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은실-
dc.contributor.author김선화-
dc.creator김선화-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6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6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075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885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0752-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looks at how Korean women in their 20s and 30s experience the transforming of subjectivity through backpacking in 'Asia'. Through the course of confronting different territories of different social norms, culture, race, and ethnicity by encountering local citizens of various types of class, race, nationality, and sexuality, these women begin to adopt different ideas to their previously set agenda in their lives such as marriage and career.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se young women, especially backpackers, based on the notion that "backpacking" is a type of travel which allows more space for women to enhance their agency by engaging themselves in the situation where they are expected to lead their travel itinerary in a completely voluntary manner. As research strategies, in-depth interviews with women in their 20s and 30s who have experienced backpacking in 'Asia', and participant observation in their own communities and gatherings are adopted. The result is as follows. The "less expensive travelling" in Asian countries, especially those with lower economic growth compared to Korea, has heightend mobility for Korean women. This has made possible for Korean women to detach and move away themselves from the space where they identify themselves as marginalized citizens in patriarchal society. Also, Korean women have become to be able to escape from the patriarchal gaze and freely locate themselves in as "aliens" in different spaces through travelling in 'Asia'. At first, these backpacking women start their journey in the imperialistic, orientalistic gaze and ideas, only until they themselves experience the complicated and multifaceted life in 'Asia' as they begin to question the imperialistic and orientalistic norms. Secondly, 'Asia' as an abstract, imaginary territory becomes more of a concrete space for Korean women backpackers as they find personal meanings through their journey. This experience is about a shift in their positionality in which Korean women backpackers become to look at and embrace themselves as women, Korean, and Asian. They get in touch with 'Asia' by travelling, thus engaging themselves in different activities and relationships compared to everyday life in Korea, eventually bringing changes in their agenda and identity. A set of relationships such as one between backpackers of other nationalities and Korean women backpackers, and the other between local citizens and Korean women backpackers, magnifies each element that constitutes important identity especially in terms of class, nationality, race, and gender. Korean women backpackers experience their given identity becoming exhibited amd visible/invisible, thus altering their positionality through the course of constantly finding themselves in relationships with "others." Their positionality "becomes" in existence in a new form and a different way, which empower these women to rediscover their potentials and resourceful power that they possess. Thirdly, Korean women backpackers experience conflicting situations where gender, nationality, and race/ethnicity are challenged, questioned, and redefined, thus making it possible for themselves to create "new" or more significantly, "different" strategies and communicating methods when engaging in relationships with various types of travelers and local citizens. In the process of this experience, women backpackers start to problematize the hierarchy resulted from the differences between gender, nationality, race, and class, as well as "discover" alternative types of life which in nature, evade norms and institutionalized ideas of a nation-state country like Korea. As Korean women backpackers begin to distance and alienate themselves from this familiar normalcy in a rather active manner, they become to attain transnational citizenship. Fourthly, the