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0 Download: 0

원가족 접촉에 따른 시설보호 아동의 행동문제 비교연구

Title
원가족 접촉에 따른 시설보호 아동의 행동문제 비교연구
Authors
김진희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인영
Abstract
시설보호사업은 아동복지가 태동된 초기부터 활용되었던 주요 사회복지 서비스로 요보호 아동을 위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해왔다. 한때 시설보호가 아동에게 미치는 부정적 영향에 대한 연구결과들로 인해 그 비중이 감소하기도 하였지만, 경제적 위기로 인해 가정해체가 심화되면서 수가 다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예전에는 시설보호 아동의 대부분이 고아 또는 기아였지만 최근에는 원가족이 있는 아동의 비중이 높아지는 등 특성이 변화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시설보호 아동에 대한 서비스에 있어 아동의 원가족을 포함한 확장된 개념의 접근을 요구하게 되었으며, 이의 밑바탕으로써 원가족이 시설보호 아동의 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볼 필요성을 대두시켰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연구는 시설보호아동의 행동문제에 있어 주요 미시체계와의 사회적 관계망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며, 사회적 관계망 중에서도 특히 원가족에 초점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원가족 유무 및 원가족과의 접촉에 따라 시설보호 아동의 행동문제가 달라지는지 알아보고, 교사지지, 보육사지지, 친구지지와 행동문제 간의 관계를 고려한 상태에서 원가족과의 접촉에 따른 행동문제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시설보호 아동에게 있어 원가족이 갖는 의미를 발견하고 사회복지실천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서울시 소재 12개 아동양육시설에서 생활하고 있는 11세 이상 19세 이하의 아동을 대상으로, 2003년 11월 10일부터 12월 1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회수된 설문지는 140부였으며, 이 중 분석에 적절하지 않은 17부를 제외한 총 123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원가족 유무에 따른 행동문제를 비교한 결과, 부모유무와 친척유무는 영향을 미치지만, 형제유무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원가족 접촉에 따른 행동문제를 살펴보면, 부모접촉에 있어서는 집단 간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친척접촉과 형제접촉은 접촉에 따른 집단 간 행동문제의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시설보호 아동이 지각한 교사, 보육사, 친구지지와 아동의 행동문제 간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이 중 보육사지지만이 행동문제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적지지를 고려한 상태에서 원가족 접촉여부에 따른 행동문제를 살펴보면, 친척접촉에 따른 위축행동에 있어 아동이 지각한 보육사지지와 친구지지의 공변인 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보육사지지와 친구지지가 각각 동일할 경우 친척접촉에 따른 위축행동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음을 의미한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실천을 위한 제언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시설보호 아동을 바라보는 시각이 아동을 개별적으로 다루던 기존의 관점에서 원가족을 포함하는 생태체계적 관점으로 변화되어야 한다. 둘째, 시설보호 아동의 원가족 접촉을 돕기 위해 각 아동에 대한 사례관리가 이루어져야 하고 셋째, 원가족 접촉의 규칙성을 포함한 접촉의 질을 높이기 위해 시설 차원에서 가족모임이나 귀가프로그램이 마련외어야 한다. 넷째, 시설보호 아동의 또 다른 주요 사회적 관계망인 보육사와 친구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개입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Institutional care taking a core role for the children who is in need, has been a main social welfare service since the beginning of the child welfare. For a while it had been declined because of the published negative results about institutionalized children. But economic crisis made an increase again in the number of institutional care. And the character of institutionalized children has been also changed from orphans or abandoned to children who have their original family. This requires a expansion of seeing an institutional care which includes an original family of institutionalized children, and also a need of explaining the behavior problems depending on their original family. Thus this point of view, the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social networks which are within microsystem on the institutionalized children's behavior problems and high lights the original family network.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if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institutionalized children's behavior problems depending on their original family existences and contacts, to examine if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institutionalized children's behavior problems depending on their original family contacts, controlling the effects of school teachers·institutional care teachers·friends' social support on behavior problems. In the study, the study pollee are institutionalized children in Seoul age 11 to 19. The research was held from Nov. 10th 2003 to Dec. 1st 2003. It excluded 17 invalid questionnaires and 123 paper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The major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behavior problems depending the existences of parents and relatives and there is not depending the existence of siblings. Second,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behavior problems depending the contacts of relatives and siblings and there is not depending the contacts of parents. Third, the correlation between behavior problems and school teachers·care teachers·friends' social supports is significant only for care teachers'. Fourth, after controlling care teachers' and friends' social supports, there is covariance effect on behavior problems depending the contacts of relativ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practice and policy were discussed,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also present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