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홍남-
dc.contributor.author김남윤-
dc.creator김남윤-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22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22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3357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901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3570-
dc.description.abstractBezeklik caves located in Trufan of Xinjiang Uyghur autonomous region are known to be magnificently decorated Buddhist temples, which deserve the name of the area, 'splendid ornamented region'. Since Moriyasu Takao(森安孝夫) recognized those as Manichaean caves in the early nineties by deciphering Uyghur inscription and Chao huashan(晁華山) released new studies on Manichaean caves in Trufan, however, Bezeklik cave 38 has been considered to be a norm showing a pattern for Manichaean paintings and architecture. Trufan where Bezeklik located had had a series of conflicts between nomadic tribes and Chinese for ages, nurturing diverse and complicated cultures. Therefore, it is no wonder Manichaeism and Nestorianism to have been introduced and espoused in the region, though Buddhism had been firmly rooted. Since Manichaeism was originated in the third century in Iran, it had quickly spread to the world by using a variety of paintings and translated materials. Under Zoroastrians' persecution, however, it stopped making overseas expansions and settled down in Samarkant. Most of the followers were Sogdian merchants, enabling Manichaeism to be introduced to China at early age. Manichaeism was also introduced to Uyghur when the third Khan Bogo in eastern Uyghur visited the Loyang to put down a revolt of Sajoyi(史朝義) in 762 and took Manichaean monks with him. Since then, Manichaeism had been strongly patronized by the Khan because its believers' activities had played significant roles in running the nation and strengthening the Khan's power. However, Manichaeism was strongly influenced by Buddhism when Uyghur pursued by Qirghiz moved its capital to Trufan where Buddhism had flourished at the time. Manichaeism had been on the decline since then, and Manichaean temples were replaced with Buddhist ones in early 11th century. Bezeklik also have Buddhist wall paintings made in Uyghur period, but Moriyasu discovered Manichaean caves by deciphering Uyghur inscription at Bezeklik caves 27, 35 and 38. Chao huashan also identified one fourth of the Bezeklik as Manichaean caves later. None of those, however, has unimpaired Manichaean wall painting except for Bezeklik cave 38. The cave 38, a typical example of Manichaean temple, is a norm for Manichaean caves with its unique characteristics of double-walled cave structure. Its wall is decorated with three trees of life from which a bunch of grapes are suspended, donors, peacocks, and ten guardian spirits which can be classified as warrior type, those with two wings type, Hindu God type, aristocracy type, and complicate type compare with manuscript paintings. Two musicians surrounding cinta-mani(摩尼寶珠) are repeatedly seen in the upper part of western wall, and sting of pearls and vine patterns are repeated in the lower part of the wall. Such composition was originated in Sogdian area, but cinta-mani, the shape of the tree of life, and some dresses of guardian spirits were taken from Dunhuang Buddhist paintings, showing it loads both old and new ideas together. The cave 38's white wall is a unique trait of Bezeklik Manichaean temple, different from those of a number of manuscript paintings and deep blue backdrop of wall paintings from Gaochang. It can be seen to reflect their own ideas that express light with white color, but it can be simply interpreted to have been influenced by other cultures like temple banner or some manuscript paintings. It is especially remarkable for white wall paintings to be found in Nestorianism arts which have direct influence on Manichaeism. Another important trait to note is that figures in the paintings are described only with black line. This trait, which is different from a technique to contour figures with black and red line and express a cubic effect with shading, is