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2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남궁곤-
dc.contributor.author박수성-
dc.creator박수성-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7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7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039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875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0399-
dc.description☞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 정보 습득의 인터넷 활용이라는 측면에 주목하여, 북한관련 인터넷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북한정보의 생성과 전달 및 관리의 과정을 하나의 커뮤니케이션 일환으로 인식하고 그 과정을 탐구하며, 공중에게 전달된 정보가 내포하고 있는 성격을 유형화하여 비교하고 설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주요 일간지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겨레에서 운용하는 북한 관련 웹사이트를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북한 정보의 운영 및 관리 방법과 수집 · 가공 · 제공의 의제설정 과정을 참여관찰과 인터뷰를 통하여 살펴보았고, 국가이익 프레임(national interest frame), 갈등 프레임(conflict frame), 책임소재 프레임(responsibility frame), 도덕성 프레임(morality frame), 관심 프레임(human interest frame)의 다섯 가지 유형을 바탕으로 웹사이트에서 제공하고 있는 정보를 현안별로 내용분석(content analysis)하여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정보 운영주체 및 의제설정(agenda setting) 과정과 정보의 프레임(frame) 유형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웹사이트 운영주체는 언론사 내부에 구성된 북한 전문부서와 비전문부서의 차이로 나타난다. NK조선닷컴과 북한네트는 각각 통한문제연구소와 통일문화연구소가 주체이며, 한겨레 hani.co.kr은 온라인뉴스팀이 웹사이트 정보를 담당하고 있다. 이는 웹사이트 정보 구성의 차이로도 나타난다. 공통적으로 세 웹사이트가 ‘전문 뉴스 서비스로서의 정보’를 제공하는 반면, 북한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및 남북관계 등을 내포하는 ‘학술정보 서비스로서의 정보’는 NK조선닷컴과 북한네트에서만 제공된다. 둘째, 웹사이트 정보의 의제설정 과정은 크게 세 단계로 나누어 그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정보의 수집 단계에서 세 웹사이트는 오프라인 자사매체의 정보를 반영하고 연합통신의 기사를 정보원으로 활용하는 특징을 보이는데, 연합통신 기사의 비중이 매우 높다. 정보의 가공 단계에서는 편집체제와 결제방식의 차이를 보인다. NK조선닷컴과 북한네트는 운영주체가 정보의 선택, 수정, 제공에 대한 권한이 있는 ‘분리된 편집체제’의 특징을 보인다. 반면, 한겨레는 운영주체와 편집국 간의 의제설정 논의가 병행되고 있어 ‘반(준) 분리된 편집체제’ 아래에 사전 결제와 사후 결제가 함께 이뤄지는 특징을 나타낸다. 정보의 전달과 환류 단계에서는 하이브리디티(hybridity)라는 인터넷 상의 기술적 특성에 기반하여 그래픽, 사진, 오디오, 문자 등을 융합한 형태의 정보가 24시간 제공된다. 또한 게시판, 이메일 등의 기능을 통하여 웹사이트 운영주체와 정보이용자 간의 상호작용이 이뤄지는데, 한겨레가 두 웹사이트보다 높은 상호작용성을 보인다. 이는 웹 이용자가 한겨레블로그(필진)에 제공한 정보를 편집 기자가 가공하여 메인 웹페이지에 제공함으로써 이용자의 참여도를 높이기 때문이다. 셋째, 정보의 프레임 유형은 웹사이트 간의 상이점이 미비한 반면, 북한 관련 현안(issue)에 따라 비교적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우선 프레임 유형 순위를 통하여 세 웹사이트의 의제설정 관점이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프레임 유형의 순위를 비교하면 ‘미사일 발사 사건’은 높은 수준에서부터 갈등 프레임, 책임소재 프레임, 관심 프레임, 국가이익 프레임, 도덕성 프레임이 사용되었다. ‘수해 및 대북한 수해지원’에 대하여는 높은 수준에서부터 관심 프레임, 책임소재 프레임, 갈등 프레임, 국가이익 프레임, 도덕성 프레임이 활용되었다. ‘한국인 김영남과 일본인 메구미 납북 사건’에서는 상위부터 관심 프레임, 갈등 프레임, 책임소재 프레임, 국가이익 프레임, 도덕성 프레임 순서로 나타났고, ‘북관대첩비 반환’에 대한 프레임 유형은 관심 프레임, 국가이익 프레임, 책임 프레임, 갈등소재 프레임, 도덕성 프레임이다. 한편 북한 관련 현안에 따른 프레임 유형은 변화한다. ‘미사일 발사’에 대한 정보는 갈등 프레임과 책임소재 프레임이 강하게 나타나는데, 이는 수해, 납북, 북관대첩비 반환과 관련한 정보에서 관심 프레임이 두드러지게 나타난 것과 큰 차이를 보인다. 북한의 미사일 발사 행위는 핵 개발과 위조지폐 유통으로 국제사회와의 지속적인 갈등이 더욱 표면화되는 계기로 작용했다고 볼 수 있다. 이를 반영하여 프레임 유형 역시 각 국가 간의 상이한 입장 차이에 대한 갈등 양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고 판단된다. ‘수해’ 관련한 정보는 관심 프레임과 책임소재 프레임이 많이 활용되었다. 웹사이트별 차이점으로는 NK조선닷컴이 다섯 가지 프레임 유형을 가장 많이 사용했으며, 두 번째 수준으로 사용된 프레임에서는 북한네트가 국가이익 프레임, 갈등 프레임, 책임소재 프레임을, 한겨레에서는 도덕성 프레임과 관심 프레임이 각각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수해와 관련하여 NK조선닷컴은 수해에 관한 정부 및 NGO 활동 현황, 북한의 수해상황과 체제에 헌신적인 행동을 대비시킨 내용 등을 다양하게 반영하였다. ‘납북’ 사건과 관련한 정보는 관심 프레임과 갈등 프레임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난다. 이는 납북 사건이 한국과 북한 그리고 일본과 북한의 외교적인 사안임에도 불구하고 국가이익과 관련된 주제보다는 김영남과 메구미의 인물 중심적인 사안들이 중심주제로 다뤄지고 있음을 설명해 준다. 국가이익 프레임에서 북한네트가 현저하게 나타나는 반면, 나머지 네 유형의 프레임에서는 NK조선닷컴이 최다를 차지하였다. ‘북관대첩비’ 관련 정보는 관심 프레임과 국가이익 프레임이 많이 나타났다. 