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36 Download: 0

장 밥티스트 그뢰즈(Jean-Baptiste Greuze)의 <가족>도상 연구

Title
장 밥티스트 그뢰즈(Jean-Baptiste Greuze)의 <가족>도상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Iconography of the Family by Jean-Baptiste Greuze: A perspective on the Salon exhibitions of 1755-1769
Authors
이은영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성은
Abstract
본 논문은 18세기 후반 프랑스에서 활동한 장 밥티스트 그뢰즈(Jean-Baptiste Greuze 1725-1805)가 1755년부터 1769년까지 살롱전에 출품한 풍속화들 중에서 <가족>도상을 주제로 한 작품들을 분석한 연구이다. 논자는 합리와 감성의 시대였던 18세기 프랑스의 정치, 경제, 문화의 사회사가 그의 <가족>을 이루는 인물 군상들과 화면 배경, 그리고 그 속에서 연극처럼 펼쳐지는 수직적, 수평적 관계의 파노라마를 해석해 내는데 밀접한 영향을 주고 있음을 주목하여 세부 요소들의 내재적 의미를 밝히고자 하였다. 그뢰즈의 <가족>도상에는 당시 18세기 프랑스 사회의 변천과 계몽주의의 미학의 영향 아래 사회, 문화적 사상의 혁신이 표면위에 그대로 스며들어 있다. 살롱전 첫 출품해인 1755년의 <자녀들에게 성경을 읽어주는 아버지>에서는 18세기 중엽의 도시 사회의 사치함과 인공성에 대한 비판으로 제기된 농촌 가정의 검소함과 순수함, 당대의 도덕성이 반영되어 있다. 1761년 <마을의 약혼식>은 형식적인 측면에서 플랑드르 회화의 영향에서 벗어나, 당시 유행한 문학과 연극론을 바탕으로 한 새로운 화면 구성방식을 보여준다. 이는 개인의 체험과 주관적인 감정을 중시한 시민 계급의 개인주의 성향과도 일치한다. 내용적인 측면에서 부농으로 묘사된 아버지 도상과 실내 배경을 통해 중농주의에 입각한 농촌의 경제 상황을 보여준다. 1763년 <효심>은 프랑스 사회의 만연한 문제였던 나이든 세대에 대한 존경심의 감소로 유발된 사회적 분위기를 반영하며 노인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보여준다. 그러나 아버지를 중심으로 한 가족의 단합은 1765년의 살롱 출품작에서부터 조금씩 양상을 달리하기 시작한다. 같은 해에 출품된 두 쌍의 스케치화 <배은망덕한 아들>과 <벌 받은 아들>에서는 가족 구성원들이 갈등을 빚거나, 가족이 해체되는 양상으로 발전하는데, 이는 1769년의 <세베루스 황제와 카라칼라>를 통해 극대화된다. 그뢰즈는 이를 통해 당대의 가부장적 위계질서 속에서 강조된 가장의 권위의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고 판단된다. 마지막 살롱 출품해인 1769년의 <가장 사랑받는 어머니>는 아버지와 어머니의 성 역할을 통해 사적 영역 안에서 시민 계급의 의무를 강조하고 있으며, 루소의 논의를 바탕으로 한 여성과 아동 교육론 등을 보여준다. 본 논문은 18세기 중엽 프랑스가 안고 있던 앙시앵 레짐의 모순과 사회의 갈등 상황들을 끌고 갔던 새로운 사상들과 그뢰즈의 <가족>도상의 밀접한 영향 관계에 주목하여 그가 작품 속에 구현하려 했던 사회사적 목적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그뢰즈의 작품을 단순히 감성적인 회화, 도덕적인 회화로 치부하거나 신고전주의의 등장에 앞서 가교 역할로 한정한 기존의 연구들을 보안하여 그뢰즈 작품의 독자성을 세우고자 하였다.;This study focuses on the genre paintings of the late 18th century French artist Jean-Baptiste Greuze(1725-1805), exhibited in Salons from the year 1755 to 1769; it offers an analysis of his works on the subject of the family. Noting that the social history encompassing the politics, economics and culture of 18th century France is highly instrumental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character groups, canvas background and the panorama of the vertical and horizontal relations that appeared in the drama in this period characterized by both rationality and sensitivity, we attempted to bring to light the internal significance of particular elements. In Greuze's depiction of the family, the renovations of social and cultural phenomena, stirred by the societal transitions and the aesthetics of the Enlightenment of the 18th century France, infiltrate the very surfaces. Un père de famille qui lit la bible à ses enfants(1755) reflects the frugality and simplicity of rural families as well as the morality of the times, suggested as part of critique against the extravagance and artificiality of urban communities. In L’accordée de village(1761), emerging from under the influences in Flemish taste, a new canvas composition style is shown; it is based on the literature and drama theories that were of the fashion of the times. This corresponds to the individualist tendencies of the civil class, with an emphasis of individual experience and subjective emotions. The figure of the father, described in the contents as a wealthy farmer, as well as the indoors background, suggests the economic conditions of the physiocracist rural community. La piété filiale(1763) reflects the social atmosphere, considered a major problem, triggered by a decrease in respect for the elderly, through a new perspective on old age. The union of the family centered around the father, however, shows gradual changes beginning with the Salon exhibition in 1765. Two sketch works, namely Le fils ingrat and Le fils puni, it develops into conflictual or disjoint mode of the family; this tendency reaches its peak through Septime Sévère et Caracalla(1769). Greuze appears to show, through these, the changes in the authority of the father figure, an emphasized point in the patriarchy of the times. In 1769, the last year of the Salon exhibitions, La mère bien-aimée stresses the responsibilities that the civil class has in the private sphere, through the depiction of the gender roles of the father and mother; it also reflects the education theories for women and children, based on the ideas of Rousseau. This study is an attempt to indicate the social historical purposes intended by Greuze in his works, through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ew ideas that led on from the paradoxes of the Ancien Régime together with the social conflicts of the mid-18th century France and their close influence on the family figures of Greuze. Through this, we have endeavored to stress the individuality of Greuze, as a supplement to the existing studies that tend to limit his works to simply emotional or moral painting, or define them merely as a bridge on the way to the appearance of neoclassicis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