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4 Download: 0

규방가사의 표현특성과 여성의식 연구

Title
규방가사의 표현특성과 여성의식 연구
Authors
이은미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성기옥
Abstract
본고는 탄식가류 규방가사 중에서도 특히 부부이별 모티프 가사를 대상으로 하여 그 표현의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드러나는 여성작자들의 의식세계를 고찰하였다. 이러한 검토는 규방가사의 작품 문면의 내용을 분석하는 데에 집중되어 있던 그간의 연구를 보완하여, 표현특성을 분석하는 데에 관심을 갖고 작품의 이면에 드러나는 작자의 내면의식까지를 더욱 세밀하게 살펴보고자 한 시도라고 할 수 있다. 연구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되었다. 우선 II장과 III장은 본격적인 분석에 들어가기에 앞서 규방가사의 작품 창작의 배경과 부부이별 모티프 규방가사의 전체구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IV장에서는 부부이별 모티프 규방가사의 표현 특성을 표현의 이중성에 주목하여 구체적인 양상을 살펴보았다. V장에서는 표현특성을 통해 알 수 있는 여성의식의 특성을 밝히고 그것이 지니는 의미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논의된 바를 각 장별로 정리하면, II장에서는 규방가사의 성행배경과 작자의 신분적 특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규방가사는 18ㆍ19세기에 조선후기 가문주의 사회를 배경으로 하여 가문 내의 여성들 사이에서 확산되었으며, 향유의 한 방법으로서 필사의 과정을 거치는 중에 누구나 자연스럽게 창작의 동기를 부여받을 수 있을 만큼 창작자와 향유자 사이의 경계가 모호하였기 때문에 더욱 성행하게 되었다. 규방가사의 작자들은 조선 후기의 양반여성들이었는데, 그들은 신분제에 따라서는 상층의 특권계급이었지만, 성별에 있어서는 남성에게 종속되는 하층으로 모순된 신분적 특징을 지니고 있었다. 특히 부부이별 모티프 규방가사의 작자들은 과부들이 많았는데, 양반 과부들로서 시가에 머물러 수절하면서 지켜야할 도리와 의무가 과중하였으므로 이러한 신분적 모순을 더욱 심하게 겪었다. III장에서는 부부이별 모티프 규방가사의 전체적인 구성양상을 논의하였다. 부부이별 모티프 규방가사는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는데, 전체적으로 탄식으로 점철되어 있는 경우와 탄식과 함께 성장, 혼인, 신행, 남편과의 이별과 같은 사건을 서술하고 있는 경우이다. 그리고 작품의 서술은 작자의 주관적인 정서에 의해 좌우되어 부분적으로 확장되거나 또는 축소되어 있었다. 이러한 서술기법으로 인하여 작품에는 시간의 교착현상과 장면 중심적이고 시각적인 묘사 등이 부수적으로 나타났다. IV장에서는 본격적으로 부부이별 모티프 규방가사의 표현특성을 분석하였는데, 시ㆍ공간상의 표현, 발화양식, 사회의식에 대한 표현으로 나누어서 분석하였다. 첫째, 시ㆍ공간상의 표현에 있어서 시간은 이별 전의 시간과 이별 후의 시간이 있는데, 이별 전의 시간은 행복했지만 이미 과거가 되어버린 시간이고 이별 후의 시간은 불행하지만 화자가 지금 현존하고 있는 시간이었다. 공간은 친정 공간과 시가 공간이 있는데 친정은 사랑받던 공간이지만 돌아갈 수 없는 곳이고, 시가공간은 탄식의 공간이기는 하지만 화자가 다시 삶의 회복을 꿈꾸고 있는 곳이기도 하였다. 이와 같이 시간과 공간은 모두 이중적으로 표현되어 있었다. 둘째, 발화양식에 있어서는 기본적으로 독백체로 되어 있으면서 '세상 사람들' 이라는 현상적 청자와 남편이라는 숨어 있는 청자를 설정하여 독백체와 청자설정이 혼합되어 있었다. 또한 개인의 경험 술회를 기본 바탕으로 하고 있으면서, 경험을 보편화시키고 있고 상투어구 같은 집단의 언어를 차용하여 표현함으로서 집단적 체험들이 작품 안에 혼재하고 있었다. 이같이 발화양식에서도 이중적 표현을 볼 수 있었다. 셋째, 사회의식의 표현에 있어서는 애정 갈등과 사회적 갈등이 동시에 나타나고 있었다. 남편과의 이별로 인하여 탄식하고 있다는 점에서는 애정갈등이 표현되고 있지만, 한 집안의 가장의 부재를 걱정하고 자신이 남자로 태어나지 못하고 여자로 태어났기 때문에 이와 같은 슬픈 처지에 놓였다고 하는 표현을 통해서는 사회적 갈등을 볼 수 있었다. 또한 윤리 지향과 감정 지향의 표현도 동시에 나타나고 있었다. 윤리지향은 수절을 하면서 집안에서의 여자의 소임을 다하려는 태도에서, 감정지향은 개가에의 유혹에 솔깃하거나 유흥을 즐기면서 지내고자 하는 태도에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사회의식 표현도 이중적 특성을 보이고 있었다. V장에서는 이상과 같은 표현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부부이별 모티프 규방가사의 여성의식의 특성과 의미를 살펴보았다. 작품에 표현이 이중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서 여성의식은 이중적으로 분열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중의식에 대한 결과로서 소외의식까지도 파생되어 있었는데, 즉 여성들은 이중으로 분열된 상황 안에서 어느 것에도 속하지 못한 채 소외되어 타자화되고 있었다. 이러한 여성의식은 같은 처지의 여성들에 대한 남성의 기록인 열녀전에 드러나는 남성의식이 열에 대한 당위로 가득 차 있는 단일성과 상반되었다. 부부이별 모티프 규방가사의 여성의식이 지니는 의미는 두 가지로 볼 수 있었는데, 먼저 여성의식은 절박한 처지에 있던 여성들이 아무 것도 선택할 여지가 없는 외부세계로부터 눈을 돌려 자신의 내면에 관심을 기울이고 자신들의 존재에 대하여 고민함으로서 발현되었다. 다음으로 그간 남성에 의하여 글쓰기가 금기시되었던 여성들이 스스로 자신들에 대하여 말하기 시작함으로서 사실성과 진실성을 띤 여성의식이 작품에 은연중에 노출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논의를 통하여 본 논문은 부부이별 모티프 규방가사의 표현특성과 그에 드러난 여성의식의 의미를 다루었다. 부부이별 모티프 규방가사의 여성작자들은 보수적인 양반 여성으로서 자신의 생각을 작품을 통하여 모두 말하고 있지는 않다. 