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6 Download: 0

주의이동 시간에 있어서의 거리효과

Title
주의이동 시간에 있어서의 거리효과
Other Titles
Effects of distance in Attention Movements
Authors
이영림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심리학과
Keywords
주의이동시간거리효과표적자극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영애
Abstract
본 연구는 주의이동 시간에 대한 거리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러한 주의이동 속성에 관한 설명에는 연속적(analogue, continuous) 주의이동과 불연속적(discrete) 주의이동의 두 대조적인 입장이 있다. 연속적 주의이동을 지지하는 실험의 일반적인 결과는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주의이동에 걸리는 시간도 일정하게 증가한다는 것이다. 반면 불연속적 주의이동을 지지하는 실험의 일반적인 결과는 주의란 불연속적이고 급작스런 방식으로 이동하므로 거리가 증가하더라도 그에 따른 반응시간상의 어떤 체계적 증가도 없다는 것이다. 이 두 입장의 차이는 주의이동에 대한 거리 효과의 유, 무 여부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도 상이한 거리 조건에서 반응시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관찰될 것인지가 주목되었다. 불연속적 주의이동을 지지한 선행 연구(Sagi & Julesz, 1985; Kawk, Dagenbach & Egeth, 1990)들이 거리의 조작만이 포함된 자극화면을 사용했던 것과 달리, 본 연구에서는 주의이동의 두 지점 사이에 방해자극들이 포함된 자극화면을 사용하였다. 그리하여 이 실험 과제에서도 여전히 불연속적 주의이동을 지지하는 결과가 얻어질 수 있는가 하는 것이 본 연구의 주된 관심사였다. 또한 안구운동(saccadic eye movement)이 허용되는 일상적인 노출하에서 주의이동 양상이 다르게 관찰될 것인가도 살펴보았다. 실험 1에서는 안구운동이 허용되는 보다 일상적 노출하에서 주의이동 속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자극화면을 피험자의 반응 산출 순간까지 제시했다. 피험자 과제는 자극화면의 문자 배열에서 단서가 주어지는 두 문자 중 표적 문자가 있는지 없는지를 반응단추를 누름으로써 결정하는 것이었다. 이 자극화면에서 상이한 거리 조건들은 단서로 표시되는 두 문자 사이의 방해자극의 수로 조작하였다. 실험 1결과, 두 문자 사이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반응시간도 일정하게 증가하였고 이는 연속적 주의이동가설과 일치되는 결과였다. 그러나 이 결과가 주의이동 속성 그 자체를 반영하는 것인지 아니면 단순히 안구운동의 효과에 기인하는 것인지에 대한 검증이 요구되었다. 따라서 실험 2에서는 자극화면에 대한 노출시간을 200msec로 짧게 조작하여 안구운동을 통제한 후 주의이동 속성을 검증하였다. 실험 2의 결과, 단서로 표시되는 두 문자 사이의 거리가 증가하더라도 그에 대한 반응시간은 일정했다. 그러므로 안구운동이 허용되는 일상적인 노출하에서 관찰된 연속적인 주의이동 양상은 주의이동 속성 그 자체를 반영하는 것으로 볼 수 없다. 본 연구에서 주의이동이 요구되는 두 지점 사이에 방해자극이 제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주의이동 시간에 대한 거리 효과가 관찰되지 않았다는 것은 시각장에서 주의가 불연속적인 방식으로 이동함을 시사한다.;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distance effects of attention movements. There are two hypotheses for the nature of attention movements. One is an analog movements hypothesis. According to this hypothsis, attention moves at a constant velocity and therefore takes more time to move a greater distance. The other is an discrete movements hypothsis According to this, attention shifts from one location to another in a discrete, abrupt manner, so that it does not take longer time to move longer distances. The primary difference of the two is whether distance effects exist or not. Therefore it was noticed if significant differences of reaction times among various distance conditions would be observed. In contrast with the previous studies (Sagi & Julesz, 1985; Kawk Dagenbach, Egeth, 1990) that used the display which only manipulated distances of the targets, this study used the display which manipulated not only distances but distractors. Nevertheless, whether the discrete movements hypothesis can be supported or not was the main concern of this studies. Additionally, the pattern of attention movements in the natural exposal in which the saccadic eye movement was allowed was observed. In experiment l, the display was exposed until the subjects made responses for the purpose of observing the natures of attention movements in the natural exposal. The task of the subjects was to determine the presence of a target letter between the cued letters by pressing one of the keyboard In this display, the distance conditions were varied by the number of distractors between the cued letters. The result shows an increase of the reaction time according to the distance of cued letters, so the analog movements hypothsis is supported. However, the test for the result was required to examine that the result was to due to the nature of attention movements or just saccadic eye movements. Accordingly, in the experiment 2, to preclude the role of saccadic eye movements, the display was presented for durations too brief for changes in eye fixation. As the result of the experiment 2, although the distances of the two-cued letters increased, the reaction time was contant The observed result of the experiment 1 could not seemed to be reflection of the natures of attention movements themselves. A lack of the distance effects, in spite of the distractors present between the cued letters, suggests the discrete shifts of attention in the visual fiel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