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8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상돈-
dc.contributor.author정지향-
dc.creator정지향-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5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5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789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894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7898-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habitat suitability model for Korean water deer (Hydropotes inermis argyropus) and validate the model against observed data in Chunhcheongnam-do. Thematic maps such as topography, stream networks, vegetation, land-use, land-cover and road networks and ArcView GIS software were used to identify the habitat factors in this study. Habitat variable was established after drawn suitable habitat factors that are applied to ecological investigation into Korean water deer. Selected habitat variables which are used in analysis of Korean water deer habitat make HSI value using GIS tool. Analysis results show that HSI value is 0.51±0.08(Min : 0.19, Max : 0.85) on the average. and the field investigation of Korean water deer HSI value applied to model is 0.75±0.04(Min : 0.66, Max : 0.85). This result shows that HSI model for Korean water deer is valid in Chunhcheongnam-do. and from now on if a functional formula which is added food data and additional research data set up, It can be applied to basic management plans for habitat of korean water deer. because this study result can be suggested as a standard of judgment about Korean water deer's habitat quality. Also it is expected to improve management efficiency of korean water deer's habitat. Through time series analysis of HSI value, change of habitat environmental can be measured quantitatively in study area. this method can be applied to not only Korean water deer but also other wildlife animals habitat management.;본 연구는 기존에서 이루어진 일정지점 중심의 야생동물 생태 및 서식조사에서 벗어나 서식지의 관리의 효용성을 높일 수 있는 광역적 규모의 서식적합도 모형개발을 수행 하였으며 충청남도 지역을 대상으로 장기간의 자연 환경 변화와 특히 인위적 개발 이용 활동의 영향에 의해 개체수와 분포가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는 고라니를 연구종으로 선택하여 서식적합도 모형을 구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고라니 및 사슴류의 생태를 다룬 기존의 논문 및 생태조사를 기초 자료로 활용하여 서식지로 적합한 환경요인을 추출한 후 서식변수로 설정하였다. 추출된 서식변수는 물, 먹이, cover(은신처, 번식), 향, 인위적 간섭(도로, 토지개발 및 이용)으로 구성되고, 이들 변수는 각 변수별 SI 지수에 적용시켰으며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공간분석을 실시하여 최종 서식적합도지수를 도출하였다. 연구지역인 충청남도에 연구에서 구축된 함수식을 적용시킨 결과 최종적 HSI는 평균 0.51±0.08(Min : 0.19, Max : 0.85)인 반면, 제2차 자연환경조사 중 충청남도 지역에서의 고라니의 실측에 의한 HSI 값은 0.75±0.04(Min : 0.66, Max : 0.85)의 값을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본 연구방법에서 구축된 최종 서식적합도 함수식이 충청남도에서 고라니 서식적합지로서의 적합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향후 식생 및 고라니생태관련 기초조사가 좀 더 적용된 서식변수를 보완시킨다면 서식처 관리에 있어 관리의 효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HSI 지수의 시계열적 분석과정을 통해 연구지역내 환경의 변화를 정량적으로 측정 가능케 하여 고라니뿐만 아니라 고라니와 유사 생태습성을 지는 야생동물의 서식질 향상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Ⅱ. 연구지역 및 방법 = 3 1. 연구재료 = 3 1.1 연구종 = 3 1.2 연구지역 = 5 1.3 분석자료 = 7 2. 서식변수 및 서식지수 설정 = 7 2.1 연구개요 = 7 2.2 서식변수 및 서식변수별 서식적합지수 설정 = 9 2.3 HSI model 구축 = 21 Ⅲ. 결과 = 24 1. 서식변수별 SI 결과 = 24 1.1 Water Variable(V1) = 24 1.2 Food Variable(V2) = 26 1.3 Hiding Cover Variable(V3) = 28 1.4 Reproduction Cover Variation(V4) = 30 1.5 Resting Cover Variable(V5) = 32 1.6 Land use Variable(V6) = 34 1.7 Road Variable(V7) = 35 2. 충청남도지역 고라니의 HSI 및 구성요소의 SI = 37 3. 고라니의 최종 HSI 및 검증 = 41 Ⅳ. 고찰 = 46 Ⅴ. 결론 = 50 Ⅵ. 참고문헌 = 51 ABSTRACT = 55 감사의 글 = 5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17121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28-
dc.titleGIS를 이용한 고라니(Hydropotes inermis argyropus)의 서식적합성모형에 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충청남도를 중심으로-
dc.creator.othernameJung, Ji Hyang-
dc.format.pageⅶ, 5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환경공학과-
dc.date.awarded200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환경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