liberating experience, empowerment, excitement achieved in the course of "do-it-yourself" travelling offer women to reconstruct and configure the trajectory of their everydaylife towards constant backpackings to other territories. After the first experience, women travelers develop and expand backpacking to a continuing project which stretches throughout their lives. This continuing project evidently invovles major agenda in women's life including marriage, childbirth, professional career, as well as the life as the aged. These agenda are closely given into consideration based on the continuing project of backpacking. Women backpackers also build networks with local people, other Korean travelers and non-Korean travelers whom they met during backpacking, sharing a contemporary experience as well as rendering the boundary of their life to another level. Women backpackers get to be offered new job positions through this network, newly acknowledging their resourceful power. On the other hand, women backpackers start to become alert to emerging issues related to Asia, getting involved in various volunteering works. They also share their know-hows and tips regarding their trips to 'Asia' with other backpackers on the internet, providing their knowledge based on their previous experience. These approaches rooted in their understanding of alternative style of travel as well as critique of the nature of Korean tourists' typical travel itinerary when travelling to 'Asia' - most likely, aimed at shopping and "male-friendly agenda." Korean women backpackers eventually engage in, and contribute to constructing a new communicative channel for Korean backpackers in relations to 'Asia'. This research focuses on how Korean women as marginalized, objectified being in Korean society become to attach new meanings to their positions as well as to reconstruct the imaginary map of Asia, after getting in touch with the region as backpackers. These women backpackers who plan their "continuous project" to travel to 'Asia' for the rest of their lives, necessarily refuse to or, "fail to" be admitted to the competitive road of success within the system of neo-liberalism in global economy. Instead of passively accepting the ideals of the present society infatuated by patriarchal capitalism and hierarchical orders, these women backpackers uncompromisingly transgress this normalcy and look for other alternative options in their lives, thus dismantling their previously set identities and agenda. What is significant at this point is that they are distinguished from women travelers who consider Western region, i.e. North America and Europe, as their sole destination. travelers who have the economic potency to travel to Western region are more likely to be subjected to agree with the ideals of neo-liberalism and its fruits. The economic conditions and consumeristic culture of Western world are more desirable for these affluent travelers compared to the travelers who do not have the enough economic ability to travel to Europe. The women backpackers travelling in 'Asia' thus show the possibility of the alternative lifestyle inconsistent with neo-liberalism of global economy. Re-positiong as a new type of citizen who has the potential ability to constantly elude and escape from Korean society's given order, Korean women backpackers no longer identify themselves as marginalized figures, believing that other options in life are possible once they are on the road and encountering 'Asia'. However, since they are still substantially subjected to be affected by global economy and its tention, these women backpackers continuously plan to "escape" the system to surmount the difficulties that they go through in everyday life, and form networks with similar group.;본 연구는 20-30대 한국여성이 ‘아시아’를 자유배낭여행하는 경험이 이 여성들의 주체성에 어떤 변화를 가져오는지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다른 규범/제도/문화가 작동하고, 다른 인종/민족이 살고 있는 ‘아시아’ 공간에서 다양한 계급/인종/국적/섹슈얼리티의 사람들과 만나 어떠한 경험을 하며, 이후 이 경험이 결혼, 일 등 이들의 일상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를 보고자 했다. 본 연구에서는 여행자 스스로 모든 것을 준비하고 해결하는 자유배낭여행이 여성의 행위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형태의 여행이라고 전제하며 자유배낭여행을 하는 여성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를 위하여 ‘아시아’를 자유배낭 여행한 20-30대 여성들을 심층 면접하였으며, 이들이 참여하고 있는 커뮤니티의 참여관찰을 함께 진행하였다. 