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오은경-
dc.contributor.author김소영-
dc.creator김소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22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22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3350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901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3507-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is about teachers' participation in the curriculum in school-based management, which is paid attention to as a measure for education refor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eachers' recognition about participation in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the current school curriculum and to examine the problems and status. For this purpose, the document study and investigation were conducted simultaneously. For the document study, this study examined the meaning of education restructuring and observed the definition, characteristics, and area of t school-based management, which is a plan for education restructuring. Also, it investigated teachers' participation in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curriculum, one of the school-based management areas. It specifically examined teachers' rights to decide educational content, support and achievement for teachers' participation, and teachers' participation and school-based management in Korea. Three study questions were investigated. First, it investigated teachers' recognition about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curriculum focusing on unit schools. The concrete subordinate areas were the necessity of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curriculum focusing on unit schools, expansion of teachers' rights, the reason of teachers' participation, responsibility according to participation, and maintaining universality with the national level. Second, the present status of teachers' participation in curriculum in elementary schools was identified. The specific subordinate areas were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on in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curriculum focusing on unit schools, the degree of teachers' participation, and factors motivating their participation. Lastly, it examined the achievement of teachers' participation in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curriculum focusing on unit schools. To investigate the above study questions,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571 elementary school teachers. A χ² test was conducted on 505 valid answers among the collected data, in order to compare them by school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generally recognized the necessity of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curriculum focusing on unit schools. The largest number of them answered the reason why it was necessary was 'to accept the requests of students and parents'. Also, most of them wanted to expand their rights regarding the curriculum. As for the reason to expand their rights, 'irrelevance of the current curriculum' was the answer most often given. Many teachers recognized teachers' professionalism, practical effects on implementing the curriculum, and the supplementary role for the national curriculum, as the reason for teachers' participation. Moreover, more than half of the teachers recognized the responsibility according to participation in the curriculum. They recognized that the maintenance of universality with the national level curriculum was implemented in the middle level. Second, teachers thought that the degree of teachers' participation was low. Most of them answered they had never participated in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curriculum focusing on unit schools. As for the reason they couldn't participate, 'lack of expert knowledge and experiences' was the answer most often given. Regarding the question about the degree of participation, they answered it was in the middle degree. Also, they evaluated the motivating factor that school had was in the middle level. Among them, they responded 'smooth communication' was conducted the least, and 'sharing information' was the best. Third, most of the teachers recognized the effect of participation in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curriculum focusing on unit schools. Many teachers responded that the teachers' participation gave positive effects on students' achievement in studies.