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영기-
dc.contributor.author우서혜-
dc.creator우서혜-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4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4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2935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893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9353-
dc.description.abstract나의 기억 속의 바다는 파랗다. 또 학교에서도 그렇다고 배웠다. 그러나 실제로 바다는 여러 가지 색을 띤다. 하늘이 시커먼 구름으로 뒤덮일 때의 바다는 검은 회색이고, 눈이 부시게 하늘이 푸른 날의 바다는 푸른빛이다. 바다는 시시각각 하늘의 색에 따라 변한다. 기억 속의 바다 색은 보편성이라 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변하는 색은 특수성이라 할 수 있다. 세계는 개별자의 집합일 뿐 보편자의 집합이 아니다. 우리는 한국적인 것을 강조하면 한국의 복수성에 집착하게 되고, 우리는 언제나 특수성은 보편성을 결여해서는 안 된다는 이데올로기의 압박을 받는다. 그러나 우리가 생각하는 보편적 가치(우리는 서구의 것, 특히 미국의 것을 보편적인 가치로서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는 항상 절대적 가치를 가지는 것은 아니다. 우리가 보편성을 부정하고 한국적 가치를 보편적 가치로 승화시킬 때 한국적 특수성이 드러날 것이다. 색채는 형태보다 더 예민하게 우리의 감각을 자극하기 때문에 장식에 있어서도 색채는 역사적으로 민족성과 생활감정에 많은 영향을 끼쳐왔다. 자연환경과 생활감정에 순응하는 색채의 기호(嗜好)는 변천되어 시대성을 지니기도 하였지만 우리의 독자적 감성과 표현수법의 특이성은 변치 않고 우리의 무의식 속에 잠재되어 있음을 발견하게 된다. 한국적 색채는 이러한 색채활용에서의 한국인의 특수성, 혹은 정체성이라 말할 수 있다. 우리가 모든 문화를 흡수하여 자기 것으로 만든다면 모든 것을 자신의 것이라 당당히 말할 수 있듯이, 한국적 색채는 한국적인 것만을 강조한 것이 아닌 다른 문화를 흡수하여 우리의 것으로 창조적이게 수용한 색채활용을 의미한다. 전통 색채는 색채 사용 방법에 있어서 오랜 동안 전수되어 온 내용을 의미한다. 그 내용은 우리의 언어습관, 자연환경으로부터 터득한 경험과 지혜, 사상 등과 같은 것이다. 우리의 전통색채는 우리에게 자기 완성의 색깔로서 우리가 색채에 대한 철학적 자세와 형이하학에서 실천적 이상을 궁구하는 '순수정신'을 상징하는 실천적 색깔을 의미한다. 그리고 그 색깔은 솔직하고 꾸밈없는 우리의 생활 자세로부터 나온다. 전통색채는 전동의 일부라고 볼 수 있지만 전체를 함축적으로 담고 있는 부분이고 그것을 통해 전체를 바라볼 수 있다. 그러나 전통이 현재성을 상실한다면 훈고학이 된다. 정체성에 대한 모든 논의는 현재 우리 나라에서 일어나는 현상에서 출발해야 한다는 것이 현재성의 의미이다. 복원된 과거가 현재라면, 복원된 과거가 많으면 많을수록 현재의 문화는 풍요로워질 것이다.;I see the sea as blue in my memory. Also I was taught as so in school. But in fact, a sea has various colors. When the sky is covered with dark clouds. a sea becomes dark gray, and when the sky is clear, it becomes blue. A sea changes whenever the sky changes its color. We can say that the color of a sea in memory represents the universality and other colors of a sea represent particularity. The world is not a collection of universals but of individuals. If we emphasize thing of Korea, we may be too attached to the particularity of Korea and we are always pressed to supplement the particularity with the universality. But an universal value(we tend to think the western ideas, specifically that of America, as an universal value) does not always signify an absolute value. The particularity of Korea can be disclosed only when we defy the universality and make a Korean value into an universal value. Because the color stimulates our sense more than shape, it has greatly influenced our national characteristics and the sentiment of everyday life in terms of decoration. A preference for color, which adapts to the natural environment and the sentiment of everyday life, can change with its age and represent the phases of the times, but our unique sensibility and the uniqueness of expressional method is not changed and remains in our unconsciousness. The color of Korea symbolizes the particularity or identity of Korea in terms of using color. If we completely absorb every culture and make it our own, we can proudly say that it is ours. As like this, the Korean color means not only the pure Korean culture but also the other countries' cultures which were absorbed and creatively accepted as our own. A traditional color signifies contents which have been inherited for a long time in terms of using color. These contents consist of the details like our language habit, ideas, experience and wisdom which were learned from the natural world. Our traditional color means the practical color which symbolizes 'pure spirit', that is, we are searching for the philosophical attitude about color and the practical idea from the physical science as self-completion. And this color comes from our candid and natural living-attitude. The traditional color is not only a part of the tradition, but it also includes implicative meaning of whole tradition. And also we can picture a big frame through this. But if a tradition is destitute of modernity then it is only left out with exegetics. If the restored past means present, our ongoing culture will be more prosperous with the more restoration of pas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論文槪要) = 3 Ⅰ 서론 = 4 A. 연구목적 = 4 B. 연구방법 = 5 Ⅱ 색채에 대한 언어표현 = 6 Ⅲ 빛과 색채 = 10 Ⅳ 자연환경과 색채 = 16 Ⅴ 사상적 배경 = 21 A. 자연주의사상 = 21 B. 음양오행사상 = 26 C. 오늘날 디자인에서의 색채인식과 전통 = 29 Ⅵ 한국의 미학적 성향 = 36 A. 시김의 색깔 = 36 B. 담백의 색깔 = 40 C. 절로의 색깔 = 43 Ⅶ 과거의 조형예술작품에서의 색채 = 48 Ⅷ 결론 = 76 참고문헌 = 7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03513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한국-
dc.subject색채-
dc.subjectColor-
dc.subjectKorea-
dc.title한국적 색채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Study about "the Color of Korea"-
dc.format.page8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정보디자인과-
dc.date.awarded200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