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7 Download: 0

여창 가곡의 해금 선율 비교 연구

Title
여창 가곡의 해금 선율 비교 연구
Authors
최은주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운조
Abstract
Gagok, one that is among the pieces of Jong-ga, and it is called Man-nyen-jang-whan-gi-gok in other way. With Pansori and Bumpae, Gagok is the most valuable sacred music of Korea. Gagok is sung following the notes of Pyung-jo and Gye-myen-Jo, and sung in various forms like a male songs, a female songs and 'male & female singing together' songs. The male songs are 26 pieces in total and in details 11 pieces of woo-jo, 13 pieces of Gye-myen-jo, and 2 pieces of half woo-jo & half Gye-myen-jo. The female songs are divided into 5 pieces of woo-jo, 8 pieces of Gye-myen-jo, and 2 pieces of half woo-jo & half Gye-myen-jo. The total of 41 pieces are hand down. The precedence thesis were usually about looking over two pieces like Isoodaeyeop & Joong-geo, Isoodaeyeop & Pyung-geo, Isoodaeyeop & Doo-geo, but in this thesis I wanted to compare and looked over the melodies of all four pieces. The result of what was found is followed. First of all, about the formation, Isoodaeyeop, Joong-geo, Pyung-geo, and Doo-geo has the formation of "Part 1 through Part 3, Joong-yeo-um, Part 4, Part 5, Dae-yeo-um". They are a total of 240rhythms, 90phrases. Second of all, the result of the comparative study of the melodies are followed. The four pieces(Isoodaeyeop, Joong-geo, Pyung-geo, and Doo-geo in Pyung-Jo) all have the same scale which is 黃(e^(♭))-太(f)-仲(a^(♭))-林(b^(♭))-南(c) . Only in Part 4, the main note is 仲 and the other parts have 林 for the main note. The following notes of Isoodaeyeop and Pyung-geo is ?(a^(♭))-亻林 ( b^(♭))- ?(c)-黃(e^(♭))-太(f)-仲(a^(♭))-林(b^(♭)) which is the same. Joong-geo scale is similar with Isoodaeyeop and Pyung-geo by adding the 南 note and the scale of Doo-geo is added 南, 黃, 氵太 in the scale of Isoodaeyeop and Pyung-geo. There are five different composed notes which are the two notes ornament(I) , three notes ornament(II) , four notes ornament(III) , the join of (I)+(III) ornaments, the join of (II)+(III) ornaments. From these , Isoodaeyeop had most of the ornaments and Doo-geo has used four out of five ornaments evenly. About the ending notes in the classification by the musical pieces and by the parts, the last note equally b^(♭), and only for Joong-yeo-um part in Doo-geo was equally 林, and only the Joong-yeo-um of Doo-geoended with 仲. Also the Part 4 and Dae-yeo-um all ended with 太. Third of all, in detail of the basic rhythms and the variation rhythms, rhythm A(?), rhythm B(?), C(♩♩♩) each were mostly seen in Joong-geo, in Joong-geo and Pyung-geo, rhythm in Isoodaeyeop. The sum of all five ornament notes, there were 21ornament notes in Isoodaeyeop, 20ornament notes in Joong-geo and Pyung-geo, and 18ornament notes in Doo-geo. From the five different ornament notes, Doo-geo had four different notes evenly. The result of the similarity in rhythms by a tune, from the total of 78 tunes out of 90 tunes (86.66%) in Isoodaeyeop were the same. 87 tunes (96.66%) in Joong-geo, 77tunes(85.55%) in Pyung-geo, 30 tunes(33.33%) Doo-geo was the same. Last of all, there are nine kinds of signs when playing hae-gum. When using the bow the signs are ①? ②∨, using the bow for the composed notes the signs are ③∨∨ ④??, when lifting or dropping melodies the signs are ⑤? ⑥︶, and for the vibrating melodies the signs are ⑦× ⑧△ ⑨○. In a result, the number of the musical signs ①~⑨ in Isoodaeyeop and Pyung-geo were the same, and that of Joong-geowas similar, that of Doo-geo was different. The overall result of the study of is that the four pieces(Isoodaeyeop, Joong-geo, Pyung-geo, and Doo-geo in pyung mode) very much alike each other and has a little change in the composed notes and various rhythms, the style of playing of only. Isoodaeyeop and Pyung-geo was similar in most of the ways, especially the notes that come out in the piece was the same(?