연구의 내용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보다 경제적으로 빈곤한 ‘아시아’로의 여행이 가능해지면서 ‘주변적’ 위치에 있는 한국 여성들이 원화가치 상승을 이용해 저렴한 비용으로 해외여행을 할 수 있게 되었다. ‘아시아’ 여행이 가능해지면서 노동시장에서 주변화되고, 가부장제 질서에서 벗어나고 싶어 하며, 한국 사회의 지배규범을 담지한 시선으로부터 자유롭고 싶어 하는 여성들이 홀로 여행을 할 수 있는 기회가 확대 되었다. 이들은 기존에 내재해왔던 제국주의적이고 오리엔탈리즘적인 시선으로 ‘아시아’ 여행을 시작한다. 하지만 이 여성들은 직접 ‘아시아’ 공간 체험을 통해 ‘아시아’ 내부의 다양성과 복잡성을 인식하면서 기존의 오리엔탈리즘적이고 제국주의적인 시선과 충돌하고 갈등을 일으키며 균열이 발생하기 시작한다. 둘째, 한국 여성들에게 ‘아시아’는 추상적 공간에서 의미로 가득찬 구체적인 체험의 장소로 변화되기 시작한다. ‘아시아’에 대한 인식의 변화는 아시아인이며, 동시에 한국인이고 여성인 이들의 위치성이 ‘아시아’ 공간과 만나서 상호 변화되고, 관계하는 과정이다. 다양한 국적의 여행자들, 그리고 현지인들과 관계를 맺을 때 상황에 따라서 성별, 국적, 인종, 계급 중에 특정 요소들이 더 부각되고, 또 어떤 부분은 비가시화되면서 모순되고 중층적으로 자신의 위치를 경험한다. 여성들의 위치성은 타인과의 관계를 통해서 끊임없이 변화되며, 공간에 의해 정체화되면서 생성되어 간다. 그 과정에서 여성들은 자신의 자원을 새롭게 발견하며 새로운 가능성을 인식하기 시작한다. 셋째, 여성들은 ‘아시아’ 여행에서 젠더, 국적, 인종적 위치가 자아내는 모순적 상황을 경험하면서 취할 수 있는 자원과, 불리한 상황들을 지식화하며 자신의 여행을 즐겁고 안전하게 구성하기 위한 전략을 모색한다. 그리고 여성들은 타인과 관계를 맺으면서 젠더, 계급, 국적, 인종 등의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위계를 문제시하기 시작한다. 동시에 국민국가의 경계 내에서 인식하지 못했던 다양한 삶을 새롭게 ‘발견’한다. 이것은 한국사회의 규범과 질서에 대해 거리두기 하는 과정으로 이어지면서 탈국민 정체성이 형성되기 시작한다. 넷째, 혼자 한 여행을 통해 해방감과 자신감을 얻은 여성들은 지속적으로 여행 할 수 있는 삶으로 일상을 재조직화 한다. 이들에게 여행은 더 이상 일상의 이벤트가 아닌 전 생애에 기획 가능한 프로젝트가 되기 시작한다. 결혼, 출산, 직업 선택 뿐 아니라 노후에도 여행을 지속할 수 있도록 일상을 기획한다. 여행에서 만난 현지인, 한국인, 외국인 여행자들과의 네트워크를 형성하며 동시대성을 확장해 간다. 여성들은 여행 경험이 자원이 되어 일을 제안받기도 하면서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한다. 그리고 자신이 지속적으로 애정을 가지고 여행하는 ‘아시아’에 대한 여러 가지 문제들을 고민하면서 자원 활동을 하기도 한다. 또한 인터넷을 통해 적극적으로 여행 정보를 제공하고, 공유하면서 ‘아시아’로 여행을 가는 다른 사람들을 돕고, 기존에 남성중심적이고 소비적인 한국의 ‘아시아’ 여행 문화를 비판하며 새로운 여행 문화를 만들어가면서 ‘아시아’와 느슨한 네트워크를 맺어간다. 본 연구는 한국 사회에서 주변적 위치에 있는 여성들이 서구의 타자로 존재해왔던 ‘아시아’와 만나면서 이들의 위치성이 어떻게 변화되어 가는지, 그리고 이들은 ‘아시아’를 어떻게 재의미화 하는지에 주목하였다. 한국에서 ‘아시아’를 ‘지속적’으로 자유배낭여행하는 여성들은 신자유주의neo-Liberalism의 성공 질서에 편입되지 못하거나 스스로 편입하기를 거부한 이들이다. 이들은 자본주의적이고 남성중심적이며 위계적인 성장논리의 경계 밖에서 욕망을 추구하는 전복성을 담지한 존재들이다. 이들은 서구를 ‘지속적’으로 여행하는 여성들과는 다른 위치에 있다. 지속적으로 서구를 여행할 수 있는 경제력을 가진 이들은 신자유주의 질서의 중심부에 있는 이들로 서구를 동경하면서 자본주의 질서의 성공담론 속에 편입되어 그 문화를 흡수하고, 소비하고자 한다. 반면 ‘아시아’를 여행하는 여성들은 ‘지속적으로’ 서구를 여행할 경제력이 없는 주변부 위치에서 ‘아시아’를 여행하며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는 이들로 신자유주의 성공 담론에 편입하지 않고도 행복한 삶을 살아갈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며 신자유주의 담론과 긴장관계를 유지한다. 이들은 ‘아시아’와 새롭게 관계를 맺으면서 획일화된 한국 사회에서 벗어나 다양한 삶을 살아갈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하며 임파워링 된다. 이들은 ‘아시아’ 여행을 통해 자신을 새롭게 위치지으며 한국 사회에서 더 이상 주변적 위치가 아닌 새로운 가능성을 지닌 집단으로 전환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문제제기와 연구목적 1 B. 연구방법 및 연구참여자 4 1. 연구 방법 및 연구 과정 4 2. 연구참여자의 특징 5 C. 이론적 배경 8 1. 여성 여행의 대중화와 여성 여행 기획자들의 등장 8 2. 여성의 이동으로 인한 위치성과 주체성의 변화 11 II. ‘아시아’를 여행하는 여성의 등장과 의미 17 A. 여성 여행자의 등장과 의미 17 1. ‘아시아’를 여행하는 한국 여성 자유배낭여행자의 등장 17 2. ‘아시아’를 여행하는 한국 여성의 위치 20 3. 여행준비 과정과 ‘아시아’ 여행스타일 24 B. 여성 혼자 하는 여행의 의미 28 1. 한국 사회 지배규범으로부터의 자유 29 가) 여성의 이동을 제한하는 가부장제에 대한 저항 29 나) 자본주의 질서 밖으로 이탈 30 2. ‘완전한’ 자유를 위한 혼자 여행 33 C. 한국 여성 여행자의 '아시아' 36 1. 여행지로서의 ‘아시아’와 오리엔탈리즘 37 2. 제국주의적 시선과의 갈등 41 III. 공간이동의 경험 45 A. 체험 속에서 구획되는 ‘아시아’ 45 B. 국적과 젠더의 중층성 50 1. 성별 정치학의 모순성 51 2. 아시아 여성이라는 위치성 57 3. 한국 국적과 성별성의 상관성 61 IV. 공간이동을 통해 변화되는 주체성 68 A. 여행을 통한 임파워먼트(Empowerment) 68 1. 낯선 문화와의 협상 및 적응 : 위험에 대처하는 능력 68 2. 혼자 한 여행을 통한 임파워먼트(Empowerment) 73 B. ‘국민’에서 탈국민으로 전환되는 감수성 74 1. 한국사회, 한국남성에 대한 거리두기 75 2. 애정어린 눈(loving eye)을 통해 ‘타인’과 관계 맺기 80 3. 다양성에 대한 새로운 자각 85 V. 여행하는 삶으로의 이행 : ‘여행자’ 정체성의 형성과 일상의 변화 91 A. 충전으로서의 여행 91 B. 삶의 중심으로 위치되어지는 여행 93 1. 성공 지향적 삶에서 이탈 93 2. 여행과 병행할 수 있는 일의 선호 96 3. 지속 가능한 여행을 위한 결혼과 출산 기획 98 4. 여행하며 사는 노후를 위한 기획 102 C. 일상 공간의 확장 : 동시대성과 일상성의 확장 103 VI. 결론 110 참 고 문 헌 113 ABSTRACT 11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9523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한국여성의 자유배낭여행 경험을 통해 본 주체성 변화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아시아’ 지역을 홀로 여행하는 20~30대 여성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f Transforming Subjectivity : The Case of Korean Women Backpackers of 20s and 30s Travelling in 'Asia'-
dc.creator.othernameKim, sunhwa-
dc.format.pageⅳ, 12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여성학과-
dc.date.awarded200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