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28 Download: 0

랭부르 형제의 『베리 공의 매우 호화로운 기도서』에 나타난 중세말기의 모더니티 연구

Title
랭부르 형제의 『베리 공의 매우 호화로운 기도서』에 나타난 중세말기의 모더니티 연구
Authors
엄은영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성은
Abstract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closely the modernity in late Middle Ages that was shown in the illustrations and from Tre`s riches heures made by Limbourg brothers (c.1390-1416), who were active as French court painters in the early 15th century for their sponsor Duc de Berry. As is generally known, existing studies excessively concentrated upon those of formative art in terms of history of style according to 12-month labors and annual events at the bottom of . This study expanded the range of interest into at the top of and linked with it. It is made clear that the concept 'modernity', the analysis frame of this study, which is totally different from 'modernism'that appeared in the early 20th century, may be translated into Korean words 'Geundaeseong'or 'Hyundaiseong'. The word 'modernity'derived from 'newness'has been recognized as a phenomenon that appeared based on logic, reason and, science, and, in general, it has also been recognized that 'modernity'started from the Renaissance in European history. However, regarding that the searching and recognition of modern science covering astronomy and anatomy which began to be prevalent with the appearance of Aristotele's natural science in the 12th century, they were clearly reflected upon by the Limbourg brothers'works in the late Middle Ages. This study is to clarify how the pursuit of modernity in the aspect of modern science was reflected upon their works by analyzing the illustrations and . The Limbourg brothers created carrying , which was not exemplified on the Officium Divinum(Book of Hours) in the Middle Ages or after the Renaissance. It deems that play a role of medium to be very punctual to the officium divinum in the medieval Christian society as well as reflects the people's modern recognition of time in those days and the inquiring spirit of astronomy. On the other hand, the illustration has significance in terms of social history in that it suggests that the zodiac used in the medieval astrology opened the way of modern scientific revolution based on scientific human anatomy in direct connection with medicine actively studied in France in those day. At the same time that it controlled birth, aging, illness and death of people in the late Middle Ages as well as being used as political propaganda of a man of power. Showing how the medieval people recognized and depicted in a modern manner the relation between human being corresponding to the small universe as the 'epitome of universe'that had been thought by the ancients and the great universe, was interpreted by the kings of those days as a medium to foresee a natural disaster and a political destiny of the royal family. It was also used by the doctors of those days in the decision of time of operation and bloodletting as a 'doctrine of the medieval medicine', and the historical research that they referred to in the memoranda containing it gave a significant clue for this study. Thus, this study tries to define the Limbourg brothers'illustrations and in the pictorial evidence of scientific 'modernity'in