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전숙자-
dc.contributor.author배지현-
dc.creator배지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4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4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821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893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8216-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사회과 교육의 주요 교수ㆍ학습 내용이며 다양한 교수 학습 모형의 기본요소로 다루어지는 개념을 학습자들이 체계화하고, 개념간의 관계를 통해 그 위계 구조를 파악하는 개념도(Concept Map)를 형성평가(Formative evaluation)로 활용함으로써 학습자들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즉, Novak의 개념도 평가방법에 따라 사회과 수업에서 개념도를 형성평가로 활용하였을 때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형성평가란 교수ㆍ학습 중에 이루어지는 평가로서 유동적인 상황에서 학생들의 이해도를 점검하여 교육과정과 교수학습을 개선하는 목적으로 활용되는 평가의 유형이다. 이러한 형성평가의 본질에 비추어 교사와 학생간의 피드백이 전제되었을 때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고 하겠다. 이에 따라 형성평가의 유형과 개념도 형성평가의 피드백 유형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경기도 오산시의 인문계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2학년 남, 여학생 105명이며 고등학교 2학년 사회ㆍ문화 과목의 Ⅱ단원. 개인과 사회 구조 중심으로 수업을 실시하였다. 집단Ⅰ은 객관식 형성평가를 실시하였고 집단Ⅱ는 개념도 형성평가를 실시하고 교사의 설명식 피드백을 제공한 집단이며 집단Ⅲ은 개념도 형성평가를 실시하고 학생 상호간의 동료간 피드백을 실시한 집단이다. 이를 2007년 4월 1일부터 2007년 5월 4일에 걸쳐 6차시분의 수업을 실시하였다. 수업 전 세 집단 모두에게 사전 검사를 실시하였다. 각 수업이 끝난 후 집단Ⅰ은 객관식 형성평가를 5회 실시하였고 집단Ⅱ와 집단Ⅲ은 개념도 형성평가를 각각 5회 실시하였다. 단원이 끝난 후 세 집단 모두에게 서술형 문항 2문항이 포함된 총 15문항의 사후검사를 실시하여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를 비교ㆍ분석하였다. 학생들의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고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의 통계적 평균차이는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후검사 결과 학업성취의 향상이 세 집단 간 .001로 세 집단 간의 평균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p<.05) 특히 객관식 형성평가를 실시한 집단보다 개념도 형성평가와 학생 상호간의 피드백을 활용한 집단의 사후 검사의 평균 차이가 .001로 유의미하였다.(p<.01) 둘째, 학업성취의 사전ㆍ사후검사 점수의 향상은 객관식 형성평가를 실시한 집단보다 개념도 형성평가를 실시한 집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객관식 형성평가를 실시한 집단과 개념도 형성평가를 실시한 집단 간 사전ㆍ사후검사 점수의 차이에 대한 차이는 .000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p<.05) 셋째, 피드백의 유형에 따라 교사 중심의 피드백과 학생 중심의 피드백을 실시한 집단 간 사전ㆍ사후검사 점수의 차이는 .479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5)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개념도를 형성평가로 활용하였을 때 학업 성취에 효과적임이 입증되었다. 이는 학습자들이 개념도를 통해 학습 내용을 시각화하고 복잡 하고 추상적인 정보를 구체적으로 조작하여 쉽게 이해하기 때문이다. 또한 개념의 본질, 개념간의 위계 관계, 수업 중 이미 학습한 내용과 새로운 정보를 조직하는 과정을 통해 창의적 사고력과 추상적인 사고를 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개념도를 동일하게 형성평가로 활용한 집단 내에서 피드백의 유형에 따른 효과는 검증되지 않아 교사의 피드백과 학생 중심의 피드백이 학업 성취에 미치는 유의미한 효과는 밝혀지지 않았다. 이는 학생들 스스로 경시하는 학생 상호간의 피드백에 대한 태도, 시간 부족의 고등학교 현실, 미숙한 피드백 방법의 활용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This study is on primary teaching and learning for education of social studies education, which is to enable learners to systematize the concept, basic knowledge covered as basic element of various teaching and studying model and also grip connection among those concepts that can help to apply the concept map to grasp structure of rank into formative evaluation so that we can analyze the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and improving high order thinking for learners. I intend to focus on to affect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when applying concept map into formative evaluation in the class on social studies education depending on scoring process implemented by Novak’s concept map. However, formative evaluation is sort of one performed in the middle of teaching and learning, whose purpose is the