반환이 결정되기까지 북관대첩비에 대한 연혁이 주로 다뤄졌으며, 문화재의 반환을 통하여 한국과 북한 간의 역사분야의 교류 증대를 다룬 국가이익 프레임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함의를 지닌다. 첫째, 일상적으로 쉽게 접할 수 있는 인터넷 활용을 통한 북한 정보의 습득에 주목하였고, 국내 북한 관련 웹사이트를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다는 측면에서 의미를 갖는다. 이는 지금까지 북한학 연구에서 인터넷 공간의 북한 정보를 심층적으로 다루는 연구들이 선행되지 않았기 때문에 본 연구의 시도는 북한학 연구의 저변을 확대했다고 볼 수 있다. 둘째, 본 연구는 웹사이트 내의 북한 정보 운영 및 관리 방법과 수집 · 가공 · 제공의 과정을 참여관찰과 인터뷰를 통해 인류학적인 접근방법으로 기술했다는 특징을 갖는다. 세 인터넷 웹사이트의 운영주체, 운영 방식, 미디어 관행, 정보의 출처, 미디어 외적 요인 등이 정보의 의제설정 과정 및 내용과 특징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시켜주었다. 셋째, 본 연구는 인터넷 공간의 특징인 개방성, 탈중심화 경향의 영향으로 세 웹사이트의 정보 특성에 차이가 없을 것이다 라는 가설을 프레임 분석을 통하여 실증적으로 밝혀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북한 정보를 다루는 기관들의 웹사이트 운영 방향성 정립과 대안 제시의 역할에 일정부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The objective of this study lies in comparing and explaining the procedure of creation, delivery, and management of North Korean information offered by North Korea-related websites by seeking the procedures in recognition of procedure as a means of communication, and by finding any pattern in the character or implication of information that is delivered to the public, focusing on the use of the internet for acquiring North Korean information. With this aim, the study selected North Korea-related websites operated by Chosun Daily Newspaper, Joongang Daily Newspaper, and Hankyoreh as the subject of this study. The study reviewed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method of North Korean information, and the agenda setting procedures of collection, processing, and offering through observation by participation and interview; and this research conducted an analysis of the information that those websites are offering for current issues based upon five types, namely national interest frame, conflict frame, responsibility frame, morality frame, and human interest frame. As a result, the controller of the operation of information, agenda setting procedures, and information frame type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ontroller of the operation of websites is found to show differences as a special division for North Korea, organization in newspaper companies, or non-special division. The controllers of NKChosun.com and NKNet are Unifying Korea Research Institute(통한문제연구소) and Unification Culture Research Institute(통일문화연구소) respectively, and the controller of hani.co.kr by Hankyoreh is the on-line news team, which is responsible for the information on the website. The controller is also found to show difference in the organization of website information. Whereas the three websites offer “information as a special news service” in common, only NKChosun.com and NKNet offer “information as an academic information service”, which implies North Korean politics, economy, society, culture, and the South and North Korea relationship. Second, the features of the agenda setting procedures of website information may be explained by being divided largely into three phases. The three websites reflect the information of their own off-line media and utilize articles by Yonhap News Agency as the information source in the information collection phase, and the proportion of articles from Yonhap News Agency is very high. Also, they are different in their editing system and approval methods in the information processing phase. Whereas NKChosun.com and NKNet have a “separated editing system” that authorizes the controller of operation to select, modify, and offer information, Hankyoreh has both pre-approval and post-approval under a “quasi-separated editing