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1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운조-
dc.contributor.author권새별-
dc.creator권새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8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8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3380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897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3802-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국립국악원의 관악영산회상과 경기도당굿의 삼현 중 해금 선율을 비교하여 국립국악원 전승 음악과 굿 음악의 차이점을 알아보고 서로 다른 양상을 검토하여 이들 음악의 올바른 이해를 돕고자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국립국악원과 경기도당굿의 타령·군악의 해금 선율을 비교한 것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립국악원과 경기도당굿 모두 타령과 군악에서 타령 장단을 사용하는데 경기도당굿의 타령 장단과 국립국악원의 타령 장단은 국립국악원이 기덕을 연주할 때 덕을 연주하거나 국립국악원이 덩을 연주할 때 경기도당굿은 쿵을 연주한다는 것 이외에 거의 같다. 그러나 실제로 연주할 때 국립국악원은 거의 변화가 없으나 경기도당굿은 때때로 중간 박을 생략하여 변화를 주기도 한다. 둘째, 국립국악원과 경기도당굿의 장단 수를 살펴보면 국립국악원 타령은 26장단, 경기도당굿 타령은 16장단으로 국립국악원이 경기도당굿보다 10장단 많고 국립국악원 군악은 48장, 경기도당굿 군악은 37장단으로 국립국악원이 경기도당굿보다 11장단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국립국악원 타령의 1장과 유사한 경기도당굿 타령의 선율은 4장단이고 2장과 유사한 선율이 6장단, 3장과 유사한 선율이 5장단, 4장과 유사한 선율이 1장단이며 국립국악원 군악의 1장과 유사한 경기도당굿 군악의 선율은 10장단이고 2장과 유사한 선율이 9장단, 3장과 유사한 선율이 12장단, 4장과 유사한 선율이 6장단이다. 즉, 경기도당굿 타령은 국립국악원 타령과 2,3장에서 거의 흡사한 장단 수를 보이고 경기도당굿 군악은 국립국악원 국악과 2,3,4장에서 흡사한 장단 수를 보인다. 셋째, 국립국악원의 타령과 경기도당굿의 타령의 출현음을 살펴보면 국립국악원은 남(B♭), 黃(E♭), 來(G♭), 仲(A♭), 林(B♭), 無(D♭), 潢(E♭)이며 경기도당굿은 남(B♭), 黃(E♭), 太(F), 來(G♭), 仲(A♭), 林(B♭), 無(D♭), 潢(E♭)이다. 그러므로 경기도당굿에는 太(F)음이 출현하여 국립국악원보다 많은 출현음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국립국악원의 군악과 경기도당굿의 군악 출현음을 살펴보면 국립국악원은 남(B♭), 남(C), 黃(E♭), 太(F), 姑(G), 林(B♭), 南(C), 潢(E♭), 汰(F), 고(G)이며 경기도당굿은 남(C), 黃(E^b), 太(F), 姑(G), 林(B♭), 南(C), 潢(E♭), 汰(F), 고(G)이다. 그러므로 국립국악원에 남(B♭)음이 출현하는 것 외에는 모두 같은 음이 출현하고 이다. 넷째, 국립국악원 타령과 경기도당굿 타령의 해금 선율은 총 64마디 중 9마디가 동일선율, 26마디가 유사선을, 29마디가 다른 선율로 54.7%가 같은 선율, 45.3%가 다른 선율로 나타났다. 또한 국립국악원 타령에만 나타나는 독립선율이 40마디가 있었다. 국립국악원 군악과 경기도당굿 군악의 선율을 비교 분석한 결과 총 148마디 중에 32마디가 동일선율, 65마디가 유사선율, 51마디가 다른선율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것을 백분율로 나타나면 65.5%가 같은선율, 34.5%가 다른선율이다. 또한 국립국악원 군악에만 나타나는 독립선율이 44마디 있었다. 국립국악원과 경기도당굿의 타령과 군악의 해금 선율은 장단과 출현음, 선율 구성이 유사한 것으로 밝혀졌다. 앞으로 국립국악원 전승 음악과 민간음악, 특히 굿음악과의 연관성을 다양한 방법으로 밝히는 것이 연구과제로 남는다.;This paper aims at examin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music transmitted by the National Classical Music Institute(NCMI) and the music used at the gut(굿, exorcism) and helping a better understanding on them by comparing melodies of Haegeum from the Gwanakyoungsanhwesang performed by the NCMI and from Gyeonggidodanggut. The comparison of Taryeong and Gunak which are included in both the NCMI's and Gyeonggidodanggut leads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of all, both the NCMI and Gyeonggidodanggut have Taryeong-style jangdan(rhythm) in their Taryeong and Gunak, and these jangdans are almost the same. When performed in practice, however, the NCMI's Taryeong jangdan rarely changes while that of Gyeonggidodanggut sometimes changes by omitting middle beats. Secondly, concerning the number of jangdans, the NCMI's Taryeong has 26 jangdans and that of Gyeonggidodanggut has 16 jangdans, which means that the