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0 Download: 0

대학생의 취업포부와 취업전략 분석

Title
대학생의 취업포부와 취업전략 분석
Other Titles
(AN) ANALYSIS ON THE ASPRATION AND STRATEGY FOR GETTING A JOB OF COLLEGE STUDENTS
Authors
이선민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Keywords
대학생취업포부취업전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오욱환
Abstract
1980년대 중반부터 나타난 고학력 실업자의 급격한 증가는 대학의 심각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취업문제는 대졸출신의 증가에 비해 취업기회가 과거보다 감소하고 있기 때문에 문제성이 더욱 두드러진다. 그리고 노동시장의 성별, 전공계열별, 학교소재지별 불균형은 대졸자의 취업문제를 더욱 어렵게 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서 대학생들은 취업난을 극복하기 위하여 강력한 취업동기와 높은 취업의식을 가지고 구체적인 취업계획을 세워 추진할 것이다. 그러나 취업을 위한 계획이나 노력은 대학생들의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며, 이러한 차이는 곧 취업의 성취와 직결될 것이다. 그렇다면 대학생들의 취업을 위한 노력은 각 배경변인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가? 이 논문에서는 취업포부와 취업전략의 개념을 설정하여 배경변인에 따른 취업의식과 취업준비 과정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대학생의 취업성취를 하나의 사회적 지위획득의 과정으로 보고 취업포부와 취업전략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인으로 성, 전공계열, 학년, 학업성적, 학교소재지, 출생순위, 성장지역, 아버지의 교육수준, 어머니의 교육수준, 아버지의 직업, 어머니의 직업 등을 고려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취업포부와 취업 전략의 차이를 가져오는 배경변인은 무엇이며, 각 배경변인은 취업포부와 취업전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그 영향력은 어떠한 순서로 나타나는가를 살펴보고 취업포부와 취업전략의 일치성 여부를 밝히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실증적 자료를 가지고 검증해야 할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첫째, 취업포부는 각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다. 둘째, 성, 전공계열, 학년, 성적, 학교소재지, 출생순위, 성장지역, 부모의 교육수준, 부모의 직업 등의 취업포부에 영향을 미친다. 셋째, 취업전략은 각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다. 넷째, 성, 전공계열, 학년, 성적, 학교소재지, 출생순위, 성장지역, 부모의 교육수준, 부모의 직업 등의 변인은 취업전략에 영향을 미친다. 다섯째, 취업포부와 취업전략은 상관이 있다. 설정된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서울의 4개 대학과 제주도를 제외한 각 도에서 1개씩의 대학을 표집하여 1,400명을 연구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문제의 구체적 분석을 위해 연구가설에 따라 일원분석(oneway), 회귀분석 (regression), 상관(correlation)으로 자료처리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의 다섯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학년·학업성적·출생순위에 따라 취업포부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성·전공계열·학교소재지·성장지역·아버지의 교육수준·어머니의 교육수준·아버지의 직업·어머니의 직업에 따라 취업포부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학년이 높을수록, 학업성적이 높을수록, 그리고 출생순위가 높을수록 취업포부 점수도 높게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취업포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밝히기 위한 회귀분석에서 학년·학업성적·출생순위 등의 변인은 취업포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작용하였으며, 그 영향력의 순위는 학년·학업성적·출생순위의 순서로 나타났다. 셋째, 성·학년·학업성적 성장지역에 따라 취업전략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전공계열·학교소재지·출생순위 아버지의 교육수준·어머니의 교육수준·아버지의 직업·어머니의 직업에 따라 취업전략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여학생보다는 남학생이, 학년이 높을수록, 학업성적이 높을수록, 그리고 농·어촌에서 자란 학생보다는 대도시에서 자란 학생이 취업전략 점수가 높았다. 넷째, 대학생의 취업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분석한 결과 성, 전공계열, 학년, 학업성적 등의 변인은 취업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작용하였으며, 그 영향력의 순위는 학년, 성, 학업성적, 전공계열의 순서로 나타났다. 다섯째, 취업포부와 취업전략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계수를 산출한 결과 상관계수가 .3267로, 취업포부와 취업전략은 상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논문의 연구결과에서 몇가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여러 배경변인들 중학년은 취업포부와 취업전략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었다. 즉, 학년이 올라갈수록 취업포부가 높고 취업전략도 치밀하였다. 이러한 사실은 대학생들이 장기적인 안목에서 자신의 진로 및 취업문제를 앞두고 서둘러 취업문제를 인식하고 취업을 준비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취업문제를 인식하고 취업을 준비하는 시기가 대부분의 경우 3, 4학년이라는 점은 대학생들에 대한 대학의 진로교육이 더 활성화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대학은 대학생들에게 체계적인 진로교육을 실시하여 사회에 나갔을 때 학교에서 배운 지식을 활용함으로써 사회에 기여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학생들의 진로를 도와주는 구체적이며 이상적인 방안은 진로지도 프로그램을 지속적 체계적으로 실시하는 것이다. 대학생들의 취업성취를 높이기 위하여 대학은 학생들을 위해 다양한 진로정보를 수집하고 그 정보를 체계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채널을 개발하는데 힘써야 할 것이다. 