system” as discussion over agenda setting continues between the controller of operation and the editorial division. In the information delivery and recycling phase, they offer information in the form of the fusion of graphics, pictures, audios, and texts 24 hours a day based on the technical feature on the internet, namely, hybridity. In addition, there is interaction between the controllers of operation of websites and information users through functions such as a webboard and email, Hankyoreh showed higher interactivity than the two other websites. This is because the participation of users may be enhanced when web users offer information to Hankyoreh’s blog, and then, the editing reporter offers the information on the main webpage after processing. Third, the information frame types are not specifically different between the websites, but there was a relatively clear difference among them according to the current issues of North Korea. First, the perspectives of agenda setting of the three websites were shown to be similar by the ranking of frame type. When comparing the ranking of frame type, “the incident of missile launching” used conflict frame, responsibility frame, human interest frame, national interest frame, and morality frame in that order of higher ranking. Also, “flood disaster and support for flood disaster to North Korea” used human interest frame, responsibility frame, conflict frame, national interest frame, and morality frame in that order of higher ranking. The “abduction incident of Korean Kim Yeong-Nam and Japanese Megumi” employed human interest frame, conflict frame, responsibility frame, national interest frame, and morality frame in that order of higher ranking, and “return of Bukgwandaecheopbi” employed human interest frame, national interest frame, responsibility frame, and morality frame in that order of higher ranking. On the other hand, the frame type changes according to the current issues of North Korea. The information about “the launch of a missile” shows conflict frame and responsibility frame strongly, which is highly different from the fact that information about flood disaster, abduction, and return of Bukgwandaecheopbi spotlighted the human interest frame. The act of the missile launch by North Korea may have worked as an opportunity for highlighting more the consistent conflict with international society through nuclear development and circulation of counterfeit currency. In reflection of the result, it is concluded that the frame type also spotlighted the pattern of conflict over the totally different status of each country. The information about “flood disaster” used human interest frame and responsibility frame very much. As a difference among websites, NKChosun.com used the five frame types most frequently, and the frames that NKNet used second-most frequently included national interest frame, conflict frame, and responsibility frame, while Hankyoreh used morality frame and human interest frame respectively. In relation to flood disaster, NKChosun.com reflected in diverse manners the contents of the current activities of the government and NGOs in comparison with the sacrificial behavior for the flood disaster conditions of North Korea and its system. Information about the “abduction” incident showed a higher level of human interest frame and conflict frame. This explains that the abduction incident issues about characters such as Kim Yeong-Nam and Megumi were mainly treated as being more important than controllers related to national interest despite the fact that the incident is a diplomatic issue between the two Koreas and between North Korea and Japan. Whereas