NCMI has 10 more jangdans than Gyeonggidodanggut. Additionally, the NCMI's Gunak has 48 jangdans and that of Gyeonggidodanggut has 37 jangdans, which means that the NCMI has 11 more jangdans. Moreover, in the first movement of the NCMI's Taryeong, there are four jangdans of melodies similar to those from Gyeonggidodanggut's Taryeong, in the second, there are six similar jangdans; in the third, there are five similar jangdans; and in the fourth, there are one similar jangdans. In comparison, in the first movement of the NCMI's Gunak, there are ten jangdans of melodies similar to those from Gyeonggidodanggut's Taryeong; in the second, there are nine similar jangdans; in the third, there are twelve similar jangdans; and in the fourth, there are six similar jangdans. In other words, Taryeong in Gyeonggidodanggut closely resembles that of the NCMI in the second and third movement, while Gunak in Gyeonggidodanggut resembles that of the NCMI in the second, third and fourth movement. Thirdly, concerning the appearing notes in Taryeong, the NCMI's Taryeong includes Lim(B♭), Hwang(E♭), Hyeop(G♭), Jung(A♭), Lim of and upper octave, Mu(D♭) and Hwang of and upper octave, whereas Gyeonggidodanggut includes Lim(B♭), Hwang(E♭), Tae(F), Hyeop(G♭), Jung(A♭), Lim of an upper octave, Mu(D♭), Hwang of an upper octave. Accordingly, we can come to know that Gyeonggidodanggut has one more appearing note, Tae(F), than the NCMI. Moreover, examining the appering notes in Gunak, the NCMI has Lim(B♭), Nam(C), Hwang(E♭), Tae(F), Goe(G) and those of an upper octave, while Gyeonggidodanggut has Nam(C), Hwang(E♭), Tae(F), Goe(G), upper Lim, upper Nam, upper Hwang, upper Tae and upper Goe. In other words, almost the same notes appear in the two pieces except Lim in the NCMI's Gunak. Lastly, concerning the melodies of Haegeum in Taryeong of the two pieces, 9 measures are the same, 26 are similar and 29 are different among the whole 64 measures. That is, 54.7 percents are alike and 45.3 percents are different. Besides, there are 40 measures of unique melody solely in the NCMI's Taryeong. In addition, concerning the melodies in Gunak of the NCMI and Gyeonggidodanggut, 32 measures are the same, 65 are similar and 51 are different among the whole 148 measures. To put it another way, 65.5% are alike and 34.5% are different. Also, there are 44 measures of unique melody in the NCMI's Gunak. To summarize, melodies of Haegeum in Taryeong and Gunak of the NCMI and those of Gyeonggidodanggut are almost the same in their jangdans, appearing notes and melodies. Still, it remains tasks to examine relations between the music transmitted by the NCMI and the folk music, especially music used at the gut(exorcism), in various way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방법과 범위 = 3 Ⅱ. 본론 = 4 1. 장구 장단 = 4 2. 장단 수 = 5 3. 출현음 = 6 (1) 타령 = 6 (2) 군악 = 7 4. 선율 비교 = 7 (1) 타령 = 7 (2) 군악 = 21 Ⅲ. 결론 = 50 참고문헌 = 52 ABSTRACT = 5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4803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국립국악원 관악영산회상과 경기도당굿 삼현의 해금 선율 비교-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타령, 군악을 중심으로-
dc.format.pagevii, 7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음악학부-
dc.date.awarded200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