대학은 취업보도실, 학생생활지도연구소, 도서관 등을 통한 정보제공과 더불어 취업 세미나와 같은 모임을 다양하게 기획하여 대학생들의 취업포부와 취업전략을 높여야 할 필요가 있다.;It becomes an issue that the high educated unemployers have increased since the mid 1980s. An opportunity to get a job for college graduates decreases in contrast with increasement of college graduates. There are imbalances by sex, major field, college location in labor market. It makes more difficult for college graduates to get a job. And the rate of employment is different by sex, major field, college location. College students have the idea of career goals and strategies for achieving these goals. But there are differences for college student in career attitude and career preparation by background variables, and such differences will be related to getting a job. What is the differences by background variables in college students' attitude for getting a job? In this study, concept of aspiration and strategy for getting a job are established, and the differences in the aspiration and strategy for getting a job of college students by background variables are analyzed. College students' achievement of getting a job is considered by one of the social status attainment process. As for background variables in this study, the following variables are established; sex, major field, grade level, academic achievement, college location, birth order, region in childhood, father's educational level, mother's educational level, father' occupation, mother's occupation. In this study, the aspiration and strategy for gettiong a job of college students with regard to the differences by background variables are viewed closely and any correlation and difference between the aspiration and the strategy for getting a job are intended to be groped for. This research established the following hypotheses. Hypothesis 1.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spiration for getting a job by the background variables of college student. Hypothesis 2. All the background variables of college student infiuence the aspiration for getting a job, and the background variables which influence the aspiration for getting a job are lanking. Hypothesis 3.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trategy for getting a job by the background variables of college student. Hypothesis 4. All the background variables of college student infiuence the strategy for getting a job, and the background variables which influence the strategy for getting a job are lanking. Hypothesis 5. There i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aspiration and the strategy for getting a job.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college students, 650 students from 4 college in Seoul and 750 students from 1 college in each a district except Cheju-Do were sampled.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 which includes questions on background variables, the aspiration for getting a job, the strategy for getting a job. Data were analyzed by oneway, multiple regression and correltion.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spiration for getting a job by grade level, academic achievement, birth order.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sex, major field, college location, region in childhood, father's educational level, mother's educational level, father's occupation, mother's occupation. Grade level is higher, the level of aspiration is higher. Academic achievement is higher, the level of aspiration is higher. Bitrh order is higher, the level of aspiration is higher. Second, grade level, academic achievement, birth order influenced the aspiration for getting a job. And grade level, academic achievement, birth order in order from the highest influence. Thir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trategy for getting a job by sex, grade level, academic achievement, region in childhood.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major field, college location, birth order. father's educational level. mother's educational level. father's occupation, mother's occupation. Compared to women, men have accurate strategy. Grade level is higher, the strategy is more accurate. Academic achievement is higher, the strategy is more accurate. Compared to student who was grown up in rural, student who was grown up in urban has accurate strategy. Forth, sex, major field, grade level, academic achievement, region in childhood influenced the strategy for getting a job. And grade level, sex, academic achievement, major field in order from the highest influence. Fifth, the aspiration was not correlated with the strategy for getting a job. Its correlation coeffient was .3267 and therefore it was identified that there was low corrlation between them. In light of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policy implications as follows. Grade level is the highest influence on the aspiration and strategy for getting a job in all background variables. Grade level is higher, the aspiration and strategy for getting a job are more accurate. This result implicate that most of the college student have accurate aspiration and strategy for getting a job when they are 3, 4 grade student. It means college student need more career guidance and career education. College have to offer a lot of information for getting a job to the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