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1 Download: 0

성별인식과 리더십에 관한 연구

Title
성별인식과 리더십에 관한 연구
Authors
강시현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여성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장필화
Abstract
여성 인력의 활용이 국가 경쟁력을 높이는 데 주요한 수단으로 인식되면서 공적 영역으로의 여성의 진출, 여성의 리더십 등에 대한 관심도 더불어 높아지고 있다. 그 동안 리더십과 관련한 논의는 주로 남성 리더를 대상으로, 남성의 특성과 경험에 기반해 이루어져왔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성별(gender)을 고려한 리더십 이론들이 출현하여 남성과는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고, 다른 상황에 처해 있으며 따라서 다른 경험을 하고 있는 여성 리더들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여성 리더들의 리더십 유형 추출, 남성과는 다른 리더 기회의 장애요인, 리더십 평가의 영향요인, 리더십 효과의 결정요인 등 다양한 방향에서 논의되고 있다. 이러한 논의는 '성별'이 조직을 구성하는 중요한 원리가 되고 있음을 밝혀내었고 그 밖의 선행연구를 통해서도 성별은 조직구성원리의 중요한 변수로 파악되고 있다. 그러나 '조직의 목표를 달성하고 운영하는 힘'으로서, 조직운영에 중요한 요소로 여겨지고 있는 리더십 관련논의에서 정작 가장 중요한 변수인 '성별'이 제대로 논의되지 못하였고, 리더 자신의 '성별성을 파악하고 이에 대해 대처하고 변화시킬 수 있는 능력'인 '성별인식'이 어떻게 리더십에 작용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조직의 원리와 조직원의 특성, 행동양식 등을 파악하여 장애요소를 제거하고, 장점을 활용하여 조직을 보다 원활하게 운영하고, 조직의 목표를 달성하고, 조직 문화를 보다 바람직하게 변화시키는 것으로서, 리더십에 리더의 성별인식이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파악해보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리더십 효과의 결정요인의 하나로서 성별인식을 분석틀로 하여 공무원 조직의 성별성을 파악하고, 성별인식이 여성 리더 자신과 구성원과의 관계, 정책, 조직문화 등 리더십에 어떻게 영향을 주고 있는 지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무원 조직의 성별성을 파악한 결과, 성 고정관념과 성역할의식은 여성으로 하여금 가정과 직장이라는 두 개의 일터를 전담할 것을 강요하고, 직장에서는 부차적 노동자, 즉, '반쪽짜리' 직장인으로 여겨지게 했다. 이로 인해 여성들은 두 개의 일터를 오가며 많은 부담과 압박감을 느끼고 있었고, 직장인으로서 자신을 발전시킬 기회를 제한당하고 있었다. 또한 가정의 1차적 책임자라는 성역할은 직장에서조차 가정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강요함으로써, 여성을 사적존재로 치환시키면서 직장 생활 전반에 영향을 끼치고 있었다. 또한 남성이 다수를 차지하고, 남성 중심적 가치가 지배하면서 여성은 '소수자'이자 '주변인'으로, 여성의 특성과 가치는 부적당하거나 무능한 것으로 폄하되고 있고, 각종 네트워킹, 정보로부터 소외되고 있었다. 또한, 역할모델과 멘토의 부족으로 여성들의 의욕을 상실시키는 결정적 요인이 되고 있었다. 따라서 조직의 중요한 원리로서 성별(gender)이 작동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고, 리더의 성별인식이 왜 필요한지를 알 수 있었다. 둘째, 성별화된 조직에서 여성들은 남성적 원리와 가치를 내면화하는 '동화'와 '수용'의 대응방식을 취하거나 또는 사회에서 요구하는 여성적 역할을 수용함으로써 '포기'와 '단절'의 대응방식을 사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들은 결코 조직의 성별성을 변화시키지 못하는 방식으로서 여성들의 리더 기회나 리더십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고 있었다. 그러나 성차별을 경험하고, 인지하고, 여성들끼리의 연대를 통해 의식화되면서 여성 리더들은 성별인식을 갖게 된다. 이를 통해 무력감, 부정적 자기 인식, 정체성의 혼란을 극복하면서 자신감, 자기 주장성, 환경조절능력을 획득하게 되었다. 셋째, 성별인식을 갖게 된 여성 리더는 그렇지 못한 리더에 비해서 리더십에 있어 여러 가지 효과를 가지게 되는데, 구성원과 고객(국민)과의 관계에 있어 구성원의 특성과 상황을 보다 잘 이해하게 됨으로써 그에 적절한 배려와 존중, 대처를 할 수 있고, 비가시화되거나 폄하되었던 여성들의 능력을 제대로 활용하고 평가하게 되며, 갈등상황의 원인을 보다 잘 파악함으로써 적절한 대처와 원활한 협상을 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여성들에 대한 연대의식을 갖게 됨으로써 긍정적 역할모델과 멘토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었다. 국민과의 관계에서는 보다 국민의 욕구와 어려움을 잘 파악하게 됨으로써 사명감과 봉사정신을 갖고 일할 수 있게 되고, 공무원의 주요한 업무인 정책을 수립하고 실천하는 데 있어 여성과 남성을 모두 고려하는 '성인지적 인식'을 가질 수 있게 하며, 조직문화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변화시키는 데에도 영향을 끼쳤다. 이처럼, 여성 리더의 성별인식은 구성원, 고객, 정책, 조직문화 등 다양한 영역에 긍정적 효과를 끼침으로써 조직의 목표를 보다 더 효과적으로 달성하고 나아가 조직문화를 바람직하게 바꾸는 데에 기여하게 되었다. 본 논문의 의의는 조직의 목표를 달성하고, 운영하고, 발전시키는 데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인 리더십에 있어, 기존의 남성 중심의 리더십 이론과 여성적 가치를 새롭게 재평가한 여성적 리더십 논의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가 성별화된 조직을 끌어가는 리더로서, '성별인식'이 여성 리더 자신과 리더십에 있어 긍정적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밝힘으로써, 리더십 자질에 성별인식의 중요성을 일깨웠다는 점과 이 과정에서 여성들의 '피해자적 상황'뿐만이 아니라 '적극적 문제 해결의 수행자'로서의 대응방식을 밝혀낼 수 있었다는 점에 있다. 