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7 Download: 0

To Be and Not to Be'

Title
To Be and Not to Be'
Authors
손신형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영어영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강태경
Abstract
20세기 초엽부터 시작한 공연텍스트에 대한 관심은 희곡텍스트와 공연텍스트 사이의 우열을 가리는 의미에서 벗어나 이 둘 사이의 상호 보완을 통해 한 작품의 의미가 확고해질 수 있다는 상호교섭설로 발전하여왔다. 따라서 기존의 희곡텍스트에 대한 연구는 공연텍스트에 대한 연구와 교류를 통해 더욱 의미를 확장해 나가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공연텍스트의 입지를 상승시켰을 뿐만 아니라 공연텍스트가 가지는 성질--기호의 복합성, 즉흥성, 시대성, 역사성 등--들을 비평계에서 중요한 화두로 연구하게 하였다. 결국 시대와 장소에 따라 다양하게 해석되고 변형되는 개별 공연텍스트의 모습이 중요한 분석 대상으로 되었고 이는 셰익스피어 비평계에서도 예외가 아니다. 공연텍스트의 분석과 연구에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분석 단위는 무대의 구성요소로 무대, 배우, 조명, 의상, 음악 등이 있으며 이들의 유기적인 결합에 의해 공연텍스트는 완성된다. 이 구성요소들은 전체로서 의미를 생성할 뿐만 아니라 하나하나가 특수한 의미체 즉 기호로서의 역할을 담당한다. 따라서 공연텍스트라는 전체를 연구하기 위해서는 그 지체라 할 수 있는 구성요소 개별의 의미와 그 결합의 양상을 살펴보는 것이 선결되어야한다. 다양한 의미와 기능을 지닌 구성요소들은 공연텍스트의 주제적 의미를 효과적으로 드러내는 방식으로 결합하게 되는데 이러한 결합의 과정에서 생성되는 지배적인 이미지를 지배적 형식이라고 한다. 스타이안은 이렇듯 주제적 의미와 지배적 형식이 효과적으로 결합되어 관객에게 강력한 영향력을 미치는 힘을 게슈탈트라고 정의하였다. 관객은 개별 구성요소들과 이들의 조직적 구성을 통해서 부분적인 의미들을 받아들이고 이 의미들이 전체 극이 진행되는 동안 변화하고 발전해가는 과정을 따라가면서 자연스럽게 주제적 의미와 지배적 형식을 수용하게 된다. 그리고 이를 통해 연극적 재미와 감동을 느끼게 되는 극장적 체험이 완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한 공연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결합하고 극 전체를 구성하는 연출가의 작업은 매우 중요하다. 연출가는 작품에 반영된 극작가의 의도와 작품 내부적 의미와 더불어 그것이 공연되는 당시 상황에 어떻게 연결지어질수 있는지 찾아내야한다. 희곡텍스트에 대한 이상적 독자이자 해석공동체의 대표로서 책임을 가지고 연출가는 작품에 대한 해석 작업에 임해야하는 것이다. 연출가의 해석 작업은 다양한 해석적 영향력들을 종합하고 아울러서 작품에 대한 자신만의 전면해석과 국면해석을 완성한다. 전면해석은 전체 작품이 지향해야할 의미로 주제적 의미와 동일한 것으로 작품을 통해 관객들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단일한 메시지, 사고이다. 국면해석은 전면해석을 효과적으로 관객에게 전달하기 위해 극의 부분 구성요소들과 장면들을 어떻게 배치하고 설정하여 표현할 것인지 결정하는 일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공연비평의 방법론을 가지고 구체적으로 우리시대의 공연 한편을 분석해보았다. 창작 당시부터 계속적인 재창작의 대상이 되었으며 시대와 문화에 따라 다양한 양상으로 변화 발전되어 해석적 민주화 과정을 거친 셰익스피어의 『햄릿』이 그것이다. 『햄릿』은 '햄릿주의'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이 작품을 접하는 시대와 문화, 개개인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고 독창적인 방식으로 해석되어왔다. 특히 한국에서 『햄릿』은 일제시대 서구의 극들이 유입된 이후로 번안극들 중 가장 다수로 무대화 되면서 대중적으로 널리 사랑을 받아왔다. 이러한 여건 속에서 이윤택 연출의 『햄릿』은 96년 초연 이래로 100여 차례 이상의 공연을 올리면서 계속적으로 수정 발전되어온 작품이다. 러시아, 독일, 일본 등 국내에서 뿐만 아니라 해외의 공연 활동을 통해 한국의 대표적인 『햄릿』 공연으로 자리잡은 이 작품은 가장 한국적이면서도 세계적인 『햄릿』공연으로 인정받고 있다. 이는 한국이라는 지엽성을 넘어서 국제무대에서도 통할 수 있는 보편성을 획득한 결과라 할 수 있다. 이윤택은 다양한 해석에 대한 분석과 연구를 통해 세 가지 주요 접근방식을 상정하였다. 이는 프로이드적인 정신분석학적 접근과 광기의 문제, 그리고 연극성에 대한 고찰이다. 이윤택은 햄릿의 복수 지연의 문제에 대해 정신분석학적 접근을 통해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에 의한 것으로 해석하였고 햄릿의 광기와 유령과의 만나는 과정 등에 대해 샤머니즘을 접목하여 접신의 구조로 해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이윤택은 이 공연이 포함하고 있는 극중극의 의미에 대해 사변극적인면을 강하게 담지한 제의적 형식으로 풀이하였다. 이러한 세 가지 접근법은 모두 이분법적 정의에 대한 비판적 관점에 의한 설정인데 의식과 무의식, 정상과 비정상, 현실과 허구, 삶과 죽음 등 다양한 이분법적 구분을 전복시키기 위한 선택이라고 할 수 있다. 이윤택은 이러한 다양한 이분법적 구분에 의해 대립항으로 구별지어진 요소들을 교차적으로 구성하거나 함께 혼합 배치함으로써 그들 사이의 구분이 인위적이며 절대적이지 않다는 사실을 깨닫게 한다. 무엇보다도 모든 이분법적 요소들은 삶과 죽음의 이미지를 내제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삶과 죽음의 이분법에 대한 극복을 주제적 의미로 상정하고 있다. 즉 이윤택은 극의 전반을 걸쳐 다양한 이분법으로 분리된 이미지들들 지배적 형식인 삶과 죽음의 이미지로 통합하고 이들을 교차적으로 혹은 복합적으로 배치함으로써 둘 사이의 구분이 무의미함을 보였다. 