NKNet showed the national interest frame more than the other websites, NKChosun.com used the other four frame types most frequently. The information about “Bukgwandaecheopbi” showed a higher level of human interest frame and national interest frame. The history of Bukgwandaecheopbi was mainly treated until the return of Bukgwandaecheopbi was decided, and the national interest frame that coped with the increase of exchanges between the two Koreas in the field of history through the return of a cultural asset was used. This study includes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the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focused on the acquisition of North Korean information through the use of the internet, which people may easily experience in their daily lives, and took North Korean-related websites in South Korea as the target of the study. The attempt of this study may be said to extend the research base into North Korean studies since there was no existing research coping with in-depth North Korean information in cyber space for North Korean studies. Second, a feature of this study is that it described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methods of North Korean information within websites and the procedure of the collection, processing, and offer of the information with an anthropologic approach through observation by participation and interview. It was shown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contents of information by the controllers of the operation of the three websites and information source and by observation. Third, this study examined empirically through a frame analysis the assumption that there would be no difference in the features of information in the three websites owing to the influence of openness and decentralization, which are features of internet space. Finally, this study should play some role in establishing the direction of the operation of websites by organizations that cope with North Korean information and the offer of alternatives for them.-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 B. 연구방법 5 II. 의제설정에서의 프레임 이론 10 A. 사이버 커뮤니케이션과 의제설정 10 B. 프레임과 프레임 유형 17 C. 연구의 분석틀 21 1. 국가이익 프레임 23 2. 갈등 프레임 23 3. 책임소재 프레임 23 4. 도덕성 프레임 24 5. 관심 프레임 24 III. NK조선닷컴ㆍ북한네트ㆍ한겨레 인터넷 웹사이트의 북한정보 형성 및 제공 과정 25 A. 정보 운용체계 25 1. 운영 주체와 구조 25 2. 업무 분화와 근무 스케줄 31 B. 정보의 의제설정 과정 34 1. 정보의 수집: 정보 공급처와 의제설정 34 2. 정보의 가공: 분리된 편집체제와 사후결제방식 39 3. 정보의 전달과 환류: 하이퍼텍스트와 상호작용성 41 C. 정보의 구성 44 1. 정보의 컨텐츠 형태와 현황 44 2. 정보의 성격분석 47 IV. NK조선닷컴ㆍ북한네트ㆍ한겨레 인터넷 웹사이트의 북한정보 프레임 유형 및 특성 56 A. ‘미사일 발사’에 대한 정보 분석 56 1. 전체 빈도 프레임 분석 56 2. 출처별 프레임 분석 59 3. 날짜별 프레임 분석 61 B. ‘수해 및 대북한 수해지원’에 대한 정보 분석 68 1. 전체 빈도 프레임 분석 69 2. 출처별 프레임 분석 71 3. 날짜별 프레임 분석 74 C. ‘한국인 김영남과 일본인 메구미 납북’에 대한 프레임 분석 83 1. 전체 빈도 프레임 분석 83 2. 출처별 프레임 분석 87 3. 날짜별 프레임 분석 89 D. ‘북관대첩비 반환’에 대한 정보 분석 97 1. 전체 빈도 프레임 분석 97 2. 출처별 프레임 분석 99 3. 날짜별 프레임 분석 101 V. 결론 107 참고문헌 112 ABSTRACT 11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29752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주요 일간지 북한관련 웹사이트의 정보운용체계 비교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조선일보 NK조선닷컴, 중앙일보 북한네트, 한겨레 hani.co.kr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Comparative Study on the Information Operation System of North Korea-Related Websites of Major Daily Newspapers: Focusing on NKChosun.com by Chosun Daily, NKNet by Joongang Daily, and hani.co.kr by Hankyoreh-
dc.creator.othernamePark, Soo Sung-
dc.format.pagexii, 12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북한학협동과정-
dc.date.awarded200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북한학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