이는 결국 여성주의적 가치의 추구와 실천이 결코 리더십과 배치되지 않음을 입증하는 것이고 나아가 앞으로의 리더십은 기존의 잘못된 가부장적 규범과 관습을 변화시켜 개개인의 능력이 제대로 발휘되고, 인권과 행복이 추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어야 함을 시사하는 것이기도 하다. 리더십 효과의 요인으로서 성별인식은 현재의 리더십을 더 잘 발휘하게 할 뿐만 아니라 불합리하고 잘못된 조직을 바꾸는 요인으로서도 기능하게 됨으로써 가부장적이고 남성 중심적인 조직에서 피해를 보고 있는 여성들뿐만 아니라 남성들까지도 자신의 능력을 살리며 삶의 행복을 추구할 수 있게 하는 기반이 되고 나아가 조직과 전체 사회의 모습을 평등하고 가족친화적인 것으로 바꿀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As the utilization of female workforce is considered as major method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the nation, interest in working women in the public sector and female leadership is getting increased. The discussions related to leadership used to be limited to male leaders an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and experiences of the males. As an alternative to this, leadership theories considering gender emerged and studies on female leaders with characteristics and experiences different from male leaders are being performed. In these studies, leadership types of the female leaders are abstracted, and the obstacles in opportunities to be a leader female, the influencing factors on the leadership evaluation and decisive factors of leadership effects are discussed in various ways. These discussions identified that 'gender' is an important principle to construct an organization. Through pervious studies, gender was identified as very important variable in organization composition principle. However in the leadership related discussions which are considered as an important factor in organization operation as 'Force to achieve the goals of the organization and operate the organization', 'gender' the most important factor has not been discussed enough. Moreover there were not many studies on how 'gender perception'(capabilities to identify, to respond and to transform gender identity accordingly) influences leadership. Accordingly, we tried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the 'Gender Perception' of the leaders on the leadership by identifying the principle of organiz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and behaviors of the organization members, removing the obstacles and taking advantages of strengths and changing organizational culture to be desirable. In this article, Gender Perception was used as an analysis frame as one of the leadership effect driving factors in order to identify the gender characteristic of public servant organizations and the influence of Gender Perception on the leadership such as the relationship between female leader and organization members, the policy and the organizational cul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en identifying the gender of the public servant organization, fixed concept on sex and sex role consciousness forced women to be totally responsible for two places such as home and work, and at work they forced women to be an auxiliary worker so to speak to feel themselves as a 'half' worker. Because of this viewpoint, women felt much burden and pressure while they were back and forth between two working places and had restricted opportunities to develop themselves as an office worker. Additionally, the sex role as the primary respondent of home forced them to perform the role at home even at work and made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 whole working life by degrading women as private existences. Additionally, as most of the workers are men and male oriented values dominate the work place, female workers are degraded to 'minor' or 'peripheral people', female characteristics and values are degraded to inappropriate or incapable, and they are