따라서 삶과 죽음의 이분법적 구분에 대한 극복이라는 주제적 의미는 삶과 죽음의 이미지들의 결합을 통한 지배적 형식으로 표현되고 이들을 수용하고 받아들임으로써 관객들은 작품 전체에 대한 게슈탈트를 경험하게 된다.;This thesis investigates Korean director, Yun-taek Lee's Hamlet as a performance criticism. Performance criticism originated from the reciprocal movement between the critics and the men of the theatre in the end of the nineteenth century. At that moment the critics started to recognize the historical and cultural importance of the theatrical representation. And the players also needed detailed and academic interpretation about the written text to make a meaningful performance. Keir Elam defines that the written text and performance text relationship is a complex of reciprocal constrains constituting a powerful intertextuality. It means that there is no simple priority between them. Spontaneously they constrain and affect each other and finally become a signal to communicate with the audience. In the other word the signal is theater. As a kind of social institution, theatre represents and establishes social functions according to cultural and social assumptions. However it also has an effect to the culture and the society by rewriting the assumptions. Performance critics focuses on this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ety, the culture and theater and makes detailed investigation into each theater which has its own social and cultural meaning by place and time difference. In the Shakespeare criticism the performance critics acknowledge the romantic idealization of Shakespeare as a universal genius. This idealization brings about that he and his works are democratized and available for each person to interpret in his or her own way regardless of education and social rank. Therefore the concept of "Shakespeare Our Contemporary" by Jan Kott is very important criterion in the performance criticism. This thesis follows this criterion by investigating our Korean performance, Yun-taek Lee's Hamlet, according to the critical model of performance criticism. The first chapter moulds the frame of the performance criticism. It defines the basic elements of the performance-stage, actor, property, costume, light and sound-and their function in the performance. And it shows the way that the elements become a network of meaning by a director. The director puts the elements together on the stage as organic signs which are arranged by his commanding form and concept of the performance. As the performance goes by, the audience follows the commanding form and concept of the performance and at the end he/she feels Gestalt which makes the performance an organic wholeness. The second chapter applies the critical frame of the first chapter to Yun-taek Lee's Hamlet. He interprets Hamlet with three approaches-Oedipus Complex, Divine Madness and Theatrum mundi. However his concept of the performance is overcoming the dichotomy between life and death. He uses the opposite images of life and death together or circularly to make the concept clear. In fact three approaches are just kinds of variations of the concept-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normal and abnormal, reality and fiction. He reveals the limitations of dichotomy by representing the subversion of the opposite images ,specially life and death images, with the stage eleme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영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