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responses, there were a lot of differences in teachers' recognition between public school and private school. Teachers in private schools recognized more the necessity of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curriculum focusing on unit schools and wanted the expansion of rights. They recognized more the responsibility from participation and maintenance of the universality with the national level curriculum. Regarding the degree of teachers' participation, teachers in private schools participated more than those in public schools. Also, private schools had more motivating factors than public school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above, most teachers had positive opinions about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curriculum focusing on unit schools. This will provide a positive influence on inducing teachers' participation. However, it was found that several supporting factors to motivate teachers were not yet present in unit schools. Therefore, a combination of many factors to support participation should be promoted in order to induce the active participation of teachers. When the change of teachers' recognition and supporting factors are combined, the effect of teachers' participation in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the current school curriculum will be maximized. ;본 연구는 교육개혁을 위한 방안으로 대두되고 있는 단위학교경영에서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참여에 관한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학교에서의 교육과정 개발·운영에의 교사참여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봄으로써 문제점과 실태를 파악하는 것에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위해 문헌 연구와 조사 연구를 병행하였다. 문헌 연구에서는 교육 재구조화의 의미를 알아보고, 교육 재구조화를 위한 하나의 방안인 단위학교경영의 정의, 특징, 영역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단위학교경영의 영역 중 하나인 교육과정의 개발·운영에의 교사참여에 대해 알아보았다. 구체적으로 교사의 학교 교육과정, 교육내용결정권, 교사참여를 위한 지원조건과 성과, 한국의 단위학교경영과 교사참여에 관해 살펴보았다. 조사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가 다루어졌다. 첫째, 단위학교를 중심으로 한 교육과정 개발·운영에 관하여 교사들이 지니고 있는 인식은 어떠한가? 1. 교사들은 단위학교 중심 교육과정 개발·운영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는가? 2. 교사들은 교육과정 개발·운영에 대한 교사의 권한 확대를 원하는가? 3. 교육과정 개발·운영에 교사가 참여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4. 교육과정 개발·운영 참여에 따른 책무성 부과를 인식하고 있는가? 5. 교사의 교육내용결정권을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과의 보편성 유지 차원에서 인식하고 있는가? 둘째, 현재 초등학교에서 단위학교를 중심으로 한 교육과정 개발·운영에의 교사참여 실태는 어떠한가? 1. 초등학교에서 교육과정 개발·운영 과정에 교사참여가 이루어지고 있는가? 2. 이루어지고 있다면, 어느 정도로 이루어지고 있는가? 3. 단위학교 내에 교사참여를 고무하는 요인들이 얼마나 존재하는가? 4. 교육과정 개발·운영에 교사참여가 긍정적인 성과를 가져오는가? 위와 같은 연구문제들을 조사하기 위해 초등학교 교사들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총 571명의 교사들을 표집한 뒤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회수된 자료 중 연구에 적절한 505부의 응답에 대해 학교 설립별로 비교하기 위해 χ²검정을 실시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대개 단위학교 중심 교육과정 개발·운영 단위학교 중심 교육과정 개발·운영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필요한 이유에 대해서는 '학생, 학부모의 요구 수용'에 가장 많이 응답했다. 또한 거의 모든 교사들이 교육과정에 대한 권한 확대를 원하고 있었다. 그리고 권한 확대의 이유에 대해서는 '현행 교육과정의 부적절성'에 가장 많이 응답했다. 많은 교사들이 교사참여의 이유로 교사의 전문성, 교육과정 실행에 대한 실제적인 영향력, 국가 교육과정에 대한 보충적 역할을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절반 이상의 교사들이 교육과정 참여에 따른 책무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국가수준 교육과정과의 보편성 유지에 대해서는 중간 정도의 인식이 가장 많았다. 둘째, 교사들은 현행의 교사참여 정도가 낮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대부분의 교사들이 단위학교 중심 교육과정 개발·운영에의 참여 경험이 없다고 응답했다. 참여하지 못한 이유에 대해서는 '전문 지식과 경험 부족'에 가장 많이 응답했다. 교사참여가 이루어지고 있는 정도에 대한 질문에는 중간 정도의 평가를 내렸다. 또한 학교가 구비하고 있는 교사참여를 고무하는 요인들에 대해서도 거의 중간 정도의 평가를 내렸다. 그 중 '원활한 의사소통'이 가장 안되고 있다고 응답했고, '정보의 공유'가 가장 잘되고 있다고 응답했다. 그리고 교사들은 대부분 단위학교 중심 교육과정 개발·운영에서의 교사참여 효과를 인식하고 있었다. 많은 교사들이 교사참여가 학생들의 학업성취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응답했다. 응답들을 비교해 본 결과, 공립학교 교사들과 사립학교 교사들의 인식에 많은 차이가 있었다. 사립학교의 교사들이 공립학교의 교사들보다 단위학교 중심 교육과정 개발·운영의 필요성을 더 많이 느끼고 있었고, 권한 확대도 더 많이 원하고 있었다. 그리고 사립학교 교사들이 공립학교 교사들보다 교사참여에 대한 책무성 부여와 국가수준 교육과정과의 보편성 유지에 관해서도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교사참여의 정도에 있어서도 사립학교의 교사들이 공립학교의 교사들보다 더 참여를 많이 하고 있었다. 또한 사립학교가 공립학교보다 교사참여를 고무하는 요인을 더 잘 구비하고 있었다. 이상의 분석결과에 의하면, 대부분의 교사들은 단위학교 중심의 교육과정 개발·운영에 대해 긍정적인 견해를 갖고 있었다. 이것은 교사참여를 이끌어 내는 것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그런데 아직 교육과정에 교사참여를 이끌어 내기 위한 여러 지원 요인들이 단위학교에 잘 조성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따라서 적극적인 교사참여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참여를 지원할 수 있는 여러 요인들의 조성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렇게 교사들의 인식 전환과 교사참여를 위한 지원요인들이 결합될 때, 교육과정 개발·운영에 대한 교사참여의 효과가 극대화 될 수 있을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Ⅳ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5 Ⅱ. 이론적 배경 = 6 A. 교육의 재구조화를 위한 단위학교경영(School-Based Management) = 6 1. 교육의 재구조화(restructuring) = 6 2. 단위학교경영의 정의 = 7 3. 단위학교경영의 특징 = 9 4. 단위학교경영의 영역 = 14 B. 교육과정의 개발과 운영에의 교사참여 = 19 1. 학교 교육과정 = 19 2. 교사참여와 교육내용결정권 = 22 3. 교사참여를 위한 지원조건과 성과 = 27 4. 한국의 단위학교경영과 교사참여 = 42 Ⅲ. 연구 방법 = 47 A. 연구 대상 = 47 B. 연구 도구 = 49 C. 연구 절차 및 자료의 처리 = 49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 51 A. 단위학교 중심 교육과정 개발·운영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 51 B. 단위학교 중심 교육과정 개발·운영에의 교사참여 실태 = 60 Ⅴ. 요약 및 결론 = 70 참고문헌 = 76 <부록> 교육과정 개발·운영에의 교사참여에 관한 교사들의 인식에 대한 설문지 = 84 Abstract = 9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6981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단위학교 중심 교육과정 개발·운영에의 교사참여에 대한 인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서울지역 초등학교 교사들을 중심으로-
dc.format.pagevi, 9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200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