the late Middle Ages, and examine the fact that such illustrations were influenced and supported by Charles V and Duc de Berry, who strived for the investigation of modern science through the free use of astronomical devices by establishing the college of astrology in Universite´ de Paris to encourage astronomy under the context of social history. Based on such fact, it might be clarified that the spirit of science in the Renaissance, in actual fact, had already appeared in the late Middle Age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how the Limbourg brothers visualized the abstractive theme, 'time'- a key motif of the prayer Book in the late Middle Ages - through the genre 'calender'and, connectively, how the changes in modern recognition of time influence the history of science and art in the late Middle Ages with their interaction. And consequently, it also investigates, how it influenced the Limbourg brothers'aesthetic senses, and also how was it reproduced in their works, in the concept of newness of a certain type in view of 'modernity'. ;본 논문은 15세기 초 프랑스 궁정 화가로 활동했던 랭부르 형제 (c.1390-1416)가 후원자 베리 공작을 위해 제작한『매우 호화로운 기도서』중 <달력화>와 <황도십이궁인간>삽화 속에 나타난 중세 말기의 모더니티(Modernity : 근대성)를 규명하려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주지하다시피 기존의 연구가 <달력화>하단의 열두 달의 노동과 연례행사에 따른 양식사적 조형연구에만 지나치게 편중되어 온 것에 반해, 본 고는 그 관심의 영역을 <달력화>상단의 <천체반구도>와 달력화와 연계된 작품인 <황도십이궁인간>삽화에까지 확장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분석의 틀이 되는 '모더니티'개념은 20세기 초에 등장하는 '모더니즘'과는 전혀 다른 별개의 용어로서, '근대성'이나 '현대성'이라는 말로 번역될 수 있는 개념용어를 의미함을 밝혀둔다. '모더니티'의 어원적 의미는 '새로움'으로 논리와 이성과 과학에 기초하여 발생되는 현상으로 파악되어 일반적으로 서양사학에서는 르네상스시대부터 시작되었다고 인식되어져 왔다. 그러나, 본 고는 중세 말기 랭부르 형제의 작품들 속에 이미 12세기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과학주의가 등장하면서 만개하기 시작한 천문학과 해부의학에 이르는 근대적 과학에 관한 모색과 인지도가 극명히 반영되어 있다고 보며, 이러한 근대과학양상의 모더니티 추구가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달력화>와 <황도십이궁인간>삽화의 분석을 통해 밝혀보고자 한다. 랭부르 형제는 중세 성무일도서 뿐만 아니라 르네상스이후에도 그 예를 볼 수 없는 <천체반구도>를 실은 <달력화>를 창조해내었는데, 이는 중세기독교사회에서 성무일도의 시간엄수를 철저히 준수하는 매체로서의 역할수행은 물론, 당대인들의 시간에 관한 근대적 인식과 천문학에의 탐구정신을 반영하고 있다고 해석될 수 있다. 또한 <황도십이궁인간>삽화는 중세점성술에 사용되던 황도십이궁이 당시 프랑스에서 왕성한 연구가 펼쳐진 의학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과학적인 인체해부를 기초로 하는 근대적인 과학혁명의 길을 열었음을 시사함과 동시에, 중세 말기인들의 생로병사의 관장은 물론 권력지배자의 정치적인 선전도구(propaganda)로까지 사용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사회사적 관점에서 중요성을 지니고 있는 작품이다. 이는 고대인들이 생각한 '우주의 축도'로서의 소우주에 해당하는 인간과 대우주의 관계를 당시의 중세 인들이 어떻게 근대적으로 인식하고 묘사했는지를 보여주는 것으로, 당대의 국왕은 천재지변과 왕실의 정치적인 운명을 예견하는 매체로서, 당대의 의사는 수술과 사혈의 시기를 정하는데 있어 <황도십이궁인간>삽화를 '중세 의학의 교의'로서 해석하여 이것이 그려진 비망록을 반드시 참조하였다는 고증은 본 연구의 중요한 단서가 되었다. 따라서 본 고는 랭부르 형제의 <천체반구도>와 <황도십이궁인간>삽화를 중세말기의 과학적인 '모더니티'의 회화적 증거로 정의하고, 이러한 랭부르 형제의 작업 뒤에는 파리대학에 점성학과 단과대를 설립하여 천문학을 장려하고 천문기구의 원활한 사용을 통해 근대 과학의 탐구를 도모한 샤를 5세와 베리 공(公)의 영향력과 후원이 뒷받침되었다는 사실을 사회사적 문맥 속에서 짚어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일반적으로 공인되어있는 르네상스기의 과학정신이 사실은 이미 중세 말기에 등장하였음을 밝혀낼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고에서는 랭부르 형제가 중세 말기 기도서의 주요 모티브인 '시간'이라는 추상적인 주제를 '달력'이라는 장르를 통해 어떻게 시각화하였는지, 그와 맞물려 시간에 대한 근대적 인식의 변화가 상호작용을 하며 중세 말기의 과학과 예술의 역사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보고, 그로 인해 랭부르 형제의 미의식에 미친 영향과 그것이 어떠한 형태의 새로움의 개념으로 그들의 작품에 재현되었는지 그 경위를 '모더니티'의 관점에서 조명해 보고자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