evaluation to improve educational process and teaching study under fluid situation through examining students’ understanding. It’s intended to attain the goal in that both teachers and students can share the feedback together by result of the formative evaluation. According to this, we’re to analyze the effect on concept map to have as changed each feedback model. To testify above the aim of this study, I design concept mapping and apply to Society & Culture classes of the 2nd grade in the high school. This study involves 105 students with consisted of female and male students in Osan-si, Kyonggi-do where work. Forcused on Society & Culture text book, ChapterⅢ, this study has analyzed the results of student accomplishments by comparing the following three groups. GroupⅠ focusing on objective evaluation in terms of individual and social structure, GroupⅡ providing an explanatory feedback of teachers even with formative evaluation of concept map, and GroupⅢ conducting the mutual feedback among students even with formative evaluation of concept map, which are dividedrespectively for as much quantity as 5 classes per day covering Apr 1, 2007 to May 4, 2007. Prior to the class, we executed pre-test to those 3 of groups and I had post test of 15 questions including 2 of predicate questions to 3 of each group 5 times, which method drived us to compare and analyz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Hereby pre and post test could be proceeded and also done with One-way ANOVA by using SPSS win 12.0 program for collected data. The brief on analysis result for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ly, comparing with the group of selective formative evaluation, another group’s academic achievement applying concept map into formative evaluation relatively showed outstanding effect. Secondly, among groups which utilized concept map for formative evaluation, the group which went through the process revising concept map by students’mutual feedback dont' have the academic achievement rather than teachers’ feedback.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it’s be proved for students to academic achievement and improve high order thinkingas well by the use of formative evaluation based on concept map.-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4 C. 선행 연구 고찰 = 5 Ⅱ. 이론적 배경 = 7 A. 사회과 교육의 본질 = 7 1. 사회과 교육의 성격 = 7 2. 사회과 교육 평가 = 10 가. 사회과 교육평가의 목적 및 방향 = 10 (1) 사회과 교육평가의 목적 = 10 (2) 사회과 교육평가의 방향 = 11 B. 형성평가로서의 개념도 = 14 1. 형성평가 = 14 가. 형성평가의 의의 = 14 나. 형성평가의 역할 = 16 다. 형성평가의 절차 = 17 2. 개념도의 활용 = 18 가. 개념도의 의미 = 18 나. 개념도의 유용성 = 21 다. 개념도 작성 방법 = 23 라. 개념도 평가 방법 = 25 마. 형성평가로서 개념도의 활용 = 29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 30 A. 연구 대상 = 30 B. 연구 설계 = 30 C. 연구 절차 및 연구 도구 = 32 D. 자료 처리 및 분석 = 34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 36 A. 사전ㆍ사후 검사 결과 분석 및 논의 = 36 1. 사전검사 결과 분석 및 논의 = 36 2. 사후검사 결과 분석 및 논의 = 37 3. 사전ㆍ사후검사 결과 분석 및 논의 = 39 Ⅴ. 결론 및 제언 = 41 A. 결론 = 41 B. 제언 = 42 참고문헌 = 43 ABSTRACT = 45 부록 = 4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85851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사회과에서의 개념도 활용이 학업 성취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형성평가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Effect of Concept Mapping on Academic Achievement in Social Studies : forcused on Formative Evaluation-
dc.creator.othernameBae, Ji Hyun-
dc.format.pageⅵ, 7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일반사회교육전공-
dc.date.awarded2007.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일반사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