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명휘-
dc.contributor.author김지영-
dc.creator김지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1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1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005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879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0058-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고도성장의 준비기인 1960년대에 금융부문이 어떠한 경로를 거치며 발전하였는지를 주제로 하였다. 해방 이후 우리나라는 저금리정책을 유지해왔으나, 이는 많은 부작용을 초래하였다. 1965년에 시행된 금리현실화 조치는 최고예금금리를 연 15%에서 연 30%로 인상한 조치로, 개발정부의 혁신적인 금융정책이었다. 이에 본 연구는 금리현실화 조치의 경제적 효과를 분석하여, 금리현실화 조치가 1960년대의 금융시장에 가져온 변화를 역사적인 맥락에서 해석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금리현실화 조치의 민간자금 흡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자금순환계정과 도시가계조사의 자료를 분석하였고, 계량 모형을 이용하여 실증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자금순환계정의 분석에 의하면, 법인기업에 대한 개인부문의 자금공급은 금리현실화 조치 이후 꾸준히 증가하였다. 이는 안정적인 산업자금 조달의 기반을 형성하였고, 자금시장에서 은행의 역할이 확대되었다. 도시가계조사의 분석에 의하면, 금리현실화 조치 이후 가계저축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다시 소득계층별로 구분하면 중소득층과 고소득층은 인상된 예금금리의 영향을 받아 소비지출이 감소하여 가계저축이 증가하였다. 반면 저소득층은 대출금리의 인상으로 인해 지불이자의 부담이 가중되어 가계저축이 감소하였다. 계량 분석의 결과에 의하면, 금리현실화 조치는 민간부문의 저축성예금 흡수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또한 증가한 저축성예금이 인상된 금리뿐만이 아니라, 국가의 금융중개기관 정비에 대한 노력에서도 기인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를 종합해볼 때 금리현실화 조치에 대한 영향은 긍정적인 것으로 평가된다. 1960년대는 우리나라의 금융중개기관이 정비된 시기였다. 1960년대 중반에 실시된 금리현실화 조치는 동시에 시행되었던 외자도입법, 환율현실화, 무역자유화 등의 조치와 맞물려 개방경제체제의 조성에 기여하였다. 이는 1970년대부터 본격화되는 수출드라이브 정책에 대한 금융적 기틀을 제공하였다.;This research aims to understand how the financial sector of Korean economy developed in the 1960's, which was the preparing period for the high economic development. The Korean government's low interest-rate policy, maintained after the liberation from Japan, caused a lot of negative side effects to the state economy. The Interest-Rate Reform enforced in 1965 raised the deposit rate twice, from 15% to 30% per year, and it is considered as a progressive financial policy of the new government. Here upon, this research will analyze the characteristic of the financial sector of Korean economy in 1960's by focusing on the economic impacts of the Interest-Rate Reform. For this purpose, we trace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policy, collect various data of that period, and estimate the effect of the policy by using an econometric method. This research suggests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Flow of Funds Account, investable funds from individual sector to corporations increased steadily after the Interest-Rate Reform. It means that the high interest rate contributed to enlarge and stabilize the amount of industrial funds. Second, according to the Households Income and Expenditure Survey, households savings increased after the Interest-Rate Reform. By dividing the households into three groups regarding the income status and analyzing the savings and consumption tendencies of each groups, we could find out that the middle and high income groups reduced consumption expenditure and increased households savings due to the increased interest rate. In the contrast, low income groups decreased savings due to the increase of interest on personal debts. Third, according to the econometric analysis, the Interest-Rate Reform had positive effects on increasing deposit of private sector. Moreover, the enlarged deposit is proved to be affected significantly not only by the high interest rate due to the Reform, but also by the government's effort to consolidate the financial system. In conclusion, considering all these results together, the effect of the Interest-Rate Reform is considered to be positive. The 1960's was a period of consolidation of the banking system in Korea. The Interest-Rate Reform was conducive to pave open economic structure, operated with other policies, such as Law Concerning Foreign Investment, Trade Liberalization, Exchange-Rate Reform, which were carried out in the mid-1960's. It provided the financial basis of Export-Drive Policy, which began in earnest in the 1970'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v Ⅰ. 서론 1 Ⅱ. 기존 연구 4 1. 신자유론자(1973)의 모형 5 2. 신구조론자(1977)의 모형 9 3. Stiglitz(1994)의 모형 16 Ⅲ. 우리나라의 공금리 정책 18 1. 해방 이후의 우리나라의 공금리 18 1.1 1950년대의 금리논쟁 18 1.2 이자제한법 21 2. 금리현실화 조치의 시행 24 2.1 금리현실화 조치의 배경 24 2.2 금리현실화 조치의 경과 26 2.3 금리현실화 조치의 단기 성과 31 Ⅳ. 금리현실화 조치의 영향 분석 43 1. 자금시장에 대한 영향 43 2. 가계의 저축 및 소비에 대한 효과 52 3. 실증분석 59 3.1 시계열 자료 59 3.2 단위근 검정 64 3.3 저축성예금에 대한 분석 66 3.4 현금에 대한 분석 70 Ⅴ. 결론 72 참고문헌 74 Abstract 8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5591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1960년대 우리나라의 금융시장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1965년 금리현실화 조치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Study on the Korean Interest-Rate Reform in 1965-
dc.creator.othernameKim, Ji Young-
dc.format.pagevi, 8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경제학과-
dc.date.awarded200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경제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