. 한시를 통한 창의성 신장 교육의 의의 = 28 A. 교과서 수록 한시의 특성 = 28 1. 내용적인 측면 = 28 2. 형식적인 측면 = 34 B. 한시 교육과 창의성 신장 = 39 1. 한시 교육과 창의성의 관계 = 40 2. 한시 교육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42 Ⅳ. 한시를 통한 창의성 신장 교수-학습 모형의 탐색 = 45 A. 문학 및 창의성 교수-학습 모형 검토 = 45 1. 문학 교수-학습 모형 고찰 = 45 2. 창의성 신장 관련 교수-학습 모형 고찰 = 48 B. 한시를 통한 창의성 신장 교수-학습 모형의 설계 = 53 1. 한시를 통한 창의성 신장 교수-학습 모형 = 53 2. 한시를 통한 창의성 신장 교육의 실제 = 59 가. 황현, <절명시(絶命詩)> = 60 나. 정약용, <탐진촌요(耽津村謠)> = 64 다. 신사임당, <대관령을 넘으면서> = 68 라. 정지상, <송인(送人)> = 72 마. 김병연, <원생원(元生員)> = 76 Ⅴ. 결론 = 81 참고문헌 = 84 ABSTRACT = 8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9969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한시를 통한 창의성 신장 교수-학습 방법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제8차 문학 교과서 수록 한시를 중심으로-
dc.format.pagev, 9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04.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