-亻林 - ?-黃-太-仲-林) and they were evenly shown through the piece. The similarity of the rhythms in tunes in order of Joong-geo, Isoodaeyeop, Pyung-geo, and Doo-geo, Joong-geo had the most common musical boundary and Doo-geo was a bit different from other pieces. It gives us the result that Isoodaeyeop, Joong-geo, Pyung-geo, and Doo-geo is the same piece and in these pieces Joong-geo has the most similarities through all four pieces and Doo-geo is a bit different.;정가(正歌)에 속하는 가곡(歌曲), 일명 만년장환지곡(萬年長歡之曲)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성악곡(聲樂曲)의 하나로 그 예술성이 높게 평가되고 있어서 판소리, 범패(梵唄)와 더불어 한국의 3대 성악으로 꼽히고 있는 노래이다. 가곡은 평조(平調)와 계면조(界面調) 음계 위에 얹어 부르며 남창(男唱)ㆍ여창(女唱)ㆍ남여창(男女唱) 등 여러 가지 형태로 연창(演唱)되는데 남창의 곡수는 총 26곡으로 우조(羽調)음계의 11곡, 계면조의 13곡, 반우반계(半羽半界)의 2곡이 전해오고 있으며, 여창은 우조의 5곡, 계면조의 8곡, 반우반계가 2곡, 모두 15곡으로 총 41곡이 현재까지 전승되고 있다. 선행 논문들은 <이수대엽>을 중심으로 <이수대엽>과 <중거>, <이수대엽>과 <평거>, <이수대엽>과 <두거>를 단순 비교하는 경우는 여러 번 있었으나, 본 논문은 4 악곡을 함께 여창 가곡의 해금 선율 비교 연구를 처음 시도해 보고자 한다. 그 결과 각 곡들의 상호관계를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악곡 구조에서는 <이수대엽><중거><평거><두거>가 초장, 2장, 3장, 중여음, 4장, 5장, 대여음으로 구성되며, 총 240박, 총 90마디로 되어 있어 동일한 구조이다. 둘째, 선율을 비교 해 본 결과, 음계는 黃(e^(♭)음)-太(f음)-仲(a^(♭)음)-林(b^(♭)음)-南(c음)의 평조로 모두 동일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런데 4장만 仲이 주요음이고, 나머지 악장들은 林이 주요음 임을 알 수 있었다. <이수대엽>과 <평거>의 출현음이 ?(a^(♭)음)-亻林 ( b^(♭)음)- ?(c음)-黃(e^(♭)음)-太(f음)-仲(a^(♭)음)-林(b^(♭)음)으로 동일하고, <중거>는 <이수대엽><평거>의 출현음에 南이 첨가되었으며, <두거>는 南, 黃, 氵太 가 추가 되었다. 시김새인 꾸밈음을 5가지로 구별하여 장 2도 앞짧은 꾸밈음(I), 단 3도 앞짧은 꾸밈음(II), 완전 4도 앞짧은 꾸밈음(III)과 겹앞꾸밈음인 장 2도+완전 4도(I+III), 단 3도+완전 5도(II+III)로 나누어 빈도수를 살펴 본 결과 <이수대엽>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나, 5가지 중 4가지가 골고루 사용된 악곡은 <두거>임을 알 수 있었다. 종지음을 악곡별, 악장별로 분석해 본 결과 대부분이 林이였으며, 중여음의 <두거>만 仲으로 달랐다. 또한, 4장과 대여음은 모두 太로 동일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리듬을 살펴보면, 기본형과 변화형으로 세분화하여 비교 분석한 결과, A형 리듬(?)은 <중거>에서, B형 리듬(?)은 <중거><평거>에서, C형 리듬(♩♩♩)은 <이수대엽>에서 가장 많은 빈도수를 보였다. <두거>의 리듬은 다를 경우 빈번함을 살펴보았다. 5가지 꾸밈음 빈도수를 합하면 <이수대엽>이 21회, <중거><평거>는 모두 20회, <두거>는 18회로 <이수대엽>이 가장 빈도수가 높았다. 하지만 5가지 꾸밈음 중 4가지가 골고루 사용된 악곡으로는 <두거>임을 알 수 있었다. 4 악곡의 마디별 리듬 유사정도를 살펴본 결과, <이수대엽>은 총 90마디 중에서 78마디가 86.66%로 나머지 악곡과 동일한 리듬이다. <중거>는 96.66%(87마디), <평거>는 85.55%(77마디), <두거>는 33.33%(30마디)로 4 악곡 중에서 <두거>가 나머지 악곡과 가장 많이 다름을 알 수 있었다. 넷째, 해금 주법에서는 9가지가 있는데, 활 주법에 관한 ①? ②∨, 꾸밈음 연주할 때 활 주법에 관한 ③∨∨ ④??, 퇴성과 추성에 관한 ⑤? ⑥︶, 농현에 관한 ⑦× ⑧△ ⑨○ 로 나누었다. 해금 주법을 살펴 본 결과, <이수대엽>과 <평거>가 ①~⑨의 해금 주법 횟수가 동일함을 알 수 있었다. <중거>는 비슷하였으며, <두거>는 현저하게 많았다. 여창 가곡의 해금 선율 비교 연구 결과를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평조 <이수대엽><중거><평거>는 모든 면에서 거의 유사하나, <두거>는 중심음과 시김새, 종지음, 변화형의 리듬, 해금 주법 등에서 현저하게 차이가 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수대엽>과 <평거>는 같은 악곡 구조와 같은 음계를 가지며, 특히 출현음이 ?-亻林 -?-黃-太-仲-林으로 동일하며, 출현음의 빈도수도 유사하였다. 마디별 유사리듬 형태구분에 의한 수치는 <중거><이수대엽><평거><두거> 순서로 <중거>가 가장 나머지 악곡들과 동일한 리듬이며, <두거>가 가장 다른 성격을 지니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결국, <이수대엽><중거><평거><두거>는 같은 악곡이며, 그 안에서 <중거>가 나머지 악곡과 가장 동일한 선율을 가지며, <두거>가 가장 다른 특성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