alienated from various networks and information. Moreover they do not have appropriate role models or mentors, which is a decisive factor to reduce the desire to work of female workers. Conclusively, we could identify that gender acted as an important principle in the organization and the necessity of the 'Gender perception' of the leader. Second, women 'assimilate to' or 'accommodate' the society by internalizing the masculine principles and values or 'abandon' or 'alienate' themselves by accommodating female roles that the society requests in gender organization. However these methods cannot change the gender of the organization and female workers have negative results in getting opportunities to be a leader and their leadership is affected adversely. However in the process of the discrimination, recognition and unity among female workers, they came to be conscious of gender and female leaders had gender perception. Through this, they overcame helplessness, negative self-consciousness and identity and achieved confidence, self-advocacy and environmental adjustment capabilities. Third, female leaders with gender perception came to have various effects comparing to those without gender perception. As they could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and situations better in the relationship of members and customers (public), they could consider, respect and respond to them properly, utilize and evaluate invisible or degraded female capabilities properly, and understand the causes of the conflicts better. Therefore they could make proper actions and smooth negotiations. Additionally based on the sense of unity of fellow female workers, they performed a positive role model and a mentor. In the relationship with people, they could understand the demands and difficulties of public better so that they could work with sense of calling and service spirits. They could have 'Gender Cognitive Perception' considering male and female together in establishing and practicing policies (the main role of public servants). It also influenced the identification and transformation of the problems of the organizational culture. As reviewed above Gender Perception of the female leaders contribute to achieving the organizational goals effectively and changing organizational culture into desirable ways by influencing various areas such as members, customers, policy and organizational culture. The meaning of this article lies in that it developed female leadership a step further, raised the issue of Gender Perception of the female leaders by identifying the positive influences of 'Gender perception' of the female leaders on female leaders themselves and their leadership, and identified the responding methods not as 'victim situations' but as 'active problem solver'. It showed that the female value pursuit and practice would not conflict with leadership and future leadership should change the conventional patriarch regulations and customs so that the competencies of individuals could be performed and the human rights and the happiness should be rejoiced. Gender Perception, a leadership effect factors, makes the leadership performed better and functions as a factor to change unreasonable and wrong organizations. Therefore it will help not only females who suffer from patriarch and male-centered organizations but also males to perform their capabilities fully and pursue the happiness of life. Furthermore, it will be very important factor to change the whole society to be equal and family friendly th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