오히려 여성들은 규방가사가 가문 내에서 유통되기 때문에 가문 내의 다른 사람들의 검열을 의식하여 그에 부합하는 발언들만을 의도하려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겉으로 단일하게 드러나는 표면의식의 이면에는 내재된 여성의식이 분명히 존재하였다. 그리고 이 두 가지가 이중으로 분출되는 이중의식이 규방가사 여성작자의식의 실제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작품과 작자의 보수성 속에 감추어진 이면의 의식을 포함한 여성들의 진정한 의식세계를 작품의 표현방식을 통해서 포착하여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본고의 의미를 둘 수 있겠다. ;This thesis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lamenting Boudoir-Gasas (an old form of Korean verse), among others, those with the subject matter of separating couples. Through this analysis, it also looks into the woman writers' consciousness betrayed in the writings. This is an attempt to take an in-depth look at the writers' inward mind-set while uncovering the properties of the expressions of works, which is a complement to the studies up to date which has concentrated on the contents of the works of Gasa. The study is organized as follows. Chapters II and III review the background of the Boudoir Gasa works and the overall construction of Boudoir Gasas with a motif of couples' farewell (henceforth, farewell BG). In chapter IV, the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of farewell BG's are investigated by aspects, with an attention to duality. Chapter V discusses the women's sentiments, manifested through the expressions, and their implications. To look at each chapter, chapter II argues about the background for the popularity of Boudoir Gasas and the writers' social statuses. With a backdrop of the familism in the late Chosun during the 18th and 19th centuries, the Boudoir Gasa was spread among women. This became more phenomenal when the border between the writers and readers came to be fuzzy to the extent that anyone could be motivated to create a work in the process of transcribing, which was a way of enjoyment. The composers of Boudoir Gasas are upper-class women in which sense they belong to the privileged class. In terms of gender, however, they are subordinate to men, under which situation their standing turns out to be contradictory in itself. In particular, the writers of farewell BG's are mostly widows who should be overburdened with principles and duties of chastity, staying with the in-laws. In this regard, the contradiction of their standings is conspicuous. In chapter III the general organizational respects of farewell BG's are presented. Farewell BGs are of two types, i.e., those ridden with deploring and those depicting the events of growth, marriage, honeymoon and parting with the husband as well as deploring. The description of a work is partially extended or reduced at the mercy of writer's subjective emotion. Due to this kind of writing style, there appear some incidental accounts like a mixture of times or scene-oriented and visual delineations. A full-scale analysis of the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in farewell BG's is provided in chapter IV. It is classified into three phases, i.e., the expressions concerning time and space, the mode of utterance and the expressions relating to the social consciousness. First of all, with regard to time and space, time is divided into two kinds: one is pre-farewell time and the other post-farewell one. The speaker was happy within the former, which is gone and over, and she is unhappy within the latter, where she is present. The space is also two-fold: one is the speaker's maiden home