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70 Download: 0

고등학교 미술교육에서 미학적 요소의 도입

Title
고등학교 미술교육에서 미학적 요소의 도입
Other Titles
The Introduction of Aesthetics In High School's Art Education - A Case Study of Teaching-learning Linguistic Analysis Approach About ‘Aesthetic’
Authors
조용미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노용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velop practical cases of teaching-learning using aesthetics. This study examined a way of searching for teaching topics or subjects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the lives of students among aesthetic issues, and integrating them into experiences or ideas of students. Literatures on the history of aesthetics education and approaches to aesthetic in the history of western art were reviewed. Based on the general model of teaching-learning, the primary program of the present study was planned. According to the each process of the model, student demands, social demands and art curriculum of high school were analyzed.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of analytic aesthetics, a learning program named as 'linguistic analysis approach of beauty' was created. A pilot study was administered to 14 students from S high school in Seoul. After revisions and finalizations, the program was conducted to 20 students of J high school.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series of activities to make students understood of beauty in the western art history stimulated student interests, and presented material were helpful in obtaining background information. When a teacher explained concepts using material, students showed their interests in materials by asking questions and mentioned about material in a discussion time. Second, the assignment of internet searching was useful in internally motivating students and building up knowledge. Although the assignment was not a part of regular evaluation work, 80% of students in the program voluntarily completed assignments. This implies contents of assignments were enough to motivate students and were not a burden to them. Moreover, material that students voluntarily investigated was used in a discussion time. Those materials were quoted far more frequently than what a teacher lectured about beauty in the art history'. Third, small group discussion and mind-map activity stimulated the expansion of thoughts and interactions. Some students recorded what they said in their own mind-map paper, and others wrote their reactions to what they heard in their mind-map paper. Students actively interacted with each other while trying to find out links between two different ideas and discussing in a different view. On the other hand, questions from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and specific topics in which students are interested were drawn. they can be utilized in academic approach class, case study class or expression activity under the them of 'beauty that I think of' in cooperation with literature, composition and ethics classes.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lso can be discussed.;본 연구는 실제적인 교수-학습 사례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미학의 이슈 중에서 학생들의 삶에 긴밀하게 연관되는 학습요소나 주제를 찾아, 그것을 학생들의 경험과 사고 속에 자연스럽게 통합시키는 프로그램을 만들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론적 배경으로, 미학교육의 흐름과 미에 대한 접근의 변화를 고찰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일반적인 교수 설계 절차를 거쳐 개발 되었다. 학습자 분석, 사회적 요구 분석과 미술 교과 과정을 분석 했고, 이론적 배경에서 언급된 ‘분석적 미학’에 착안하여 ‘미/아름다움’에 관하여 ’언어 분석적’으로 접근한 학습 프로그램을 설계하였고, 서울 소재 S고에서 학생 14명을 대상으로 파일럿 테스트를 하여, 수정 과정을 거친 뒤 J고에서 22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적용하는 실행 단계를 거쳤다. 파일럿 테스트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계에서는 본 연구자가 교사 역할을 맡아 참여관찰 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적용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수업의 도입부에서 ‘서양미술사에서 아름다움 이해’ 활동에서는 학생들의 흥미를 자극하고, 제시된 내용도 배경 지식을 습득하는데 도움이 되었다고 판단된다. 교사가 자료를 보여 주면서 설명했을 때, 학생들은 여러 질문을 통해서 제시한 자료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보였고, 토론할 때도 자료와 연관된 발언을 하며 토론했다. 둘째, ‘인터넷 검색 과제’도 학생들의 내적 동기를 이끌고, 배경지식을 쌓는데 효과적인 활동이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본 적용과정에서는 과제에 대한 정규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에서 이루어 졌음에도 불구하고, 참여자의 80%의 학생이 자발적으로 과제를 이행하였고, 이를 통하여 과제의 내용이 학습자의 흥미를 일으킬 만하고, 부담이 크지 않았음을 짐작해 볼 수 있다. 또한 학생들이 직접 찾아서 정리해 온 자료는 토론할 때 적극적으로 인용되었다. 토론을 살펴본 결과 이러한 내용들이 교사가 제시한 ‘미술사에서의 아름다움’ 내용보다도 훨씬 빈번하게 인용되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셋째, ‘모둠별 토론, 마인드맵의 작성’ 활동의 경우 확산적 사고나 상호작용을 촉진한다고 할 수 있다. 학생들은 자기가 말한 것을 마인드맵에 적고, 또 다른 학생들은 그것에 대해 반응한 것을 마인드맵에 적어 갔다. 토론과 마인드맵 작성이 진행되어감에 따라, 대립되는 두 의견 속에서 또 다른 연결고리를 찾아보기도 하고, 논점을 뒤집어서 애기하는 등 학생들이 전체적으로 상호작용을 적극적으로 하며, 토론에 임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학생들이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생긴 질문이나 학생들이 관심을 갖는 세부 주제들을 도출할 수 있었다. 그러한 세부 주제들을 이용하여, 국어, 작문, 혹은 윤리 교사와 협력하여, ‘주제 중심의 학제적 접근’이나 ‘사례 탐구’에 기반한 수업을 계획하고 그 교육적 효과성을 논의할 수 있겠다. 또한, 본 프로그램과 연계된 후속 프로그램으로 ‘내가 생각하는 아름다움’ 같은 주제로 표현활동을 하는 안을 계획하고 적용해 효과성을 논의할 수 있겠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