found in those paintings heavily influenced by Buddhism and Trufan. In addition, figures in black line look a lot flat when compared with Iranians who look like westerners. They are rather similar to donors shown in Buddhist wall paintings from Uyghur. Chao huashan believes that the cave 38 had been created during the 9th or 10th century based on his archeological methodology. Moriyasu argues that it had been constructed around the 10th century or later based on business documents of Bezeklik temples. Indeed, paintings of the cave 38 would be produced between the late 9th century when Uyghur entered Trufan region and the 11th century when Buddhism had full-fledged supports by Uyghur. Its double-walled structure also shows that the cave 38 was created before the 11th century when Manichaeism gave its dominate status to Buddhism. In this research, I tried to presume a possible period to produce wall paintings with making the best use of techniques to contour figures in wall paintings. I believe the paintings contoured with black line from Cave 38 should be placed later in the Manichaeism's time since those with red and black line or shading are ahead of the times. ;신장위구르자치구(新疆維吾爾自治區) 투르판에 위치한 베제클릭(柏孜克里克, Bezeklik) 석굴은 '아름답게 장식된 곳'이라는 이름에 걸맞게 화려하게 장엄된 불교굴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90년대 초반 모리야츠 다카오(森安孝夫)가 위구르 銘文을 해독함으로써 마니굴을 판별해 내고, 차오화샨(晁華山)이 투르판 마니굴에 관한 새로운 연구를 발표한 이래, 베제클릭 38굴은 마니교 회화와 건축의 규범을 제시하는 기준굴로 부각되어 왔다. 베제클릭이 있는 투르판은 오랜 기간 동안 유목민족과 중국인 간의 쟁탈전이 끊이지 않았던 곳이어서 다양하고 복합적인 문화가 형성되었다. 그러므로 불교가 천년 이상 뿌리내리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摩尼敎와 景敎가 유입되어 신봉될 수 있었던 것이다. 이 중 마니교는 3세기 이란에서 시작된 이래 회화를 활용한 傳敎와 다양한 번역 사업을 통해 세계 각지로 뻗어나갔으나, 조로아스터교도들의 박해로 사마르칸트에 정착하였다. 이곳에서 교화된 신도의 대부분이 소그드 상인이었기에 마니교가 일찍이 중국에 전해졌으며, 동위구르의 3대 카간 뵈귀(Bo¨go¨)가 762년경 史朝義의 반란을 진압하기 위해 낙양에 왔다가 마니 승려들을 데려감으로써 위구르에 수용되었다. 이후 마니교도들의 경제 활동은 카간의 권력 강화 및 제국 경영에 크게 기여했으므로 왕의 적극적인 후원을 받았다. 그러다가 위구르가 키르기즈에 쫒겨 당시 불교가 성행했던 투르판으로 西遷한 이후에는 불교화 되었다. 그러나 마니교는 점차 쇠퇴하였으며, 11세기 초에는 마니교 사원이 불교 사원으로 대체되었다. 그리하여 베제클릭 역시 대부분 위구르기에 제작된 불교 벽화가 남아있으나, 모리야츠가 27, 35, 38굴 등에서 위구르 銘文을 해독하여 마니굴의 존재를 밝혀내었다. 이후 차오화샨도 베제클릭의 1/4에 해당하는 19개의 굴을 마니굴로 판명하였다. 그러나 이중에 마니교 벽화가 온전하게 남아있는 경우는 없고, 비교적 38굴만이 벽화가 잘 남아있다. 38굴은 마니교의 대표적인 석굴로서 二重窟의 구조를 보이고 있어 마니굴의 준거 기준이 된다. 내벽에는 포도가 달린 세 줄기의 生命樹와 공양자 부부, 孔雀, 열 명의 守護靈 등이 그려져 있는데, 특히 수호령은 경전화들과의 비교를 통해 武士形, 有翼形, 印度神, 貴族形, 複合形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서벽 상단에는 摩尼寶珠(cinta-mani)를 중심으로 두 奏樂人이 한 무리를 이뤄 반복 전개되고, 하단에는 聯珠紋과 唐草紋이 연속되고 있다. 서벽의 이러한 구도는 소그드 지역에서 기원한 것이나, 보주, 내벽의 생명수의 형태와 일부 수호령의 복식은 敦煌 불화에서 차용한 것이어서 新舊의 요소가 혼재함을 알 수 있다. 또한 38굴의 흰 벽은 다수 經典畵와 고창 출토 벽화들의 남색 배경과는 구분되는, 베제클릭 마니굴의 독특한 양식이다. 이는 빛을 흰색으로 표현하는 조형 의식이 반영된 것일 수도 있겠으나, 旗幡畵나 일부 경전화에서처럼 다른 문화로부터 영향 받은 것일 수도 있다. 특히 마니교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 景敎 예술에서 흰색의 벽화가 발견되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인물들이 墨線으로만 표현되었다는 점 역시 중요한 특징이다. 이는 묵선과 朱線으로 윤곽선을 그리거나 바림으로써 입체감을 표현하는 기법과 구별되며, 불교의 영향과 투르판의 지역성이 강하게 드러나는 작품들에서 확인된다. 게다가 묵선으로 그려진 인물들은 深目高鼻의 이란인보다 편평한 인상으로 위구르기 불교 벽화의 공양자들과 유사하다. 38굴의 조성 시기에 대해 차오화샨은 고고학적 방법론을 이용하여 9세기부터 10세기 경으로 파악하였다. 또한 모리야츠는 베제클릭 사원 경영 문서를 근거로 10세기 혹은 그 이후로 보았다. 실제로 38굴 벽화는 돈황 불교 도상의 차용과 이중굴이라는 구조적 특성으로 미루어 보아, 10세기 경부터 마니굴에서 불교굴로의 전환이 이루어진 11세기 사이에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인물의 표현 기법으로 벽화의 상대적인 제작 시기를 추정한 결과, 주선과 묵선을 함께 쓰거나 훈염법을 사용한 것이 선행 양식이므로, 묵선으로 그려진 38굴 벽화는 마니교 예술 속에서 보다 후대의 것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論文槪要 = ⅲ Ⅰ. 머리말 = 1 Ⅱ. 투르판의 종교 문화 = 6 A. 투르판의 역사 = 6 B. 투르판 불교 문화 = 8 1. 투르판 불교의 성격 = 8 2. 불교 예술 = 9 C. 마니교와 투르판 위구르 = 11 1. 마니교의 성격 = 11 2. 위구르의 마니교 수용 = 18 3. 투르판의 마니교 예술 = 23 Ⅲ. 베제클릭 석굴 = 31 A. 석굴 개관 = 31 B. 불교굴 = 33 C. 마니굴 = 38 Ⅳ. 베제클릭 38굴 고찰 = 44 A. 구조적 특징 = 44 B. 벽화의 성격 = 46 1. 도상 = 46 2. 양식 및 기법 = 71 3. 制作時期 = 79 Ⅴ. 맺음말 = 82 參考文獻 = 85 圖版目錄 = 96 揷圖·表目錄 = 98 圖版 = 99 ABSTRACT = 10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15491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베제클릭(Bezeklik) 38굴 壁畵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iv, 11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사학과-
dc.date.awarded200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