and the other her husband's home. Her maiden home is the place where she was cherished but cannot return, and her husband's home is the space of grief where the speaker dreams of a revived life. In this sense, both time and space are represented in dualism. In the second place, the mode of utterance is basically monologic. In the meantime, it is a blending of monologue and attendance-setting, by furnishing two kinds of audience, viz., 'the public,' who is present, and the husband, who is lurking. In terms of describing experience, it is private for the most part while it is generalized by means of borrowing a group language like cliches. In this vein, the mode of utterance can be defined as dual. Thirdly, in the representation of social consciousness the conflict of love and that of society appear at the same time. It is love conflict that is manifest in deploring the husband's death on the one hand. On the other, it is social conflict in that the speaker is worried about the absence of a patriarch and attributes the dire situation to the fact that she was born a woman, not a man. Besides, the penchants for ethics and for emotion are expressed at once. The former is shown in the speaker's determination that she will remain virtuous as a woman doing her own duties in family. The latter is unveiled in that the speaker is vulnerable to the temptation of digamy and some entertainment. Again here, the dualism of expressions is apparently displayed. In chapter V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farewell BG's are presented, which can be inferred from the previous chapters. The expressions of the works show duality by which we can conjecture that women's sentiments are also divided into two. As a result of this double consciousness, some estrangement should emerge. That is, women, under the clefted situations, cannot belong to any and cannot help being an isolated stranger. This kind of women's sentiments is in contradistinction to that shown in the so-called lives of virtuous women recorded by men since the latter is characterized by the unanimous argument for the proper virtue of the very, same group of women. The implications that farewell BG's give rise to can be seen from two different angles. On the one hand, women's consciousness is revealed when the women in desperate situations turn their eyes from the external world that admits of no choices toward their internal worlds and consider what they are. On the other hand, the actual and true women's consciousness could be uncovered tacitly in the works when women started speaking out about themselves, which had been tabooed by men. Through the discussion above, this thesis deals with the expressional traits along with the implications that the revealing sentiments of women have. The authoresses of farewell BG's are from the conservative aristocracy and do not talk about every thought of theirs through the works. Rather, they tend to try to meet the demands of the other family members who are supposed to be the censors as well as readers when the works are circulated within the family. In this context, the significance of this thesis can be discovered in that it attempts to capture the sincere world of women's consciousness hidden behind the conservativeness via the forms of expression shown in the writing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